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스폐셜- 권력의 탄생>

ⓒ SBS


헌법 재판소의 탄핵 심판이 엊그제인가 싶더니 새로운 권력의 탄생을 1주일여 앞두고 있다. 장미꽃이 만발하기도 전에 우리는 새 대통령을 맞이할 듯하다. 대선 종반,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누구를 선택할 지 이미 결정했을 듯하다. 일주일에도 몇 번씩 후보자간의 지지율이 등락하고,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지만 정치학자들은 생각보다 사람들의 마음이 쉽게 바뀌는 것이 아니라 단언하기도 한다. 혹시나 아직 마음을 결정하지 못했다면? 혹은 마음을 결정했다손 치더라도 <SBS 스페셜- 권력의 탄생>을 보며 당신이 선택한 그 대상의 의미가 무엇인지 짚어보는 건 어떨까.

지난 2월 <SBS 스페셜>은 권력에 대해 이야기한 바 있다. 대통령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이미지에 휩쓸려 선택하지 말아 달라 당부하는 내용이었다. 그에 이어 이제 대선을 앞두고 프로그램은 권력의 문제를 들고 나온다. 철 지난 유행가 같아 보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꼼꼼하게 그걸 들여다보는 것이야 말로 새 권력을 선택하는 유효한 바로미터가 될 것이다.

왜 사람일까?

우리가 대통령중심제를 택한 이후, 역대 대통령들은 모두 불행한 역사의 주인공들이 되었다. 매번 되풀이되는 권력의 불운. 그 이유는 무엇일까? 유시민 작가는 그 권력의 핵심이 바로 '인사권'이라 단언한다.

대통령이 되면 행사할 수 있는 인사의 권한이 줄잡아 6000 여개에 이른다고 한다. 즉 권력의 시작이 바로 인사다. 대부분 대통령이 된 사람들은 이런 수많은 인사권을 준비하지 않고 자리에 오른다. 선거 기간 중 도와준 사람들에게 사농공상을 해주고 싶기도 하다. 그러기에 손쉽게 그리고 허겁지겁 믿을만한 인맥의 인사, 즉 이른바 코드 인사로 권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SBS 스폐셜- 권력의 탄생>의 한 장면.

의 한 장면. ⓒ SBS


바로 그런 식의 사농공상의 예가 박근혜 정권에선 윤창중이었다. 박근혜의 1호 대변인으로 상대 세력을 향해 막말을 퍼붓던 이 언론인 출신 인물은 박근혜 정권의 색깔을 드러내는 상징이었다. 이후 윤창중에 의해 발표된 '밀봉 인사'는 '수첩 인사'와 깜깜 인사'로 이어지고, 정권이 구성되기도 전에 내정자 7명이 낙방하는 참사로 결론 맺는다. 박근혜 정부는 이런 참사에 대한 반성은커녕 결격 사유가 있는 17명 중 끝내 6명의 인사를 강행했고 결국 윤창중 대변인의 성추행 파문으로 이어졌다.

또한 박근혜 정권은 경제 민주화를 외치던 김종인을 내친 대신 유신 정권의 출신의 성장론자  현오석을 부총리로 앉힌데 이어, 진박 감별사 최경환, 호위 무사 윤상현, 박근혜의 신데렐라라 칭해지던 조윤선 장관을 거듭 들이며 '충성'을 인사의 제 1 명제로 내걸었다.

하지만 이런 드러난 인사보다 심각한 것은 이른바 '소도(蘇塗)'라 칭해지던 정윤회를 비롯한 문고리 삼인방, 그리고 결국 최순실로 이어진 뽑히지 않은 '권력의 핵심'들이다. 이너 서클에 의존한 코드 인사와 불통 인사는 나쁜 권력의 전형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권력은 언제나 나빠질 수 있다

프로그램은 이명박, 박근혜 정권에서 팽 당한 경험이 있는 조응천, 김병준 등의 전직 이너 서클 인사와 문희상, 유시민 등 정치인들의 경험과 의견에 기초해 권력의 인사를 서술해 간다.

인사로 시작하여 인사로 끝나는 권력. 이는 국민을 위해 존재하는 유일한 합법적 폭력이다.  권력의 정의에서 찍혀져야 하는 방점이 국민에서 폭력으로 바뀌는 순간, 법과 원칙은 사라진다. 출연자들은 입을 모아 말한다. 권력은 칼이지만 권력이라는 칼에는 손잡이가 없다고. 잘못 잡으면 손을 베기도 하고, 상대방을 찌른다고 했는데 어느새 내 몸 속에 칼이 박혀 있기도 하다고. 다큐멘터리는 '군주민수(君舟民水)' 즉, 임금은 배요 백성은 물이라 물은 배를 띄우기도 하고, 배를 뒤집기도 한다는 고사성어로 마무리된다.

 <SBS 스폐셜- 권력의 탄생>의 마지막 장면.

의 마지막 장면. ⓒ SBS


대선 투표를 일주일 여를 앞둔 시점에, 새삼 지난 권력의 인사를 역지사지 해보겠다는 취지의 다큐. 어쩌면 뻔하고 진부한 이야기일 수도 있는 지난 정권의 권력 행사에 대한 이야기는 과열된 대선 레이스의 정점에서, 원칙을 되돌아보게 하는 시간이 되었다.

최근 정치학자 박상훈씨는 시민을 위한 정치 이야기란 부제를 달고 <정치가 우리를 구제할 수 있을까>란 책을 펴냈다. 이 책에서 지은이는 우리의 사회적 삶을 진화하는 방편으로서의 정치를 역설한다. 권력을 선용할 수 있는 능력의 경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현실을 변화시키려는 준비와 이상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가 새로운 권력 선택의 기준점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제가 하면 다 해낼 겁니다"라는 말을 맹목적으로 믿은 결과가 곧 국민에 의한 탄핵이었다. 엄청난 역사적 후퇴를 경험했던 시간이었다. 과연 지금 후보자들을 제대로 바라보고 있는 것일까? 부디 장미꽃 향기 속에 탄생한 정권의 미래는 불운의 역사를 되풀이 하지 않기를.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SBS스페셜-권력의 탄생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