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5월은 잊었던 기억을 되살려주는 마술 같은 달입니다. 아련하게 기억 저편에 묻어두었던 것들을 하나씩 꺼내게 하는 그런 마술. 저는 늘 5월이면 20여 년 전, 고등학교 때 좋아했던 국어 선생님이 생각납니다. 딱히 생각해보면 그 선생님과 얽힌 감동적인 이야기가 있는 것도 아닌데 말입니다. 

고등학교 시절 수학여행 사진.
 고등학교 시절 수학여행 사진.
ⓒ 권영숙

관련사진보기


저는 학년이 바뀔 때마다 어떤 친구들과 만날까도 궁금했지만, 담임 선생님이 누가 될까 하는 걸 더 궁금해 했습니다. 1986년 고1 사춘기 여학생이었던 저는 국어 과목의 총각 남자 선생님이 담임이 되었으면 하고 바랐습니다.

사춘기 여학생의 꿈 '총각 남자 담임'

이런 제가 새 학기 담임 선생님을 본 순간 환호성을 질렀답니다. 뿔테 안경에, 약간은 멍한 눈빛이지만 크고 맑은, 더군다나 어리숙함까지 겸비한 '딱' 제 스타일인 국어과 선생님이셨기 때문입니다. 아쉽게도 장가를 이미 가신 분이었지만 참을 수 있었습니다. 

어쨌든 마음이 한껏 부풀어 오른 어느 날의 종례시간이었습니다. 교실 커튼을 빨아야 하는데 누구 자원할 사람 있으면 손을 들라는 겁니다. 아이들은 담임 선생님과 눈이 마주칠까 걱정하며 고개를 푹 숙였지만 저는 오히려 잽싸게 손을 들었습니다. 이런 기회야말로 담임 '샘'의 관심을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기 때문입니다.

새로 온 담임 선생님을 보고 쓴 일기.
 새로 온 담임 선생님을 보고 쓴 일기.
ⓒ 권영숙

관련사진보기


"이름이 뭐지?"
"권영숙이요."
"그래. 권영숙, 수고 좀 해줘."

전 담임 선생님의 그 은근한 눈길을 한 번 더 받으며 큰 커튼을 들고 집에 돌아왔습니다.

"니 그게 뭐꼬?"  
"어. 학교 커튼."

"니 반장 됐나?"
"아니. 엄마, 반장은 1등이 해."

"내 말이 그 말이다. 그럼 뭐 맡았나?"
"아니. 간부는 아직 안 뽑았지만 안 뽑힐 거 같은데?"

"니 그게 자랑이가? 반장도 아니고, 간부도 아닌데 커튼을 와 들고 왔는데?"
"아니. 내가 집이 제일 가깝잖아. 애들은 버스 타고 가야 하는데 집 가까운 내가 해야지."

"그 커튼 니가 빨기가?"
"엥?????????????"

저요, 진짜 욕 많이 먹었습니다. 담임 선생님한테 잘 보이려고 손 번쩍 들었다가 성적표 보여줄 때마다 엄마의 그 커튼 타령이라니. 정말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뭐, 커튼 빨아서 담임 선생님한테 예쁨을 받았냐구요? 그런 걸로 차별하실 담임 '샘'은 아니셨구요. 좋게 말해서 그냥 개성 있는 아이로 봐주셨습니다.

내 개성 알아봐준 선생님의 한마디 "계속 해라"

1986년, 조선일보의 성고문 보도- 언론도 공정성을 잃었다.
 1986년, 조선일보의 성고문 보도- 언론도 공정성을 잃었다.
ⓒ 권영숙

관련사진보기


제가 개성 있는 아이로 선생님께 관심을 받을 수 있었던 건 다 제 일기 덕분입니다. 성당 주보에 실린 글 중에 시사성이 있거나 괜찮다 싶은 글은 일기장에 스크랩하고 그 옆에 제 나름의 생각을 적어놓곤 했었거든요.

