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기 338년에 세워진 홍뤄쓰(红螺寺)라는 사원이 있다는 정보를 듣고 다소 놀랐다. 역사책을 뒤져 보니 얼추 위진남북조 시대다. 삼국시대가 끝나고 위(魏)와 서진(西晋)과 동진(东晋)을 거쳐 남북조 대립 이후 수(隋)가 중원을 통일할 때까지를 위진남북조 시대라고 한다.

약 1670년 전 불교사원이 베이징 외곽에 자리 잡고 있다니 가보지 않을 수 없었다. 시내에서 약 1시간 거리에 떨어진 화이러우(怀柔)로 달려갔다. 11월의 차가운 날씨이건만 홍뤄쓰는 홍뤄후(红螺湖)를 바라보고 홍뤄산(红螺山) 남쪽에 양지 바른 곳에 자리 잡고 있어서 그다지 추위가 느껴지지 않는다.

국가 AAAA급 풍경구인지라 입장료가 다소 비싸 40위안(약 8천원)이다. 표를 끊고 보니 동진 4년(338년)에 처음 건립된 사원이라고 한다. 338년에 동진은 회수(淮水) 이남을 장악하고 있었고 회수 이북에는 후조(后赵)가 자리를 굳건하게 지키고 있던 시점이다. 즉, 갈족인 석륵이 319년 나라를 세우고 351년까지 존속했던 십육국 시대였다. 흉노, 선비, 저, 갈, 강 등 비한족 왕조대신에 한족인 동진을 내세운 셈이지만 엄밀하게 말해 후조의 두 번째 황제인 석호(石虎)가 세운 사원이다.

1,670년전 처음 세워진 베이징 외곽의 천년고찰 홍뤄쓰의 사주삼문 패루
 1,670년전 처음 세워진 베이징 외곽의 천년고찰 홍뤄쓰의 사주삼문 패루
ⓒ 최종명

관련사진보기


오호십육국 시대 갈족 왕조인 후조가 세운 천년고찰 홍뤄쓰

사주삼문(四柱三门) 형태의 멋진 패루에 경북거찰(京北巨刹)이라는 현판 글자가 유난히 인상적이다. 1993년에 전국인민대표대회상무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피선된 루자시(卢嘉锡)가 쓴 글자라 한다.

안으로 들어서니 대나무 사이 벽에 수미승경(須彌勝境)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수미는 불교에서 말하는 범어로서 지극히 높고 빛나는 상상의 산을 뜻한다. 이 사원에 있는 멋진 대나무 숲을 빗댄 것으로 보인다. 이 숲 이름도 어죽림(御竹林)이라니 꽤 고상하고 지체가 높아 보인다. 직선으로 쭉 뻗은 대나무들이 수도 없이 빼곡하고 촘촘하게 하늘로 솟았다.

대나무 숲을 따라 걸어가니 점점 찬불가가 들려온다. 그리고 새 몇 마리가 갑자기 놀라 퍼드덕 날아오른다. 새들이 솟아오른 쪽에 계단이 있어 올라가니 초겨울 감나무가 높게 자라있고 호국자복선사(护国资福禅寺)라는 현판이 걸린 건물이 나타난다.

명나라 시대의 사원 이름인 호국자복선사(???福?寺)가 적힌 천왕전 입구
 명나라 시대의 사원 이름인 호국자복선사(???福?寺)가 적힌 천왕전 입구
ⓒ 최종명

관련사진보기


이 홍뤄쓰가 처음 건립됐을 당시의 이름은 대명사(大明寺)였다가 명나라 6대 영종(英宗) 시대에 이르러 호국자복선사라 불렀다고 한다. 이름이 바뀐 이유는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명(明)나라 이름이 들어간 사원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명주(明州)가 닝보(宁波)가 바뀐 것과 같은 이유는 아닐까 싶다.

이 문을 지나 안으로 들어가면 천왕전(天王殿)이다. 건물 안에는 동서남북을 지키는 사대천왕, 즉 사대금강이 자리 잡고 있으며 한가운데에는 미륵불이 위치하고 있다. 건물 지붕 아래와 당 끝으로는 용문양이 파란 하늘을 향해 있고 그 아래 풍경(风铃)이 바람 따라 댕그랑거리며 살랑거린다. 그 뒤로 감나무에는, 아직 떨어지지 않은 생기 있는 감들이 달려 있기도 했다.

홍뤄쓰 천왕전 처마와 와당, 용문양과 풍경 그리고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감나무가 서 있다.
 홍뤄쓰 천왕전 처마와 와당, 용문양과 풍경 그리고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감나무가 서 있다.
ⓒ 최종명

관련사진보기


천왕전 뒷문으로 가면 위태보살(韦驮菩萨)이 늠름하게 서 있다. 이 보살은 호법신 중 하나로 도둑 맞은 부처님의 사리를 되찾아온 수호신으로 알려져 있다. 두 팔을 모으고 합장하는 자세로 위에 한 자루의 칼이 수평으로 놓여있다. 갑옷을 입은 모습이 아주 날렵해 보인다.

