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세계문화유산인 수원 화성. 정조의 효심이 축성의 근본이 되었다. 또한 강력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한 정조의 정치적 포부가 담긴 곳으로, 정치구상의 중심지로 삼기 위해 한양 남쪽의 국방요새로 활용하기 위한 곳이었다.

둘레의 길이 5744m인 화성은 동쪽지형은 평지를 이루고, 서쪽은 팔달산에 걸쳐 있는 평산성의 형태로 축성이 되었다. 성내의 시설물로는 문루 4, 수문 2, 공심돈 3, 장대 2, 노대 2, 포(鋪)루 5, 포(砲)루 5, 각루 4, 암문 5, 봉돈 1, 적대 4, 치성 9, 은구 2등 총 48개의 시설물이 있었으나, 이 중 수해와 전란으로 7개 시설물(수문 1, 공심돈 1, 암문 1, 적대 2, 은구 2)이 소멸되고 현재는 41개 시설물이 남아 있다.

사적 제3호 수원 화성의 동문인 창룡문
▲ 창룡문 사적 제3호 수원 화성의 동문인 창룡문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동문인 창룡문을 들어서다

수원화성은 규장각의 문신인 정약용이 동서양의 기술서를 참고하여 1793년에 저술한 <성화주략>을 지침서로 하여 축성을 하였다. 재상을 지낸 영중추부사 채제공의 총괄 아래, 조심태의 지휘로 1794년 1월에 착공하여 1796년 9월에 완공을 하였다. 화성 축성 시에는 거중기와 녹로 등 신기재를 특수하게 고안하여 사용하였다.

화성의 동문인 '창룡문(蒼龍門)'. 이 이름은 음양오행설에서 푸를 '창'자가 동쪽을 의미한다는 데에서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동방을 '청(淸)'이라고 하는데, 그 청을 상징하는 것인가 보다. 창룡문은 한국전쟁 당시 크게 소실된 것을 1978년에 복원하였다. 창룡문은 홍예의 크기만을 놓고 볼 때는 장안문보다 더 크다. 안팎으로 홍예를 설치하였는데, 안쪽은 높이가 16척 너비가 14척, 바깥쪽은 높이가 15척 너비가 12척, 전체 두께는 30척이다.

동문을 보면 옹성 밖 좌우의 성벽이 앞으로 돌출이 되었다. 성문을 지키는 옹성을 비켜내기 위한 방법으로 보인다. 가히 철옹성이란 말이 실감이 난다
▲ 창룡문 동문을 보면 옹성 밖 좌우의 성벽이 앞으로 돌출이 되었다. 성문을 지키는 옹성을 비켜내기 위한 방법으로 보인다. 가히 철옹성이란 말이 실감이 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밖은 벽돌로 안은 밑부분을 화강암으로 쌓은 옹성의 안
▲ 옹성 밖은 벽돌로 안은 밑부분을 화강암으로 쌓은 옹성의 안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창룡문을 들어서면 우선 홍예의 크기에도 놀랍지만, 창룡문서부터 팔달문까지 이어지는 제1저지선이 있다는 것에 더욱 경이롭다. 용머리길이라고 하는 이 외곽의 저지선은 그 자체가 토성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루로 올라본다. 한편을 터놓고 둥글게 문을 감싸고 있는 옹성. 옹성위로도 병사들이 이동을 할 수 있어, 적이 성문으로 접근하는 것을 방비하였다. 성벽 여기저기에는 뜨거운 기름등을 부어 성벽을 타고 흐르게 만들었다. 성문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적을 막아내기에 부족함이 없다.