스크랩한 글들 중에는 김수환 추기경님의 인권 회복을 위한 강론 말씀도 있었고, 부천서 성고문 사건의 진상조사를 촉구하는 글도 있었고, 의문사로 죽어가는 대학생들에 대한 가슴 아픈 사연 등 사회적인 글들이 많았습니다.

선생님은 일기 검사를 하시면서 사인을 해주실 때 제게 "이것만 읽으마" 하시면서 한참 제 일기장을 들고 읽으셨습니다. 다 읽으신 후에는 알 듯 모를 듯, 들릴 듯 말 듯한 소리로 "계속 해라"라고 하셨지요. 계속하라는 선생님의 말씀이 무얼 의미하는지 묻지는 않았지만, 당시의 시대 상황을 감안하건대 대충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선생님의 커밍아웃... 교장께 보낸 나의 '장문의 편지'

그렇게 학교를 졸업하고 난 뒤 선생님 소식을 듣게 되었습니다. <한겨레>에 실린 전교조 성명서에 동의하는 사람 명단에서 선생님의 이름을 본 순간 가슴이 찡했습니다. 따뜻하게 웃어주던 그 해맑은 웃음을 다시는 학교에서 볼 수 없는 건 아닌지 걱정됐습니다. 그래서 고민고민하다 교장선생님 앞으로 장문의 편지를 보냈습니다. 

그 선생님이 얼마나 훌륭한 선생님이신지, 아이들을 얼마나 사랑하셨는지 썼습니다. 참다운 스승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몸소 보여주신 분이시기에 그 학교에 없어서는 안 되는 분이라고 간곡히 썼습니다. 솔직히 교장 선생님을 엄청 싫어했지만 존경한다고 '뻥'을 쳐가며 열심히 썼습니다. 다행히 선생님은 제 편지 때문은 아니었겠지만 해직되지는 않으셨습니다.

그 후, 딱 한 번 선생님을 뵙게 되었는데 명동성당 앞 집회에서였습니다. 그때 선생님께서는 아무 말씀 안 하시고, 제 두 손을 꼭 잡아주셨습니다. 그때는 스승과 제자가 아닌 함께 길을 가는 동지라는 느낌이었습니다. 그날 선생님께서 잡아 주신 두 손의 느낌. 제게 바른 길로 가라고 알려주는 것 같습니다.

재작년, 미루고 미루던 숙제를 하듯 전 스승의 날에 선생님께 편지를 썼습니다. 늘 '한 번 인사를 드려야 하는데'라고 생각만 한 것이 어느덧 스무 해를 훌쩍 넘겼습니다. 선생님께서는 흔한 이름을 가진 저였음에도 저를 기억하고 계셨습니다. 

20년만에 선생님께 편지를 썼어요

"너 학교 옆 권영숙이지? 네 성격에 사회 활동 열심히 하지? 너의 그 밝음을 다른 사람들에게도 전해주기 바란다."

선생님께서는 장난 잘 치던 절 밝고 명랑한 아이로 기억하셨습니다. 나름 진지한 면도 많았는데 말이죠. 저는 선생님께서 권해주셨던 길로 비록 가진 않았지만 글을 써보는 것이 어떠겠냐는 그 한마디가 제 인생에서 나침반 역할을 했습니다.

많은 선생님들이 성적이 아닌 다른 재능을 인정해주지 않을 때 선생님은 학생의 있는 그 모습만 가지고 이해해주셨습니다. 또 인생을 살 때 어떤 삶이 좀 더 다른 사람들에게도 보탬이 되는 삶인지 선생님의 당당한 모습에서 보고 배웠습니다. 

스승의 날입니다. 대체로 사회적으로 출세한 사람들이 근사하게 차려입고 학교를 방문하던데 저도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 출세했으니 명함 들고 한 번 찾아뵐까요?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다음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오마이 시민기자, #스승의 날, #김수환추기경, #87년6월항쟁, #전교조선생님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7,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