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왕의 꿈>의 천관녀(이세영 분).
 <대왕의 꿈>의 천관녀(이세영 분).
ⓒ KBS

관련사진보기


KBS1 TV 대하드라마 <대왕의 꿈>은 지난 6일부터 아역 연기자들이 성인 연기자들로 교체됐다. 성인 배우들이 등장하기 전까지 시청자들의 이목을 끈 것 중 하나는 천관녀와 김유신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었다.

드라마 속의 천관녀는 국가 신당에서 제사 업무를 보조하는 무녀(신녀)다. 소년 김유신은 시장에서 우연히 그를 만났고, 김유신의 적극 구애 끝에 둘의 사랑은 이루어졌다.

짧은 사랑을 나누는 중에 천관녀는 신분적 콤플렉스를 노출했다. 신당을 떠나면 기생이 될 수밖에 없는 자신과 사귈 수 있겠느냐며 김유신의 마음을 확인해본 것이다. 사랑에 빠진 소년이 이런 상황에서 신분 문제를 의식할 가능성은 낮지만, 역시 사랑에 빠져 객관적인 상황 파악이 힘든 천관녀는 상대방의 마음을 확인하고 싶었던 모양이다.

당연히 김유신은 그런 것에 개의치 않았고, 이 둘은 짧은 시간이나마 열렬한 사랑을 체험했다. 천관녀가 칼을 맞을 위기에 처한 김유신을 구하려다가 도리어 그 칼에 목숨을 잃으면서, 무녀와 김유신의 사랑은 '강제종료'되고 말았다. 

김유신과 무녀의 사랑? 

천관녀를 무녀로 설정하는 것은 비단 <대왕의 꿈>만이 아니다. 소년 김유신의 러브스토리를 다룬 예전의 사극에서도 그랬던 것으로 기억한다. 사극 작가들이 '천관녀=무녀'라고 설정하는 것은 천관녀(天官女)란 글자 때문일 수 있다.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에 따르면, 열일곱 살 된 화랑 김유신은 산속에서 수행하던 중에 신비한 노인을 만나, 그로부터 방술 즉 신선의 술법을 배웠다. 이듬해인 열여덟 살에 그는 산에서 향을 피우며 기도하던 중에 '천관' 즉 하늘신으로부터 빛의 세례를 받았다.

중국 도교에서도 천관은 천신(天神)을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런 예들을 보면, 천관녀는 하늘신을 모시는 여성이란 판단이 도출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사극 작가들이 천관녀를 무녀로 이해하는 듯하다.

천관녀가 무녀라면, 김유신이 현직 무녀와 사랑을 했다는 말이 된다. 김유신 역시 방술을 배웠으므로, 무녀와 잘 통했을 법도 하다. 이렇게 생각하면, <대왕의 꿈>을 포함한 사극들의 설정이 그럴싸하게 느껴진다. 하지만, 두 사람에 관한 기록을 읽어 보면,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판단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말을 타는 김유신(노영학 분).
 말을 타는 김유신(노영학 분).
ⓒ KBS

관련사진보기

고려시대에 편찬된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는 천관녀와 김유신의 사랑이 나오지 않지만, 같은 고려시대 기록인 <파한집>이나 조선시대 기록인 <동국여지승람> 및 <낙하생집> 등에는 이 러브스토리가 등장한다. 둘의 사랑에 관한 한, 어느 책이나 다 대동소이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들 기록에 따르면, 소년 김유신은 어머니 김만명(만명 부인)의 엄명에도 불구하고 서민 친구들과 교제했다. 백정의 아들과도 사귈 정도로 김유신은 신분의 고하를 불문하고 우정을 나누었다.

이런 경향이 동성 친구들과의 관계에서만 나타났다면, 별일이 생기지 않았을 것이다. 문제는 이성관계에서도 이런 경향이 나타났다는 점이다. 서민 친구들과 어울려 기생집에 다니면서 기생과 친분을 쌓은 것이다. 그는 좋아하는 기생의 집에서 밤을 새기도 했다. 

이때 김유신이 사귄 기생은 천관녀란 이름으로 불렸다. 조선 후기 학자인 이학규의 저서인 <낙하생집>에 따르면, 이 여성의 신분은 여예(女隸)였다. 노예의 '예'자가 붙은 데서 알 수 있듯이, 여예는 여자노비 혹은 여종이었다. 이 여성은 기생집에서 일하는 노비였던 것이다.

아들이 기생집 여성과 사귄다는 사실을 알게 된 김만명은 아들을 불러 놓고 울면서 타일렀고, 어머니의 눈물에 가슴이 울컥한 김유신은 다시는 기생을 만나지 않겠노라고 약속했다.

