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우리나라의 보건 교육은 쉼과 회복이 아니라 즉각적인 증상 해소 또는 인내 중심이다.
▲ 보건 교사 우리나라의 보건 교육은 쉼과 회복이 아니라 즉각적인 증상 해소 또는 인내 중심이다.
ⓒ pixabay

관련사진보기


올해 초, 방학 중 스페인에 다녀오신 선생님에게 들은 일화다. 일정 중 잠깐 한인 민박에 머무르면서 주인에게 들은 이야기인데, 한번은 아이 문제로 학교에 불려간 적이 있었다고 한다.

그저 가벼운 생각으로 아이에게 '성적을 올리면 적은 액수의 용돈을 주겠노라'고 약속했는데, 아이가 학교에서 친구들과 대화하던 중에 그 이야기를 했고 아마 아이의 선생님도 내용을 인지하게 된 것 같다. 선생님에게 호출을 받고 놀란 마음으로 학교에 도착하자, '성적을 올리도록 유인책으로 돈을 제시하는 것은 교육적이지 않다'며 심각하게 충고를 들었다고 한다.  

그 일화를 들으면서, 스페인의 학교와 교육에 대한 가치관을 엿볼 수 있었다. 그리고 금세 무슨 직업병이라도 걸린 것처럼 우리의 학교와 교육에 대한 철학과 접근을 다시 돌아보게 됐다.

'문지기' 역할을 할 뿐인 보건교사의 딜레마 

올 3월 초, 학교 보건 관련 회의가 있어 참석했다가 최근 들어 보건실에 대한 민원이 증가하는 추세라는 것에 화제가 집중됐다. 객관적으로 타당한 문제 제기도 있지만, 각종 검사 도구와 다양한 의료인이 배치된 병원에서조차 바로 대처하기 어려운 사안에 대해 보건교사가 신적인 존재처럼 완벽하게 대응하기를 바라는 경우도 일부 있었다.

문제는 일부 극단적인 민원 발생의 기저에는 보건실에 대한 신화 같은 이미지가 작동한다는 것이다. '보건 교사는 학부에서 간호학을 전공한 의료인이니 척 보면 무슨 증상인지 한눈에 알아야 하지 않느냐', '보건실이라면 적어도 각종 전문적인 응급처치 기구가 갖추어져 있지 않겠느냐'하는 것 말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간호사를 비롯한 모든 의료인이 가지는 딜레마는 증상을 보고 어느 정도 건강 문제를 유추할 수는 있지만, 처음부터 완벽하게 진단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또 보건실은 치료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병원이 아니고, 건강 문제를 1차 진단하여 필요할 때 치료 기관으로 의뢰하는 '문지기' 역할을 할 뿐이다.

경기도 부천시에서 보건 교육을 하는 모습.
▲ 보건 교육 경기도 부천시에서 보건 교육을 하는 모습.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일정 규모 이상에는 보건교사를 2인 이상 배치하고, 학부모와 공식적으로 학생들의 건강 문제를 논의하면서 서로 소통의 기회를 넓히는 협의회 등이 있지만, 보건실의 기능을 '치료'보다는 '보건 교육'과 '건강 상담'에 두고 있다. 더구나 아픈 학생의 경우에는 학부모와 동행하여 바로 귀가 조처를 시키는 등 쉼과 회복 중심의 교육 정책을 지향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전국 보건교사 배치율이 수년째 65% 정도에 머무르고 있는 데다 학교 규모와 상관없이 1교 1인 배치를 고수하고 있으며, 학부모와 보건실이 공식적으로 협의하는 소통의 창구는 없다시피 하다.

학생이 아프더라도 조퇴, 결석 등이 입시와 맞물려 있어서 쉽게 귀가하지 못한다. 또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사회의 전반적인 조직 문화도 아이들 건강 문제를 챙기기 위해 직장인 학부모가 조퇴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보건실의 병원화를 암묵적으로 지지할 수밖에 없고, 결국 보건교사는 어떤 조건과 상황 속에서든지 무조건 슈퍼맨이 되어야 한다.

아이러니한 것은 민원의 주요 내용은 보건실의 병원화란 이상 때문에 초래되는데도, 정작 무의촌 소규모 학교의 보건교사 미배치 문제는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건강은 곧 증상의 치료라는 개념에 익숙해 있어, 쉼과 회복이 아니라 즉각적인 증상 해소 또는 인내 중심의 교육 철학이 중심이 되다 보니, 미래지향적인 보건실의 비전과 상황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

어떻게 하면 선진국처럼 소통하고 공유하는 보건실, 쉼과 회복을 지향하는 교육정책으로 전환될 수 있을까. 새봄, 입시 중심의 학부모 총회를 앞두고 마음만 무겁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부천자치신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보건실, #보건교사, #학교보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