모든 문은 홍예로 조성하였다. 화성은 늘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 홍예 모든 문은 홍예로 조성하였다. 화성은 늘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옹성 위에도 군사들이 이동을 할 수 있는 길이 있다
▲ 옹성 옹성 위에도 군사들이 이동을 할 수 있는 길이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보물로 지정된 화서문

'화서문(華西門)'은 화성의 서문으로 원형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어 보물 제403호로 지정이 되었다. 서문인 화서문의 홍예와 문루의 제도는 모두 동문인 창룡문과 같다. 다만 좌우의 돌계단을 꺾어지게 해서 층을 만든 것이 다르다. 화서문을 둘러쌓고 있는 서옹성의 제도는 동옹성과 동일하며, 높이는 11척이다.

서장대에서 성벽을 타고 내려오면 만나게 되는 서문인 화서문
▲ 화서문 서장대에서 성벽을 타고 내려오면 만나게 되는 서문인 화서문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화서문은 안과 바깥 면 모두에 평평한 여장을 설치하고, 외면에는 방안 총혈 19개의 구멍과 활 쏘는 구멍 6개를 뚫었다. 나머지는 모두 동옹성과 같다. 화서문은 정조 19년인 1795년 7월 21일 공사를 시작하여, 정조 20년인 1796년 1월 8일에 완성을 하였다, 화서문은 서해안과 남양만 방면으로 연결되는 곳이다.

화서문의 편액은 초대 화성유수였단 채제공이 썼다고 한다. 동문인 창룡문의 옹성이 벽돌로 쌓은데 비해, 화서문의 옹성은 단단한 화강암으로 쌓아 올렸다. 문루는 양편으로 출입문을 내었으며, 안에는 마루를 깔았다.

사적 안에 보물로 지정된 화서문. 엣 형태를 보존하고 있는 화서문은 보물 제403호로 지정이 되었다
▲ 화서문 사적 안에 보물로 지정된 화서문. 엣 형태를 보존하고 있는 화서문은 보물 제403호로 지정이 되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성문 안에서 문루로 오르는 돌계단을 꺾어놓아 색다른 조형미가 돋보인다
▲ 층계 성문 안에서 문루로 오르는 돌계단을 꺾어놓아 색다른 조형미가 돋보인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성문, 그 위에 올라서

수원화성은 축조이후 일제 강점기를 지나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성곽의 일부가 파손, 손실되었다. 파손된 부분을 1975~1979년까지 축성 직후 발간된 <화성성역의궤>에 의거하여, 대부분 축성 당시 모습대로 보수, 복원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동문인 창룡문과 서문인 화서문, 그 위 문루에 올라서 난 무엇을 보았을까?

화성의 성문들은 자연이다. 사방으로 난 길을 따라 난 성문들은, 그 형태들이 나름대로 특징을 갖고 있다. 네 곳의 문이 다 다른 모습으로 서 있다. 그 자체가 하나의 자연인양 하다. 주변의 지형에 맞게 꾸며진 사대문. 그것 하나만으로도 화성에 쏟아 부은 정성이 어느 정도였는지, 또 얼마나 심혈을 기울인 성곽인지 알 만하다. 

옹성은 성문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물이다
▲ 옹성 길 옹성은 성문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물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옹성에서 내려다보면 성문으로 접근하는 적을 아래로 두고 공격할 수가 있다.
▲ 옹성 안 옹성에서 내려다보면 성문으로 접근하는 적을 아래로 두고 공격할 수가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사람들은 화성을 돌아보면서 참 잘 쌓은 성이라고 한다.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가 될 만하다는 칭찬을 늘어놓는다. 그러나 그 엄청난 성을 쌓기 위해 수많은 눈물을 이곳에 얼마나 흘린 것일까? 땀과 눈물, 창룡문의 문루 위에서 저 멀리 높게 보이는 서장대를 바라보니, 군사들의 함성과 함께 수많은 민초들의 땀으로 얼룩진 모습이 있다. 끝내 꿈을 이루진 못한 이산 정조의 눈물까지.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수원 화성의 답사는 8월 28일에 하였습니다



태그:#화성, #사적, #세계문화유산, #창룡문, #화서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