김유신은 기생을 잊겠다고 선언했지만, 김유신이 타고 다니는 말은 기생을 잊지 못했다. 얼마 뒤, 주인의 변심을 알 리 없는 그의 말은 술에 취해 곯아떨어진 주인을 기생집 앞에 내려다놓는 충심을 과시했다. 김유신이 얼마나 자주 그곳을 방문했을지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한동안 김유신을 그리워한 기생은 눈물을 흘리며 맞이하러 나왔다. 하지만, 김유신은 그 순간에 어머니의 눈물을 떠올렸던 모양이다. 그는 '좋은 아들'이었지만, '나쁜 남자'였다. 김유신은 칼을 들어 말의 목을 내리치고는 얼른 기생집을 떠났다.

이 장면이 기생에게 얼마나 큰 충격이 되었을지 짐작할 수 있다. 기생이 안 보는 데서 말을 죽여도 됐을 텐데, 김유신은 좀 곱지 않은 방법으로 기생과의 관계를 단절했다. 요즘 식으로 말하면, 음주 상태에서 차를 몰고 옛 애인의 집에 간 남자가, 정신을 차린 뒤에 차를 부수고 집으로 돌아가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대왕의 꿈>에서는 김만명이 아들 몰래 천관녀를 찾아가 "그만 만나라"고 점잖게 충고했다. 그러자 천관녀는 속으로는 괴로우면서도 김유신의 장래를 위해 그에게 이별을 통고했다. 그러던 중에 김유신의 적이 천관녀를 납치했고, 김유신이 천관녀를 구하려던 차에 천관녀가 목숨을 잃었다는 것이 이 드라마의 스토리다.

하지만, 실제의 천관녀는 그렇게 '쿨'하지 않았다. 김유신이 '승용차'를 죽이고 가버리자, 원망을 품은 그는 자신의 감정을 담은 노래 한 곡을 유포시켰다. 이것은 김유신의 이미지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혔을 것이다. 이처럼 실제의 천관녀는 드라마 속 모습과는 정반대였다.

말을 죽인 김유신, 쿨하지 않은 애인 '천관녀'

신라 여성과 남성을 묘사한 토우(흙으로 만든 형상).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찍은 사진.
 신라 여성과 남성을 묘사한 토우(흙으로 만든 형상).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찍은 사진.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그 기생의 집은 훗날 천관사란 종교 건물이 되었다. 원한을 품은 기생의 혼을 달래는 장소가 된 것이다. 김유신이 나중에 이 건물을 지었다는 말이 있고, 적어도 고려시대 중기까지는 이 장소가 존재했다고 한다.

천관사(寺)란 표현을 근거로 이곳을 불교 사찰로 단정해서는 안 된다. 한국이나 중국의 고대 문헌에 나오는 사(寺)는 불교뿐만 아니라 신선교나 도교의 사찰을 가리킬 수도 있다. 탁월한 업적을 세운 인물이나 원한을 품고 죽은 인물을 숭배하는 신앙형태는 불교보다는 신선교·도교 혹은 일본 신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그곳이 천관사라 불리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가 <낙하생집>에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천관사는 경주부 오릉(탑동에 있는 다섯 왕릉)의 동쪽에 있으니, 옛 천관의 집이다. (그냥) 천관이라고 부르기도 하니, (이것은) 그 여성의 이름이다."(天官寺, 在慶州府五陵東, 卽舊天官家也. 或云天官, 其女名也.)

이에 따르면, 천관은 그 기생의 이름이었다. 그래서 천관사란 명칭이 생겨난 것이다. 그러므로 '천관녀'는 직업을 가리키는 표현이 아니라 인명을 지칭하는 표현이었다. 천관 즉 하늘신을 모시는 여성이라는 의미에서 천관녀라고 부른 게 아니라, '천관이란 이름을 가진 여성'이라는 의미에서 그렇게 불렀던 것이다.

그러므로 <대왕의 꿈>을 포함한 사극들이 천관녀를 무녀로 단정하는 것은 성급하다. <낙하생집> 같은 문헌을 보더라도, 그는 무녀와는 무관한 직업을 갖고 있었다. 그는 기생집에서 근무하는 여자노비였다.

그런데 기생이 하필이면 왜 천관이란 이름을 가졌을까 하는 의문은 남는다. 어쩌면 국가 신당에서 무녀 일을 하다가 모종의 이유로 쫓겨났기 때문에 그렇게 불렸을 수도 있다.

하지만, 기록만 놓고 보면, 천관녀는 기생집에서 근무한 여자노비였다. 그러므로 김유신이 현직 무녀와 더불어 이룰 수 없는 사랑을 했다는 사극의 스토리는 역사적 근거가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태그:#대왕의 꿈, #천관녀, #김유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kimjongsung.com.일제청산연구소 연구위원,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패권쟁탈의 한국사,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조선노비들,왕의여자 등.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