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저는 머리를 묶고 다닙니다. 처음부터 머리카락을 기를 뜻은 없었습니다. 고등학교 1학년 때 일인데, 제 머리카락이 '두발 규정'에서 0.1센티미터 어긋난다면서 어느 교사한테서 머리카락을 쥐어뜯긴 적이 있습니다. 학교에서 세운 '학생 두발·복장 규정'에서 0.1센티미터, 그러니까 1밀리미터가 어긋난다고, 고작 1밀리미터 길이로 머리카락이 길다면서 머리카락을 바리깡으로 쥐어뜯더군요.

이때가 1991년입니다. 이때에 저는 교사한테 딱히 대꾸를 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바리깡으로 밀린 자리'를 그냥 두기로 했습니다. 머리통에 구멍이 생기거나 고속도로가 난 동무들은 그날 바로 이발소에 가서 박박 머리를 밀었습니다만, 저는 머리통에 구멍이 난 그대로 '학교옷을 멀쩡히 입고 돌아다니'기로 했습니다. 머리통이 바리깡으로 밀린 모습은 저 한 사람한테 창피한 모습이 아닌, 학생을 이따위 모습으로 몰아세우는 학교와 교사와 어른들이 창피한 짓이라고 여겼습니다.

구멍 난 자리에 머리카락이 새로 나기까지는 오래 걸립니다. 더욱이 저는 머리카락이나 털이 아주 천천히 나는 몸이에요. 이러다 보니 고등학교 3학년에 마지막으로 머리통에 구멍이 난 뒤, 이 구멍을 메우기까지 여섯 달이 넘게 걸렸고, 이동안 제 머리카락은 '단발머리'가 되었어요. 1994년이지요.

그즈음 사내 가운데 단발머리인 사람이 매우 드물어, 이 머리 길이를 두고 손가락질하거나 막말을 퍼붓는 사람이 매우 많았어요. 어느 때에는 '시내버스 승차거부'까지 받았습니다. 어느 버스 기사는 '사내 녀석이 머리가 길어서 이 버스에 태울 수 없다'고 하더군요.

안 믿을 분이 있을는지 모릅니다만, 이 모든 일을 몸으로 겪었기에 이렇게 털어놓을 수 있습니다. 머리카락이 '길지'도 않고, 그저 뒷목(목덜미의 방언-편집자말)을 덮을 길이일 뿐인데, 아르바이트 자리를 어느 곳에서도 못 얻었습니다. '사내가 뒷목을 덮도록 머리카락을 기르면 불량하다'고 하는 사회의식이 짙게 깔린 1994년이었습니다.

옷차림 규정을 내세운 강의 취소

여름에 강의를 가면 민소매에 반바지를 입습니다.
 여름에 강의를 가면 민소매에 반바지를 입습니다.
ⓒ 수원한살림

관련사진보기


하루하루 흘러 어느덧 2018년입니다. 지난 6월 어느 날, 전라남도 어느 고등학교에서 불쑥 '강의 취소' 연락을 했습니다. 그 고등학교는 7월 어느 날에 저더러 '북콘서트' 강사로 와 주십사 하고 연락을 했는데, 저한테 '강사 복장 규정'을 내밀었습니다. 저더러 민소매 웃옷을 입지 말고, 반바지를 입지 말라 하더군요. '반소매 티셔츠에 청바지' 차림으로 와 달라고 말해요.

저는 1998년부터 강의를 다녔습니다. 1998년에는 신문 배달을 하며 살던 무렵이라, 그때에는 '신문 배달을 하는 차림새'로 강의를 했습니다. 웬만하면 신문 배달 자전거를 타고 강의장으로 가는데, 제 일터하고 강의 터 사이가 꽤 멀면 전철로 갔습니다. 신문 배달 자전거로 가든 전철을 타고 가든, 저는 새벽에 신문배달을 하는 차림새로 멀쩡히 강의를 잘 했습니다.

