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안녕하세요. 저는 지난달 15일에 수원대를 졸업한 빈재욱입니다. 09학번이지만 몇 년간 휴학을 해 이번에 늦게 졸업했습니다. 지난 몇 년 동안 수원대가 많은 문제에 휩싸일 때 작게나마 활동하며 느낀 바를 정리하고 싶어 이 기사를 씁니다.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수원대 사태에 대해 학생의 시각으로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처음 수원대 사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은 2013년 말이었습니다. 수원대 비리를 폭로한 몇몇 교수의 재임용을 학교 측이 거부하며 문제가 불거졌습니다. 이때 한 동영상이 인터넷에 등장했습니다. 한 학생이 2013년 전후로 수원대에서 일어났던 일들에 대해 정리한 영상이었습니다(수원대 시국선언). 이 동영상을 통해 학생들은 학내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D등급학교라는 불명예가 수원대 학생들의 자괴감을 더했다.
 D등급학교라는 불명예가 수원대 학생들의 자괴감을 더했다.
ⓒ 수원대

관련사진보기


2014년부터 저는 수원대 사태 해결을 위해 여러 가지 시도를 했습니다. 1인 시위로 신입생들에게 학내 사태를 알리고, 해직 교수님들을 위한 작은 이벤트도 마련했습니다. 이런 소소한 활동을 통해 생각이 비슷한 학생들과 연대하며 문제 해결을 모색했습니다.

당시 학교와 해임 교수들은 지속적으로 부딪히며 갈등의 골이 깊어졌습니다. 심지어 교직원이 교수를 폭행하는 사건까지 일어났습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됐지만 학생들은 집단적으로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습니다. 개인적으론 총학생회, 단대 학생회의 태도도 아쉬웠습니다. KBS의 '추적60분'에서 수원대 비리를 다루자 시위를 한번 했지만 그 이후에는 별다른 행동을 취하지 않았습니다.

문제는 커졌지만 학교 안에서 활발한 문제제기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한번은 학교 측에서 행정실수로 학생들에게 5000원 정도의 금액을 지급하지 않았는데 학생들의 항의가 빗발쳤다는 이야기를 교직원으로부터 전해들은 적이 있습니다. 이런 문제에는 나서지만, 학내 분규에 대해서는 소극적 모습을 보이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저는 지난 몇 년간 학교에서 패배감이 가득하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인서울이 아닌 '지잡대'에 다닌다는 자괴감이 학생들을 지배했습니다. 학교를 자랑스러워하지 않고 '빨리 졸업장만 따면 되지' 라는 마음을 지니고 있는 이들도 있었습니다. 이 이유가 전부는 아니겠지만, 학내 구성원들이 수원대 사태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힘든 이유를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학교 밖으로 눈을 돌려보니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사학 비리와 싸우는 학생들이 있더군요. 상지대, 청주대가 그렇습니다. 그곳의 학생들은 자발적으로 움직였습니다. 누군가 시키지 않아도 함께 모여 학내 문제와 맞서 싸웠습니다. 늘 효과적인 움직임을 보여주지는 못했지만 근본적으로 학생들끼리 연대하며 학교 측을 압박했습니다.

완벽한 승리는 아니지만, 지난해 상지대 총학생회와 교수 등은 전 이사장 김문기씨의 복귀를 초래한 교육부의 이사 선임 처분이 위법하다는 판결을 이끌었습니다. 학생들의 지속적인 활동과 관심이 이런 결과를 만드는 데 일조했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결국 모든 문제는 학생들이 풀어야 한다는 교훈를 알 수 있었습니다.
                                 
결국에는 학생들이 나서야 한다

 이인수 수원대 총장을 규탄하는 행사.
 이인수 수원대 총장을 규탄하는 행사.
ⓒ 빈재욱

관련사진보기


저는 학교 관련한 일을 할 때마다 '그래서 바뀔 것 같냐?', '너 혼자서 뭘 할 수 있냐' 등의 조롱을 듣는 것이 가장 싫었습니다. 연대의 연결고리도 없는 척박한 상황에서 날아오는 냉소는 저를 견디게 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결국 저에게 희망을 준 것도 학생들이었습니다. 문제 의식을 가지고 행동한 학생들 덕분에 힘을 얻었습니다.

질 나쁜 교육을 제공하던 학교에 뿔이 난 몇몇 학생들은 수원대에 '등록금 환불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현재 1, 2심까지 승소했습니다. 만약 대법원에서도 승소한다면 전국 대학생 중 최초로 수원대 학생들이 등록금을 환불 받게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이유는 '연대'였습니다.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을 보여준 사례입니다. 생각이 비슷한 이들이 뭉쳐야 합니다. 이런 희망들을 보면서 저는 끝까지 학내 문제에 관심을 놓지 않았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아쉽게도 저는 수원대 정상화를 보기 전에 졸업했습니다. 졸업하는 그 날까지도 제가 할 수 있는 일이 없을지 고민했습니다. 끝내 졸업했지만 아쉬움이 가득합니다. 수원대 비리 사태가 재정 지원 제한 대학에 선정되는 데 영향을 미치면서 결국에는 모든 피해를 학생들이 받는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졌습니다(수원대는 2년 연속 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선정됐습니다. 2년 연속 학교 평가에서 D-등급을 유지했습니다). 이런 상황을 두고 오는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흘러간 물로는 물레방아를 돌릴 수 없다고 합니다. 이제 저는 이 글을 마지막으로 수원대 사태에 대한 활동을 마무리하려고 합니다. 저보다 몇 배나 용기 있고 출중한 능력이 있는 학생들이 꼭 이 문제를 풀어주었으면 합니다. 도움을 주었던 많은 분들에게 고마움을 표하지 못해 죄송하다는 말을 남깁니다. 이 글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수원대 사태에 해결의지를 보이고 있는 학생언론단체 프리미디어.
 수원대 사태에 해결의지를 보이고 있는 학생언론단체 프리미디어.
ⓒ 프리미디어

관련사진보기




태그:#수원대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