위태보살을 바라보고 뒤로 돌아서면 바로 대웅보전(大雄宝殿)이다. 안에는 삼세불(三世佛)이 있는데 가운데 석가모니불(释迦牟尼佛)과 양쪽으로 약사불(药师佛)과 아미타불(阿弥陀佛)이 나란히 보좌하고 있다. 이를 보통 횡(横)삼세불이라 하고 중앙과 동서의 서로 다른 세계를 상징한다. 다른 곳에서는 수(竖)삼세불도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는 과거, 현재, 미래를 상징하고 한가운데 현대불인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왼편에 과거불인 가섭불(迦叶佛)과 오른편에 미래불인 미륵불(弥勒佛)이 있기도 하다.

홍뤄쓰 대웅보전 뒤편에 새겨진 벽화 한가운데 관음보살의 아름다운 자태가 보인다.
 홍뤄쓰 대웅보전 뒤편에 새겨진 벽화 한가운데 관음보살의 아름다운 자태가 보인다.
ⓒ 최종명

관련사진보기

횡삼세불 양 옆으로 십팔나한(十八罗汉)이 보좌하고 있으며 뒤편에는 멋진 불산(佛山)이 조각돼 있다. 한가운데 있는 관음보살(观音菩萨)은 너무나도 예쁘고 인자한 모습으로 앉아있으며 서방정토의 모습과 불경을 찾아가는 당나라 승려의 모습이 묘사돼 있다.

대웅보전을 중심으로 사방에는 몇 곳의 배전(配殿)이 있다. 그 중에서 눈에 띄는 것이 있었으니 바로 가람전(伽蓝殿)이다. 가람보살은 사원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토지나 재정을 관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송나라 이후 삼국시대의 명장 관우(关羽)를 가람보살 또는 가람신으로 봉송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긴 칼을 들고 있는 모습이 인상에 깊다.

대웅보전 뒤로는 삼성전(三圣殿)이 있다. 이 건물에는 한가운데 서방극락세계(西方极乐世界)의 교주(教主)인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좌우로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大势至菩萨)이 자리 잡고 있다. 이를 서방삼성(西方三圣)이라 부른다. 한편, 동방삼성은 동방유리세계(东方琉璃世界)의 교주인 약사불과 좌우에 일광보살(日光菩萨)과 월광보살(月光菩萨)이 함께 자리 잡고 있는데 보통 약사전에 이 약사삼존(药师三尊)이 봉공된다.

삼성전을 벗어나면 산자락을 따라 계단으로 만들어진 등산로인 관음로(观音路)가 있다. 이 길을 따라 올라가면 수없이 많은 관음보살이 자리를 잡고 있다. 천수천안관세음(千手千眼 观世音)이라더니 다양한 모양과 콘셉트의 관음상이 조각돼 있다. 나중에 알았지만 모두 삼십삼관음(三十三观音)으로 변신된 것이다.

홍뤄쓰 관음로를 따라 오르는 계단에는 33명의 다채로운 관음보살의 현신이 조각돼 있다. 파란 하늘을 다라 오르는 길이 매우 인상적이다.
 홍뤄쓰 관음로를 따라 오르는 계단에는 33명의 다채로운 관음보살의 현신이 조각돼 있다. 파란 하늘을 다라 오르는 길이 매우 인상적이다.
ⓒ 최종명

관련사진보기


약간 가파른 계단을 따라 오르면 양 옆으로 앙상한 가지들이 펼쳐져 있다. 하늘은 파란데 각양각색의 관음상을 보는 재미가 있다. 용의 현신인 용두(龙头), 연꽃을 타고 있는 일엽(一叶), 흐르는 물줄기를 바라보는 듯한 룽견(泷见), 물 속에 비친 달과 같은 수월(水月), 중년의 여성 모습인 다라존(多罗尊), 손을 모으고 있는 합장(合掌) 등 세상 사람들의 고뇌를 다 어루만지듯 인자한 모습의 관음이 줄줄이 이어진다.

관음보살을 모신 관음전이 있는 금나라 시대 사찰

세상만사를 다 품은 듯한 관음의 변화무쌍한 자태를 두루 보고 오르면 산 능선에 조용하게 자리잡은 관인쓰(观音寺)에 다다른다. 참나무(橡树)에 둘러싸인 이 조용한 사찰은 금(金)나라 시대에 세워졌는데, 원(元)나라 시대 유명한 고승인 운산선사(云山禅师)의 수련장이기도 했다.