이때부터 스무 해 동안 여러 곳에서 강의를 했는데요, 국어교사모임에 강의를 갈 적이든, 국립국어원에서 전국 공무원을 상대로 여섯 달 동안 하던 국어문화학교 강의를 할 적이든, 대안학교나 일반학교 어디로 강의를 하러 가든, 국공립도서관이나 개인도서관에 강의를 하러 가든, 절집에 강의를 하러 가든, 제 차림새는 '제가 살아가는 터전에서 살림을 짓고 일을 하는 차림새' 그대로예요.

강의를 한 지 스무 해가 되는 2018년 올해 여름까지, 제 차림새를 놓고 '재미있다'거나 '놀랍다'는 말은 곧잘 듣지만 '그런 차림새로는 강의를 하면 안 된다'는 말로 강의를 취소한 곳은 없습니다.

삶을 고스란히 담는 말

11월 11일 한가을에 어느 시상식에 가던 모습. 11월 깊은 가을이라 이때에는 반팔에 반바지 차림으로 갔습니다. 저한테는 양복이 한 벌도 없습니다.
 11월 11일 한가을에 어느 시상식에 가던 모습. 11월 깊은 가을이라 이때에는 반팔에 반바지 차림으로 갔습니다. 저한테는 양복이 한 벌도 없습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저는 강의 터에 나서서 '말과 삶과 넋, 사전과 한국말, 말을 짓는 살림, 시골에서 숲을 사랑하며 새롭게 짓는 말' 같은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저한테서 이야기를 들으려는 분은 늘 '말이 삶하고 어떻게 잇닿고 만나면서, 우리가 오늘을 살아가며 어떤 말을 어떻게 쓸 적에 삶이 즐거울 수 있는가?'를 궁금히 여깁니다.

그렇다면 말과 삶과 넋이란 무엇일까요? 사전이란 무엇이고, 한국말이란 무엇일까요? 우리는 서로 겉치레로 의사소통을 하면 되는 사이일까요? 겉치레 의사소통으로 서로 이야기를 하거나 생각을 주고받을 수 있을까요? 마음을 열지 않고 서로 겉치레로 나선다면 무슨 이야기를 할 만할까요? 민소매하고 반바지 옷차림은 예의에 어긋난다고 여기는 마음이란, 삶을 삶 그대로 바라보지 않고 말을 말 그대로 가꾸지 않는 우리 어른들 모습을 낱낱이 보여주는구나 싶습니다.

강의 취소 이유에 대해 '예의에 어긋나는 차림새라서 학생·교사·학부모를 앞에 두고 강의를 시킬 수 없다'고 밝힌 분에게 여쭙고 싶습니다. 강사한테 옷차림을 두고 발목을 잡으려 한다면, 무엇을 말하거나 들을 수 있을까요?

참말로 여쭙고 싶어요. 강의나 교육이란 무엇일까요? 어른은 어떤 옷차림이어야 잘 가르치고, 아이는 어떤 옷차림이어야 잘 배울까요? 옷차림이나 생김새 때문에 못 가르치거나 못 배우는 일이 일어날까요?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무엇 때문'일까요? 사람을 겉모습이나 몸매나 옷차림으로 따지거나 가르는 일은 얼마나 올바를까요?

눈이 나쁘거나 아파서 햇볕하고 햇빛뿐 아니라 형광등 불빛을 가리려고 언제나 '검은안경'을 써야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런 분은 강의를 하려면 검은안경을 벗어야 할까요? 긴소매에 긴바지가 예의를 차리거나 지키는 차림이 될까요? 예의란, 옷차림이나 겉모습이 아니라, 몸짓이 아닐까요? 예의뿐 아니라, 참다움 착함 아름다움 모두 겉차림이나 겉모습이 아닌, 속마음이 아닐는지요?

