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남 담양군 고서면 후산마을에 있는 명옥헌. 배롱나무 숲 속에 고즈넉하게 앉아 있다
 전남 담양군 고서면 후산마을에 있는 명옥헌. 배롱나무 숲 속에 고즈넉하게 앉아 있다
ⓒ 임영열

관련사진보기


정자 아래 연못 주변의 배롱나무꽃이 만개했다. 연못 가운데 둥그런 섬에도 배롱꽃이 활짝 피었다. 명옥헌 원림의 풍경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이다. 네모난 연못 가운데 둥그런 섬을 만들어 놓았다.‘천원지방(天圓地方)' 즉,‘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다’고 여기는 옛사람들의 우주관을 반영하고 있다.
 정자 아래 연못 주변의 배롱나무꽃이 만개했다. 연못 가운데 둥그런 섬에도 배롱꽃이 활짝 피었다. 명옥헌 원림의 풍경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이다. 네모난 연못 가운데 둥그런 섬을 만들어 놓았다.‘천원지방(天圓地方)' 즉,‘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다’고 여기는 옛사람들의 우주관을 반영하고 있다.
ⓒ 임영열

관련사진보기


남도의 여름은 붉다. 여름 한철 내내 진홍빛으로 붉게 물들어 있다. 사찰이나 서원·향교·누정을 온통 붉디 붉은색으로 물들이고 있는 주인공은 바로 목백일홍 꽃이다. 도심에 있는 공원은 물론이며 시골 마을 어디를 가나 어김없이 백일홍 꽃을 볼 수 있다. 온통 붉은 꽃길로 장관을 이루는 도로도 여러 곳 있다.

'붉은 꽃의 아름다움도 십일을 넘기지 못한다' 하였는데 백일홍 꽃은 다르다. 한여름 동안 피고 지기를 반복하며 7월부터 9월까지 석 달 열흘 동안 이 땅에 붉은 융단을 깔아 놓는다. 나락이 필 때까지 끊질기게 피어있다. 이 꽃이 지고 나면 비로소 쌀밥을 먹는다 하여 '쌀밥 나무'라고도 부른다. 질박한 삶이 흐르는 곳, 남도를 대표하는 여름꽃이다.

연못 주변의 배롱나무. 관람객도 한 폭의 수채화가 된다
 연못 주변의 배롱나무. 관람객도 한 폭의 수채화가 된다
ⓒ 임영열

관련사진보기


벼슬도 명예도 다 잊자

남도에는 한여름 배롱나무꽃으로 아름다운 곳이 여럿 있다. '명옥헌 원림(鳴玉軒 苑林)'도 그런 곳 중의 한 곳이다. 명옥헌 원림은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산덕리 후산마을 안쪽에 자리하고 있는 별서 정원이다. 요즘 명옥헌은 진홍빛 붉은 꽃이 연못과 정자와 어루어져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조선 중기 광해군 시절, 폭정과 패륜의 정치에 환멸을 느끼고 중앙정치 일선에서 물러나 외가가 있는 담양 고서면 후산마을에 은거한 선비가 있었다. 어머니인 '인목대비'를 폐위시키고 8살의 어린 동생 '영창대군'을 방에 가둬 증살 시킨 광해군의 모습을 옆에서 지켜본 선비는 벼슬의 뜻을 버리고 낙향한다.

'밝은 계곡'이라는 의미의 호를 가진 '명곡(明谷) 오희도(吳希道, 1583~1624)'는 이곳에 은거하며 '망재(忘齋)'라는 정자를 짓고 모든 것을 잊고 학문에 정진한다. 이때 지은 망재가 명옥헌의 원형인 셈이다. 은일자(隱逸者)를 자처했던 선비의 시크릿 가든이었다.