입구로 들어서니 팻말과 함께 복록(福禄)이라 써 있고 뒷면에는 수희(寿喜)라고 써 있는 병풍 하나가 반갑게 맞아준다. 높이 솟은 나무와 파란 하늘 그리고 오후의 햇살이 조화롭다. 벽 옆으로 큰 길상대종(吉祥大钟)이 있다. 한 번 치는데 1위안을 내면 된다고 한다. 중국 연인들이 종일 치면서 사진을 찍어달라고 한다.

홍뤄쓰에서 관음로를 따라 오르면 금나라 시대 건축된 관음전이 있다. 관음보살을 봉공하는 것으로 원나라 시대 유명한 고승의 수련장이기도 했다.
 홍뤄쓰에서 관음로를 따라 오르면 금나라 시대 건축된 관음전이 있다. 관음보살을 봉공하는 것으로 원나라 시대 유명한 고승의 수련장이기도 했다.
ⓒ 최종명

관련사진보기


관음전(观音殿)에는 어머니가 아들을 안고 있는 모습의 송자관음(送子观音) 불상이 있어서 신기했다. 비록 인상적인 모습을 촬영하지 못해 아쉽긴 하지만 팔을 뻗고 있는 아이를 살포시 앉고 있는 모습이 인자한 어머니의 모습 그 자체다. 원래 불경에서 나오는 33인의 현신 중에는 없지만 민간에서 아들을 바라는 심정이 녹아 든 것이라고 한다. 관음에게 빌면 부처님이 소중한 아들을 낳게 해준다는 민간신앙이 접목된 것이라니 참으로 인간적인 관음이라 하겠다.

관인쓰 회승전 벽화. 부처를 수행하는 문수보살과 사자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햇살이 들어와 창살이 비쳐서 아주 포근해보인다.
 관인쓰 회승전 벽화. 부처를 수행하는 문수보살과 사자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햇살이 들어와 창살이 비쳐서 아주 포근해보인다.
ⓒ 최종명

관련사진보기

관음전 뒤로는 가파른 계단이 나온다. 이 계단은 인간의 번뇌를 상징하듯 모두 108개로 이뤄져 있다. 이 계단을 다 올라가면 회승전(会乘殿)이 나온다. 한가운데 관음보살이 자리 잡고 있고 왼쪽에 문수보살(文殊菩萨)과 오른쪽에 보현보살(普贤菩萨)이 나란히 보좌하고 있다.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은 원래 석가모니를 수행하는 수호자로 보통 석가모니불 좌우에 있는데 이곳 관음보살과 함께 있는 것은 아마도 관인쓰이기 때문인 듯하다.

문수보살은 사자, 보현보살은 코끼리와 함께 등장하는데 석가모니를 수행하며 서 있는 모습이 건물 안 양 옆에 벽화로 나란히 걸려 있다.

해발 360m 정도로 그다지 높지 않은 곳이지만 108계단 때문인지 꽤 숨이 가쁘다. 파란 하늘을 바라보며 잠시 쉬었다. 회승전을 지키는 도우미 아가씨는 계속 화로에 향을 피우고 있다.

맑고 차가운 산 공기와 더불어 향긋한 느낌을 받는 향을 맡으며 조용히 관음보살의 마음은 어떤 것일까 생각해 본다. 불교신자는 아니어도 이상하게 관음보살이 있는 곳에 오면 마음도 차분해지는 것이 이상할 뿐이다.

▲ 베이징 외곽 천년고찰 홍뤄쓰 본문기사 참조!
ⓒ 최종명

관련영상보기


다시 산길을 따라 내려가는데 전망이 참 보기 좋다. '나무 패루에 소라가 있는 산의 신선 같은 자태'라는 뜻의 라수선자(螺岫仙姿)라는 글자가 적혀 있는데 그 사이로 아직 떨어지지 않은 낙엽 하나가 햇살을 받고 흔들리고 있다.

산을 내려오는 길에 라수선자라는 패루와 그 앞에 살포시 잎새 하나가 햇살이 반짝거린다.
 산을 내려오는 길에 라수선자라는 패루와 그 앞에 살포시 잎새 하나가 햇살이 반짝거린다.
ⓒ 최종명

관련사진보기


붉은 도포와 하얀 눈이 예쁜 천년고찰의 오백나한

산을 다 내려온 후 다시 이곳의 명물이라는 오백나한상(五百罗汉像)을 보러 갔다. 나한은 수행을 이뤄 높은 경지에 오른 불교의 제자를 말하는데 오백나한을 조각으로 꾸며 놓았다고 한다.

오른쪽 왼쪽으로 나누어, 한 쪽 골짜기마다 250명씩 나눠 나한들이 서 있거나 앉아 있다. 겨울철이라 어깨에 빨간 도포를 둘러 놓았으니 숲 속에 출연한 도인들 같아 보입니다. 게다가 겨울이라 어깨나 몸통에 살짝 쌓인 눈이 서로 잘 어울리기도 한다.

