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킬링필드가 자행된 땅, 캄보디아에도 메콩강은 흐른다. 그러나 메콩강은 말이 없다. 모가지가 길어서 슬픈 사슴이 아니다. 모가지가 너무 길어서 아름다운 기린이다. 키가 제일 큰 동물, 네 발은 땅(현실)에 있고, 머리는 하늘(이상)에 있다. 메콩강가에서 페리를 기다리면서.
▲ 메콩강가에서 페리를 기다리며 킬링필드가 자행된 땅, 캄보디아에도 메콩강은 흐른다. 그러나 메콩강은 말이 없다. 모가지가 길어서 슬픈 사슴이 아니다. 모가지가 너무 길어서 아름다운 기린이다. 키가 제일 큰 동물, 네 발은 땅(현실)에 있고, 머리는 하늘(이상)에 있다. 메콩강가에서 페리를 기다리면서.
ⓒ 강기석

관련사진보기


나이 육십에서 한 살이나 두 살 쯤 빠지는 나이가 되면, 아직 늙지 않았다고 뻗댈 수는 있어도 뭔가 새로운 일을 시도하기에는 망설임이 앞서게 마련이다. 악기를 배운다거나 운동같은 취미생활을 가볍게 시작할 수는 있어도, 어디 좀 낯설고 물선 곳에 장기여행을 계획하는 것만도 쉬운 일이 아니다. 겁이 많아질 뿐 아니라 우선 몸이 뻑뻑해져서 잘 말을 듣지 않는다. 한마디로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새로운 도전을 감당하기가 힘들다는 얘기다.

그러므로 '그런 나이'의 그가 느닷없이 아주 먼 나라의 가장 낮은 곳을 찾아 장기간 자원봉사해야겠다고 결심한 자체가 범상치 않다. 하물며 그런 자원봉사를 하면서 자기가 살아 온 인생을 되돌아보고 좀 더 보람있는 제2의 인생까지 모색하려 했다니 더 기가 막힌다. 이백만의 <두 번째 방황이 가르쳐 준 것>들이란 책은 그런 범상치 않은 경험을 스스로 찾아 겪은, 한 육체적 '예비노인'이되 정신적 '예비청년'의 인생고백서다.

책이란 것이 그럴만한 어떤 위치에 있거나 자격있는 인물이 가치있는 새로운 지식이나 경험을 전해주는 미디어라 말할 수 있다면 바로 이 책이 그런 책이다. 전혀 자기의 경험에 대한 과장과 허세없이, 오히려 자꾸 밑으로만 내려가려는 겸손함 속에서 7개월 동안 캄보디아의 장애인자활센터 혹은 수도원 등에서 겪은 일들, 캄보디아를 이곳 저곳 둘러 본 일들, 그리고 그곳에서 사귄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들이 한아름 엮여져 있다.

책 표지
▲ 두번째 방황이 가르쳐 준 것들 책 표지
ⓒ 강기석

관련사진보기


가장 낮은 곳에서 가슴으로 겪은 가장 아름다운 이야기들

시간대 별로 엮은 편년체가 아니라 주제 별로, 현지에서 살면서 이웃처럼 지내야 했던 모기 뱀 도마뱀 붉은개미 등과 얽힌 사소한 에피소드들로부터 시작해 장애인자활센터에서의 단체생활, 운영시스템 등 '몸'으로 살았던 이야기들, 카르멜 봉쇄수녀원과 시하누크빌 가톨릭 피정센터에서 목격하거나 직접 겪었던 '정신'의 이야기들, 큰 주제들로는 캄보디아의 정치이야기, 경제이야기, 천주교와 불교 등 종교이야기들이 가득 담겨있다. 이야기 하나하나마다 끝내 벗어 던지지 못한 기자 출신의 호기심과 세밀한 관찰력이 반짝거리고 있다. 여기에, 톤레삽 호수의 선상족과 수상족들의 살아가는 모습을 그린 '톤레삽의 삼위일체'가 대표적인데, 그는 캄보디아의 모든 것을 눈으로만 구경한 것이 아니라 가슴으로 받아들였음을 느낄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은 제목처럼 결코 '방황기'가 아니라 한 젊은 정신의 '모색기'이기도 하며, 새로운 삶에 대한 '탐색기'이기도 하다. 또한 한 '초보' 천주교도의 '신앙고백기'이며 기자가 쓴 '캄보디아 문화유적답사기', '캄보디아 정치경제사회 취재기'이기도 하다.

톤레삽강은 캄보디아의 젖줄이다. 한국의 한강과 같다. 소형 보트를 타고 톤레삽강을 탐사했다. 최빈국 캄보디아 서민의 삶을 체험했다. 한국의 1960년대를 떠올렸다.
▲ 톤레삽강 답사 톤레삽강은 캄보디아의 젖줄이다. 한국의 한강과 같다. 소형 보트를 타고 톤레삽강을 탐사했다. 최빈국 캄보디아 서민의 삶을 체험했다. 한국의 1960년대를 떠올렸다.
ⓒ 강기석

관련사진보기


이백만은 7개월 동안 몸은 대한민국을 떠나 있었어도 마음만은 늘 그렇지 못했던 모양이다. 캄보디아에서 무언가 새로운 경험을 하거나 새로운 사람을 사귀게 되면 조국에서 그가 겪었던 과거와 현재의 연관된 사건들과 인물들이 실타래처럼 줄줄이 풀려 나온다. 시하누크빌에 있는 가톨릭 피정센터를 보면 부산 용두산이 떠오르고, 따프롬사원의 석상과 사원 등 문화재를 칭칭 감고 있는 바냔나무를 보면 재벌들이 칭칭 감고 있는 한국 경제가 연상되는 식이다. 캄보디아의 삼랭시는 한국의 김대중이고, 크메르루즈의 대학살은 바로 4.3 제주도 학살,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다름없는 것이다.