훗날 쿠데타를 일으켜 조선 16대 왕으로 등극한 인조(仁祖)가 왕자 신분이었던 능양군 시절에 반정에 동참할 인재를 모으러 이곳 후산마을에 오희도를 찾아왔다. 효성이 지극한 오희도는 늙은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능양군의 청을 거절한다. 이때 명옥헌의 북쪽 정원에는 은행나무가 있고 명옥헌 뒤에는 오동나무가 있었다. 이 나무에 인조가 타고 온 말을 맸다고 하여 이 나무를 일명 '인조대왕 계마행(仁祖大王 繫馬杏)' 또는 '인조대왕 계마상 (仁祖大王 繫馬像)'이라고 부른다.

인조(仁祖)가 오희도를 만나러 올 때 타고 온 말을 매었다는 ‘인조대왕 계마행(仁祖大王 繫馬杏)’ 전라남도 기념물 제45호
 인조(仁祖)가 오희도를 만나러 올 때 타고 온 말을 매었다는 ‘인조대왕 계마행(仁祖大王 繫馬杏)’ 전라남도 기념물 제45호
ⓒ 임영열

관련사진보기


현재 오동나무는 고사하여 없어졌고 은행나무만 남아있다. 전라남도 기념물 제 45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 후로도 인조는 오희도를 등용하기 위해 세 번 찾아왔다고 한다. 지금도 명옥헌 서까래 밑에는 삼고(三顧)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집권 후 인조는 오희도를 '예문관 검열'에 제수하였으나 그해 천연두에 걸려 41세로 세상을 떠났다.

우암 송시열의 글씨를 모각하여 만든 명옥헌 현판과 인조가 오희도를 등용하기 위해 후산마을을 세 번 찾아왔다는 의미의 삼고(三顧) 현판
 우암 송시열의 글씨를 모각하여 만든 명옥헌 현판과 인조가 오희도를 등용하기 위해 후산마을을 세 번 찾아왔다는 의미의 삼고(三顧) 현판
ⓒ 임영열

관련사진보기


옥구슬 구르는 소리가 들리는 집

오희도의 넷째 아들 오이정(吳以井 1619~1655)은 아버지의 뜻을 기리기 위해 이곳에 은거하면서 정원을 만든다. 자연경관이 좋은 도장곡에 정자를 짓고 주변에 배롱나무와 소나무를 심었다. 아버지의 뒤를 이어 이곳에서 글을 읽고 학문에 정진하며 많은 저술을 남긴다. 대표 저서로 <장계 유고>가 있다

명옥헌 원림에는 두 개의 연못이 있다. 연못은 모두 네모난 모습이며 안에는 둥근 섬이 조성되어있다. 이는 '천원지방(天圓地方)' 즉, '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다'고 여기는 옛사람들의 우주관에서 비롯되었다. 사각형의 작은 연못과 사다리꼴 모양의 아래쪽 연못 사이에 정자를 세웠다.

명옥헌 왼쪽으로 흐르는 계곡물은 자연스럽게 계류를 따라 연못으로 흘러들어 온다. 연못에 물이 차고 다시 아래 연못으로 흘러간다. 인공이 전혀 가미되지 않은 자연에 순응하고 있는 모습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억지스럽지 않은 한국 전통정원의 원류를 잘 보여주고 있다.

정자를 오른쪽으로 끼고 계곡을 돌아가면 바위 벽면에 '명옥헌 개축(鳴玉軒癸丑)'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우암 송시열은 오이정의 아들이자 그의 제자인 오기석을 아끼는 마음에 정자 이름을 명옥헌이라 짓고 계곡의 바위에 이를 새겼다고 전한다. 명옥헌 현판은 이 글씨를 모각하여 만든 것이라고 한다.

계곡 사이로 '물이 흐르면 옥구슬이 구르는 소리가 났다' 하여 붙여진 명옥헌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의 조그만 정자이다. 가운데 방이 하나 있고 사방으로는 우물마루가 놓여 있다. 전형적인 호남지방의 정자 형태를 갖추고 있다. 동서남북 네 방향 모두의 경관을 방안에서 조망할 수 있도록 창호를 달아 놓았다. 정면에서 바라보는 원림의 풍경은 낙원의 또 다른 모습이다. 명옥헌 원림은 문화재적 가치가 인정되어 2009년 9월 국가지정 문화재 명승 제58호로 지정되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의 명옥헌 정자
 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의 명옥헌 정자
ⓒ 임영열

관련사진보기


백일홍 심은 뜻은...