석가모니의 생전 제자들의 숫자를 이르기도 하고 열반 후 커다란 행사에 참여한 고승들을 말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한 곳에 모인 것만으로 강렬한 종교적 기운이 발산될 것 같다.

홍뤄쓰에 있는 오백나한상. 1번 나한인 아약교진여존자(왼쪽)부터 500번 나한인 원사종존자(오른쪽)까지 석회암 석상으로 조성돼 있다. 겨울이라 붉은 도포를 걸쳤다.
 홍뤄쓰에 있는 오백나한상. 1번 나한인 아약교진여존자(왼쪽)부터 500번 나한인 원사종존자(오른쪽)까지 석회암 석상으로 조성돼 있다. 겨울이라 붉은 도포를 걸쳤다.
ⓒ 최종명

관련사진보기


재미있는 것은 1번부터 500번까지 번호가 붙은 것이다. 친절하게 조각 아래 자세하게 설명을 곁들여 놓기도 했다. 1번 아약교진여존자(阿若憍陈如尊者)는 부처가 태자시절 다섯 명의 시종 중 한 명으로 불교에 귀의해 오백나한의 첫 번째 인물이 됐다. 2번 아니루존자(阿泥楼尊者)는 부처의 10대 제자 중 한 명으로 아나율(阿那律)이라고도 한다. 500명이나 되는 나한들을 다 일일이 살펴보기에는 너무 힘들다. 제일 마지막 500번은 원사종존자(愿事众尊者)에 이르기까지 도무지 생경한 이름들이다.

다만, 오래된 사찰답게 소나무 숲 사이에 석회암을 재료로 5백 명이나 되는 나한상을 꾸민 것은 관광지로서 손색 없게 하려는 뜻이 있어 보인다. 기록을 봐도 그렇고 조각상마다 흠 없이 깔끔한 형태도 그렇다.

하지만, 꼭 불교신자가 아니더라도 꼼꼼하게 조각들의 모양이나 몸짓, 손이나 발의 형태 그리고 미소까지도 하나씩 살펴보노라면 마음이 편안해질지도 모르겠다. 모두 부처의 제자이거나 도를 깨달았으니 오백나한의 기운만이라도 온몸에 퍼져올 것이다.

오솔길로 조성된 길을 따라 오백나한을 살펴보는데 한쪽 구석의 나한에서 광채가 난다. 가까이 갈수록 영롱한 햇살이 온몸을 휘감고 있는 모습이다. 처음에는 색칠을 했거나 아니라면 부처의 영롱한 기운이 승화된 것은 아닐까 궁금했다. 자세히 보니 해가 저물어가고 소나무 사이로 석양이 유독 이 207번 무변신존자(无边身尊者)에게만 퍼진 것이다.

홍뤄쓰의 오백나한원. 소나무 숲 속에 공원처럼 꾸몄는데 오백명이나 되는 나한이 곳곳에 자리를 잡고 있는 모습이다.
 홍뤄쓰의 오백나한원. 소나무 숲 속에 공원처럼 꾸몄는데 오백명이나 되는 나한이 곳곳에 자리를 잡고 있는 모습이다.
ⓒ 최종명

관련사진보기


아미타불이 중생에게 보낸 스물다섯 보살 중 한 명으로 악귀가 방해하지 못하게 하고 늘 안락한 삶을 하도록 도와준다는 보살이다. 지혜가 신통하고 법력과 자비심이 높다는 것을 비유한다니 정말 광채가 날만도 하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오백나한 모두 높은 경지를 이뤘으니 그 누가 더 낫다고 할 것을 아닌 듯하다.

석양도 지고 나니 나무가 무성한 나한원(罗汉园)에 어둠이 빠르게 몰려왔다. 서둘러 홍뤄쓰의 출구를 찾았다. 정말 여느 다른 곳에 비해서 개성이 강하면서 아주 오래된 이 사원을 다시 또 밟아야 하겠다. 사계절 모두 아름답겠지만 붉은 단풍이 정말 아름다워 보인다. 입장권에도 그렇고 출구 옆 벽마다 온통 단풍 절경을 가득 그려둔 것을 보니 가을이 최고이겠다 싶다.

▲ 겨울이 되자 오백나한은 붉은 도포를 둘렀다 본문기사 참조
ⓒ 최종명

관련영상보기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13억과의대화 www.youyue.co.kr 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홍뤄쓰, #천년고찰, #베이징, #관음보살, #오백나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중국발품취재를 통해 중국전문기자및 작가로 활동하며 중국 역사문화, 한류 및 중국대중문화 등 취재. 블로그 <13억과의 대화> 운영, 중국문화 입문서 『13억 인과의 대화』 (2014.7), 중국민중의 항쟁기록 『민,란』 (2015.11) 출간!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