그럼 이 책을 지은 이백만은 어떤 인물인가. 내가 그를 조금 알고 있다 해서 정작 중요한 저자 소개를 잊어 버렸다. 그는 일류 중고등학교에 서울대학을 나와 경제전문지와 중앙일간지에서 경제전문기자로서 커리어를 쌓고 노무현정부 때 국정홍보처 차장을 거쳐 청와대 홍보수석까지 지냈다. 가장 세속적인 잣대로 보자면 그는 성공한 인물임에 틀림이 없다. 잠깐 정치에 몸담았다가 (배지를 다는데) 실패했다고는 하지만 그가 들었던 '개혁정치'의 깃발은 명예로운 훈장으로 남을 터다.

70대의 원로 신부 메이스(John D. Mace)는 청년이었다. 한국말을 잘 하고, 한국을 한국사람보다도 더 사랑하는 메이스신부에게서 많이 배웠다. 메이스와 소주를 마실 때면 역사가 나오고 철학이 나오고 신학이 나왔다.
▲ 메이스 신부에게 소주 한 잔 70대의 원로 신부 메이스(John D. Mace)는 청년이었다. 한국만을 잘 하고, 한국을 한국사람보다도 더 사랑하는 메이스신부에게서 많이 배웠다. 메이스와 소주를 마실 때면 역사가 나오고 철학이 나오고 신학이 나왔다.
ⓒ 강기석

관련사진보기


호기심 많고 모험심 강한 나이 든 청춘의 값진 역정

천주교식 성격진단법인 '에니어그램'에 따르면 이백만은 '호기심도 많고 모험심도 강'해서 남들이 예상하지 못하는 의외의 일을 하고, 남들이 일반적으로 가는 길을 가지 않는 의외의 스타일로 나왔다고 한다. 그 역시 지금까지 걸어 온 인생역정이 그가 그렇게 하고자 해서가 아니라 그의 성격이 택한 '의외의 길'로 점철되었다고 고백한다.

내일 모레 환갑인 사람이 '인생 피정'이라는 '청승'을 떨면서 많은 값진 경험을 했고 많은 아름다운 사람들을 만난 것도 그의 호기심과 모험심이 택한 또 하나의 '의외의 길'이 거둔 성과였음에 틀림없다. 그런 '의외의 길'에 들어선 그는 새로운 것을 만나고 볼 때마다 아무 것도 모르고 묻고 또 물어서 비로소 깨달음을 얻은 것처럼 쓰고 있지만, 독자들은 그의 '의외의 길'이 사실은 오래 전 부터 '예정된 길'은 아니었을까 굼금해지면서, 그가 무엇을 물을 때에는 이미 대답의 씨앗이 그의 품성 속에 움트고 있었음을 짐작하게 된다. 그렇게 맑은 품성을 지니고 있는 인물이기에, 육체적으로 괴로울 수도 있는 환경에서 메이스 신부, 오인돈 신부, 한현배 수사, 마리비안네 수녀, 정철상 사장, 요안나, 조포아, 마리 등등 아름다운 사람들과 즐겁게 어울리며 그의 정신을 '스케일링'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제 그 경험담을 독자들과 나누어 누구라도 조금씩이나마 '정신적 스케일링'을 받을 수 있도록 책을 펴낸 것이라고 생각한다.     

책의 말미에 그는 프랑스 청년 조포아를 소개하면서 "조포아는 호기심과 상상력, 꿈을 갖춘 청년이었다. 내가 생각하기에 삶의 가치는 꿈에 있다. 꿈이 없으면 아무리 젊었더라도 늙은이나 마찬가지다. 아무리 나이를 먹었더라도 꿈을 가지고 있다면 청춘이다. 꿈은 바로 호기심과 상상력에서 나온다"고 했는데 바로 자신에게 다짐하는 말과 다름이 없다. 그리고 나같은 동년배들에게 던지는 무거운 화두가 아닐 수 없다.

7월 총선의 부정선거를 규탄하고 재개표를 주장하는 대규모 시위가 프놈펜 자유공원에서 수차례 열렸다. 외국인은 시위에 참여할 수 없었다. 대신 적십자 구호대원 자격증을 딴 다음 구호요원으로 활동했다.
▲ 민주화 시위 현장에서 7월 총선의 부정선거를 규탄하고 재개표를 주장하는 대규모 시위가 프놈펜 자유공원에서 수차례 열렸다. 외국인은 시위에 참여할 수 없었다. 대신 적십자 구호대원 자격증을 딴 다음 구호요원으로 활동했다.
ⓒ 강기석

관련사진보기




두 번째 방황이 가르쳐준 것들 - 엉클 죠의 캄보디아 인생 피정

이백만 지음, 메디치미디어(2014)


태그:#이백만, #캄보디아, #인생피정, #자원봉사, #홍보수석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그래, 이제 다시 시작이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