인권과 자유를 규정으로 눌러도 될까

더운 여름에 민소매하고 반바지를 안 입는다고 해서 예의를 차리는 강사 옷차림이 된다고 여기지 않습니다. 누구는 여름에도 긴 옷을 입지 않고서는 못 배길 만큼 추위를 타고, 누구는 겨울에도 맨발에 홑옷으로 다닐 만큼 추위를 안 탑니다. 다 다른 사람한테 다 같은 옷차림을 밀어붙이려 한다면, 이는 또 다른 폭력, 이른바 인권 침해나 자유 침해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2018년이라는, 2020년대를 바라보는 오늘날이라면, 사람마다 다른 몸과 터전과 결을 헤아리면서 '다 다른 아름다움'을 바라보고 맞아들이면서 어깨동무하는 길을 걷는 슬기롭고 즐거운 몸짓으로 거듭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림책 <꽁치의 옷장엔 치마만 100개>. 우리는 이제 규정이 아닌 인권과 자유와 평등과 평화를 헤아리는 새길을 갈 때이지 싶습니다.
 그림책 <꽁치의 옷장엔 치마만 100개>. 우리는 이제 규정이 아닌 인권과 자유와 평등과 평화를 헤아리는 새길을 갈 때이지 싶습니다.
ⓒ 리젬

관련사진보기


<꽁치의 옷장엔 치마만 100개>라는 그림책이 있습니다. 이 그림책은 '꽁치'라는 아이가 치마를 매우 좋아해서 늘 치마를 입으려 하는데, 아이 어버이나 학교 교사나 마을 어른은 '꽁치가 치마를 입을 적에 매우 못마땅해' 하는 줄거리가 흐릅니다.

꽁치는 어떤 아이일까요? 이 아이를 '꽁치라는 사람'이 아닌 '남성·여성'으로 굳이 갈라서 '남성 = 바지, 여성 = 치마'라는 틀에 가두어야 할까요? 여성한테 치마뿐 아니라 바지도 마음껏 입을 권리가 있듯이, 남성한테도 바지뿐 아니라 치마를 마음껏 입을 권리가 있습니다. 이는 바로 평등이자 평화뿐 아니라 민주이자 통일(참다운 통일)입니다. 획일이 아닌 통일이란, 다 다른 결을 다 달라서 아름답구나 하고 여기는 마음으로 어깨동무하는 길입니다.

그러고 보니 <인간은 왜 폭력을 행사하는가?>라는 책이 새삼스럽습니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서로서로 폭력을 휘두릅니다. 학교폭력이나 성폭력이나 정치폭력도 있습니다만, 민소매나 반바지를 '인권과 자유'라고 하는 눈으로 바라보지 않고서 '예의에 어긋난 나쁜 옷차림'이라는 눈으로 옭아매려고 하는 폭력도 있어요.

학교에서도 마을에서도 나라에서도, 서로 다르면서 서로 아름다운 길을 슬기로이 밝혀서 손을 맞잡고 상냥하게 노래를 부르는 배움길을 가기를 바랍니다. 고등학교 푸름이가 '겉으로 보이는 차림새로 사람을 따지거나 재거나 가르는 바보스러운 틀'이 아닌 '마음을 열어 서로 어깨동무하는 즐거운 사랑'으로 나아가는 길을 배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20년대를 바라보는 이 나라에서, 거짓스러운 우두머리를 촛불로 끌어내린 이 나라에서, 앞으로 참답고 착하며 아름다운 평등·평화·민주·통일을 슬기롭게 갈고닦으면서 이룰 이 나라에서, 모든 어른하고 교사한테 묻고 싶습니다.

우리는 어떤 모습과 몸짓으로 아이들 곁에 서서 손을 맞잡고 배우거나 가르칠 적에 참다이 사람 노릇을 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무엇을 보아야 할까요? 우리는 무엇을 배우고 나누면서 살림을 지을 하루일까요?

민소매·반바지 차림으로 강의는 곤란하다는 교사·교장 모두한테 조용히 말씀을 여쭙니다. 이제, 겉치레에 얽매인 낡은 틀을 깨부술 때입니다. 겉치레를 털어내고 속을 가꾸는 길을 아이들하고 새롭게 가꿀 때입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글쓴이 누리집(blog.naver.com/hbooklove)에도 함께 올립니다.



태그:#묻는다, #삶노래, #숲노래, #민소매, #인권
댓글20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2,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