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폭염 때문에 에어컨 사용 등으로 전기요금 폭탄을 걱정하는 국민이 늘어났습니다. 정부와 새누리당은 누진제를 완화하거나, 당정 TF팀을 구성해 전기요금을 전면 개편한다고 합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전기요금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 등이 나오고 있지만, 그러나 가장 먼저 개선해야 할 전기요금 항목이 있습니다. 우리가 내는 전기요금 체계가 합리적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요금 고지서를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청구 요금이 얼마인지만 봅니다. 그러나 청구 내역을 자세히 보면 우리가 전혀 알지 못하는 항목이 있습니다. 바로 '전력기금'입니다. 전력기금은 전기사업법에 따라 전기요금의 3.7%를 징수하는 '전력산업기반기금'입니다. 준조세에 해당합니다.

전기요금에는 사용 요금에 따라 3.7%의 전력기금이 추가된다.
 전기요금에는 사용 요금에 따라 3.7%의 전력기금이 추가된다.
ⓒ 임병도

관련사진보기


전기요금의 3.7%는 별거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누진제 등으로 전기요금이 늘어나면 전력기금 부담액도 증가합니다. 만약 4만 원의 전기요금을 냈던 가정이 누진제로 12만 원을 낸다면 전력기금도 1480원에서 4440원으로 2960원을 더 납부해야 합니다. 누진제 요금에 누진 전력기금까지 내야되는 셈입니다.

과도한 전력기금 징수, 사용은 흥청망청?

산업통상자원부가 밝힌 전력기금 중기 운용 전망
 산업통상자원부가 밝힌 전력기금 중기 운용 전망
ⓒ 임병도

관련사진보기


국민들은 전기요금 고지서에 '전력기금'이라는 항목조차 모르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2015년 전력산업기반기금 부담금 수입은 2조1440억 원에 이릅니다. 사업비 지출은 1조9106억 원으로 2394억 원이 남았습니다.

국회예산정책처의 자료를 보면 전력기금 수납액은 전기요금 인상과 전기사용량의 증가로 2013년 1조8275억 원에서 2015년 2조1440억 원으로 지난 3년간 2865억 원이나 증가했습니다.

준조세로 징수한 전력기금이 제대로 사용되어 질까요? 아닙니다.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15년 국정감사에서 밝힌 자료를 보면 정부는 2009년 1700억 원을 투자했다가 원금 350억 원을 까먹는 등 혈세를 날리기도 했습니다. 연간 2000억 원이 넘는 대기업 연구개발비(R&D)가 무상 지원되고, 대기업인 민간발전사 민원처리비용으로 1000억 원씩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박 의원은 2015년 국정감사에서 '전력기금은 사업비 대비 여유 자금율이 무려 73%에 달하며, 이는 정부가 제시하는 적정율 10∼15%(1684억∼2527억 원)와 비교해 4.9∼7.3배나 높은 실정'이라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전력기금 1%p만 낮춰도 국민부담 5000억 원 줄어

2014년 기준 전력기금 요율을 1%P 만 낮춰도 국민부담은 5,652억이 줄어든다.
 2014년 기준 전력기금 요율을 1%P 만 낮춰도 국민부담은 5,652억이 줄어든다.
ⓒ 임병도

관련사진보기


과도하게 징수되고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전력기금, 조금만 줄이면 전기요금을 납부하는 국민들의 부담이 줄어들게 됩니다. 먼저 0.5%p를 내려 3.2%로 조정하면 국민부담은 1조8086억 원으로 2826억 원이 경감됩니다.

1%p를 내려 2.7%가 되면 국민부담은 1조5260억 원으로  5652억 원이 줄어듭니다. 1.7%p를 내려 2.0%로 조정하면 국민부담은 1조1304억 원으로 경감액만 8888억 원이나 됩니다.

지난 8월 11일 새누리당과 정부는 여름철 전기요금 누진제 완화에 4200억 원의 재원이 소요된다고 합니다. 마치 정부가 큰 결심을 하는 것 같아 보이지만, 전력기금 1%p만 낮춰도 국민 부담은 5652억 원이 줄어듭니다.

낮은 전기요금이 정전 사태의 원인?

8월 18일 전기요금 개편을 위한 당정 TF팀이 구성됐다. TF공동위원장을 맡은 손양훈 인천대 교수는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한 2011년에 열린 ‘9·15 정전사태와 전력산업 구조개선 방향’ 세미나에서 발제를 하기도 했다.
 8월 18일 전기요금 개편을 위한 당정 TF팀이 구성됐다. TF공동위원장을 맡은 손양훈 인천대 교수는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한 2011년에 열린 ‘9·15 정전사태와 전력산업 구조개선 방향’ 세미나에서 발제를 하기도 했다.
ⓒ 임병도

관련사진보기


8월 18일 새누리당과 정부는 전기 요금 체계 개편을 위한 당정 태스크포스 첫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뭔가 대단한 개편안이 나올 것이라 예상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실상은 그리 밝지만은 않습니다.

태스크포스 공동위원장을 맡은 손양훈 인천대 교수는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한 2011년에 열린 '9·15 정전사태와 전력산업 구조개선 방향' 세미나에서 "전기요금의 인상 수준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을 훨씬 밑돈 반면, 고유가로 석유·석탄·가스 등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다른 에너지에서 전력으로 수요 전환이 물밀듯이 발생했다. 이로 인한 전력 수요 급증이 9·15 정전 사태의 근본 원인"이라고 밝혔습니다.

류이근 <한겨레> 경제부 기자는 '손 교수와 다른 토론자들의 얘기를 요약하면  '낮은 전기요금→전력 수요 증가→전력 공급 기반 약화→순환 정전'이란 도미노의 결과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관련 기사: 전기료 왜곡, 전력대란 또 부를 수도)

실제 가정용 전기요금을 kWh당 계산해보니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실제 가정용 전기요금을 kWh당 계산해보니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 임병도

관련사진보기


실제 가정용 전기요금을 kWh로 계산하면 kWh당 200원이 됩니다. 미국(116원), 프랑스(142원)보다 높고, 일본(202원)과는 비슷합니다. 낮은 전기요금이 정전 사태가 발생하게 된 유일한 원인이라고 단언하긴 어렵습니다. 17%에 불과한 주택용 소비전력보다 월등히 많은 77%의 산업용 전기도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전기 요금을 무조건 낮추는 것만이 능사는 아닙니다. 하지만 불합리한 전력기금 등의 과도한 징수나 징벌적 누진제 등의 개편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합니다. 오늘도 전기 요금 때문에 벌벌 떠는 국민이 '죄인'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정치미디어 The 아이엠피터 (theimpeter.com)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전기요금, #전력기금, #징벌적 누진제, #국가별 전기요금, #준조세
댓글2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립 언론 '아이엠피터뉴스'를 운영한다. 제주에 거주하며 육지를 오가며 취재를 하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