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오디션을 준비중인 서울예대 졸업생, 꿈을 좇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

취업 오디션을 준비중인 서울예대 졸업생, 꿈을 좇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 ⓒ KBS2


2월, 꽃샘추위가 시작되는 달이다. 새싹이 피어오르는 봄을 시샘하듯, 청춘들의 새로운 도약에 발을 걸어 넘어뜨리는 계절이기도 하다. 매해 2월이면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에 첫발을 디뎌야 하는 젊은이들이 쏟아져 나오지만, 그들을 맞이하는 건 새 직장 대신 '백수'라는 처연한 이름표이기가 십상이다. 청춘의 꽃샘추위는 스쳐 지나가지 않고 오래도록 그들을 괴롭힌다. 예술을 전공한 학생들이라고 해서 다를 바 없다. 아니 더 잔혹하다.

전국 대학 중 연극 영화과는 65곳 정도, 해마다 여기서 배출되는 졸업생이 2400명을 넘어선다고 한다. 그렇다면 '연기'를 전공한 이들은 그 이후 어떤 행보를 걷게 될까? 2014 예체능 출신 대학생들의 취업률은 41.4%로 계열별 최하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여기서 더 심각한 것은 전공 관련 취업률이 겨우 5.1%에 불과하다는 참혹한 현실이다. 그래서 언제인가부터 사법고시, 행정고시, '언론고시' 외에도 '연예고시'라는 말이 생겨났다. 지난 14일 <다큐 3일>은 바로 그 연예고시의 한 현장을 72시간 목도한다.

잔혹 동화가 되어 버린 취업 오디션

 꿈을 찾는 청춘들, 그들은 정말 '앞으로' 나갈 수 있을까.

꿈을 찾는 청춘들, 그들은 정말 '앞으로' 나갈 수 있을까. ⓒ KBS2


서울예대는 'N포 세대 꿈을 찾는 청춘들'이라는 부제를 단 '앞으로 페스티벌'을 열었다. 형식은 축제였다. 하지만 그 내용은 졸업을 앞뒀음에도 아직 그 어느 곳에서도 '캐스팅'의 기회를 얻지 못한 '백수' 예비생인 졸업생을 위한 '취업 오디션'이었다. 연예 관계자 100명을 초대하여 졸업생, 그리고 졸업을 했지만, 아직 취업하지 못한 취업 재수생들의 끼와 재능을 한껏 발휘할 수 있는 무대를 학교 측에서 마련한 것이다.

취업을 위한 이 무대에 17명의 학생이 올라와 지난 3년간의 열정을 아낌없이 쏟아붓는다. 냉엄한 현실 앞에 도우미를 자청한 선배들도 그리고 이 무대를 총괄하는 교수도 허투루 말을 내뱉을 수 없다. 오히려 한 마디 한 마디가 눈물을 쏙 빼놓는, 그리고 자신이 준비한 모든 것을 뒤집어엎을 만큼 찬 서리일 뿐이다.

하지만 학생들은 그런 질타에 주저앉을 수 없다. 그러기엔 그들이 맞이할 현실을 그들 자신이 너무 잘 알기 때문이다. 이 마지막 기회를 그나마 잡지 못한다면, 그들은 지난 3년 자신이 선택했던 '꿈'의 시간이 무위로 돌아갈 수도 있다는 것을 안다. 카메라가 지켜보는 학생들의 72시간은 절박하다. 그들의 초조함은 깊다. 하지만 꿈을 위해 달려온 시간, 졸업하고도 무기력하게 보냈던 시간 혹은 먹고 살기에 쫓겨 연습조차 할 수 없었던 시간이 그들을 이해시키지는 않는다. 결국 된서리를 맞고 애써 준비했던 무대가 없어지거나, 스스로 포기하거나, 다시 새로 시작할 수밖에 없다.

벼랑 위에 선 절박함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사범대를 다니다가 연기과를 다니는 동생의 삶이 부러워 선생의 길을 마다한 채 늦깎이로 합류한 졸업 예비생도 있다. 비록 앞으로의 시간이 막막한 줄 알지만, 지난 3년의 선택에 후회는 없다. 자신의 인생을 달리 보고, 다시 살 수 있는 시간이었기 때문이다. 자신을 너무 사랑해서 스스로가 미워 자책하고 좌절했던 학생들도, 결국 무대에 선 그 시간 속에서 결국 자신이 이 길을 벗어날 수 없음을 절감하기도 한다. 오히려 그 벼랑 위에 서보니 지금 이 기회가 아니더라도, 이 길을 가야겠다는 다짐이 굳건해지기도 한다.

꿈을 향한 마지막 기회일지 모르는 페스티벌의 준비 기간이 끝나고, 연예 기획사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졸업생, 졸업 예비생들은 최선을 다한다. 그러나, 기회는 그들의 열정에 비례하지 않는다. 그날 공연을 펼친 학생들 가운데, 기회가 주어진 것은 단 10명에 불과했다. 그것도 캐스팅도 아니고, 그저 연예 기획사 2차 오디션을 볼 기회였다. 연기를 사랑하는 마음, 꿈을 위해 달려온 시간에 비하면 너무도 초라한 '잔혹 동화'다. 그리고 이는, 서울예대만이 아니라, 예술이라는 장르를 선택한 모든 대학생에게 돌아갈 동일한 '답안지'이라는 데서 더 잔인한 현실이다.

 마지막일지 모르는 기회를 잡기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17명 중 단 10명만이 두 번째 그것도 불확실한 기회를 얻었을 뿐이다.

마지막일지 모르는 기회를 잡기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17명 중 단 10명만이 두 번째 그것도 불확실한 기회를 얻었을 뿐이다. ⓒ KBS2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다큐3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