명옥헌 하면 바로 떠오르는 나무가 있다. 연못 주변에 심어진 약 20여 그루의 백일홍 나무로 유명하다. 백일 동안 붉은 꽃이 핀다고 하여 백일홍(百日紅)이라고 부르지만, 한 송이 꽃이 백일 동안 피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꽃송이들이 릴레이 경기를 하듯이 백일을 이어 간다. 

명옥헌의 배롱나무꽃은 8월 중순경에 절정을 이룬다. 연못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 둑방길에는 오래된 배롱나무가 진홍색의 꽃무리를 가득 달고 있다. 나무 사이를 걸어가노라면 빨간 꽃수술을 흔들며 환호하는 군중들을 사열하는 기분이 든다. 나무도 붉고 땅도 붉고 연못도 붉다. 붉은 꽃 터널이 이어진다. 중간중간에 서있는 늙은 소나무의 검은색 줄기와 진홍의 붉은 꽃이 보색이 되어 '적과 흑'의 강렬한 대비를 이룬다.

바위에도 레드 카펫이 깔렸다
 바위에도 레드 카펫이 깔렸다
ⓒ 임영열

관련사진보기


명옥헌의 배롱꽃은 두 번은 보아야 한다. 8월 초 꽃이 막 피어날 때와 늦여름 꽃이 질 때이다. 막 피어난 백일홍이 연못에 투영되는 모습은 황홀경이다. 늦여름 한줄기 바람은 떨어지는 배롱꽃을 붉은 꽃비로 만들어 낸다. 땅에는 레드카펫이 깔리고 연못 위에도 붉은 양탄자가 깔린다. 이때쯤, 명옥헌은 사진작가들이 많이 찾는 사진 촬영 명소가 된다.
  
백일홍은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린다. 백일홍, 배기롱 하다가 운율에 따라 배롱나무가 되었다. 원산지가 중국인 이 나무는 '자미화'라고도 한다. '자미(紫薇)'는 북극성이 의미하는 황제를 상징한다. 중국과 우리나라의 궁궐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이유이다.

연못에 떨어진 꽃잎 꽃잎들. 5·18을 소재로 만든 영화 <꽃잎>이 떠오른다
 연못에 떨어진 꽃잎 꽃잎들. 5·18을 소재로 만든 영화 <꽃잎>이 떠오른다
ⓒ 임영열

관련사진보기


지상으로 낮게 뻗어가는 나무 가지의 모습도 보기 좋고  껍질도 스스로 벗어 나무 표면도 아름답고 매끄럽다. 원숭이도 이나무에서 떨어질 정도로 미끄럽다 하여 '간지럼 나무'라고도 한다.

청고한 선비들이 주위에 백일홍을 심은 뜻은 백일 동안 피고 지기를 반복하는 백일홍처럼 학문에 정진하고 모름지기 자신을 드러내서 한 점 부끄럼 없이 청렴결백하게 살라는 의미가 아닐까. 껍질이 없는 배롱나무의 줄기는 겉과 속이 똑같다. 또한 배롱나무의 붉은 꽃은 변하지 않는 마음, '단심(丹心)'을 상징한다. 종묘나 사당·조상의 무덤가에 백일홍을 심어놓은 이유일 것이다.

약 400여 년 전 이곳에서 살다 간 선비들이 비밀 정원에 몰래 심어둔 더 많은 암호들를 해독해내고 실천하는 일은 이제 우리들의 몫이다.


태그:#배롱나무, #목백일홍, #명옥헌 원림, #명옥헌, #화무십일홍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동문화재단 문화재 돌봄사업단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