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4월 1일부터 8일까지 2주간 방영된 MBC 무한도전 국민내각편에서 한 청년의 발언에 관심이 모아졌다. 하루 22시간 주 7일을 했다는 이야기이다. 새벽 4시 30분 퇴근하고 택시타고 집에 와서 씻고 옷 갈아입고 다시 택시 타고 오전 6시 출근했다는 그녀는 두 달 동안 7만 원을 받았다고 한다. 그런 회사를 1년이나 다녔단다.

청년은 "그때는 그렇게 22시간을 일하면 다른 친구들이 8시간 일할 때 3배의 일을 하니까 3배 더 성장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으로 버텼던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현재 청년들은 언제 끝날지 모르는 회사 일, 노동착취 속에서 불투명한 미래를 걱정하며 떨고 있다.

2017년 여전히 우리는 다른 사람 '비정규직'

'출근 준비하는 당일 날 문자로 해고를 통보받았어요. 심지어 가위바위보로 해고자를 결정하는 곳도 있어요. 매일 마다 내일 출근 여부를 확인해야 돼요.'

'같은 장소, 같은 시간, 같은 일을 해도 임금은 절반이에요. 상여금이나 명절선물은 없어요. 심지어 탈의실, 휴게공간, 화장실도 차별받아요. '

'잠깐의 휴식도 허락되지 않아요. 작업장을 CCTV로 감시하고 있거든요. 핸드폰은 반납해야 되고 복장도 검사해요. 잔업과 특근을 강제하고 심하면 욕설이나 폭력도 많아요.'

파견직이 만연한 반월/시화공단에서 취재한 내용 중 일부이다. 실제 반월/시화공단 일대는 불법 파견업체들이 활개 치고 있다. 대부분 별다른 절차 없이 문자로 출근을 통보한다.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거나 교부하는 일은 거의 없다. 당연히 4대보험도 적용 안 되는 사업장이 대부분이다. 불법파견업체로 신고하면 회사 이름을 바꾸거나 위장 폐업하는 꼼수로 처리한다.
파견직 노동자는 절차도 없이 메시지로 출근여부 통보받는다.
▲ 별다른 절차도 없이 메시지로 출근여부 통보 파견직 노동자는 절차도 없이 메시지로 출근여부 통보받는다.
ⓒ 바꿈, 세상을 바꾸는 꿈

관련사진보기


'20대 남성 A씨는 음식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했는데, 첫 월급날 아무리 금액을 따져봐도 액수가 맞지 않았다. 음식점 주인은 "원래 아르바이트 첫날은 교육 기간에 해당한다. 따라서 당연히 급여를 지급하지 않은 것" 이라며 요지부동이었다.' - 국민신문고'에 아르바이트 피해 민원 사례 중

비정규직의 범위는 넓고 크다. 앞서 말한 파견직 외에도 단순 아르바이트, 일용직 근로자 등 늘어나는 비정규직 숫자와 다양한 유형만큼 수많은 차별 사례들이 존재한다. 통계청은 2016년 8월 기준으로 임금을 받는 노동자 1963만 명 가운데 비정규직을 644만 명이라고 발표했다. 일하는 사람 중 약 33% 비정규직인 셈이다. 심지어 한국노동사회연구소는 874만 명이 비정규직이라고 발표했다. 일하는 사람 중 절반에 가까운 44.5%가 비정규직인 셈이다.

#나의_비정규직_공약은?

가위 바위 보로 해고되는 파견노동자, 절반의 임금으로 차별과 반말 무시를 견뎌야 하며, 이름도 제대로 불리지 못하는 비정규직 이야기를 담는 집담회가 열린다. 19대 대선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사회와 노동계는 다양한 비정규직 사례를 공유해 우리 사회 비정규직 담론을 확산시키고자 한다. 일시는 4월 18일(화) 오후 7시부터 열리며 장소는 환경재단 레이첼 카슨홀이다.


태그:#노동, #대선, #비정규직, #청년, #파견
댓글1

세상을 바꾸려면 바꾸는 방법도 바꾸어야 합니다. 바꿈은 단 5년의 프로젝트로 단체를 키우지 않습니다. 흩어져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킹하여 공동으로 행동하고, 수많은 양질의 컨텐츠를 카드뉴스 등으로 쉽고 재미있게 가공해 대중적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세대가 함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청년 및 청년단체가 주축이 되어 함께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