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한민국 대통령이 나랏일을 돌보며 살림살이 하는 집은 청와대다. 그렇다면 대한민국 선지식들이 민심과 불심을 염주알로 헤아리며 도를 펴는 집은 '불와대'라고 부르면 어떨까. 왜? 이명박 정부가 민심과 불심을 제대로 헤아리지 못해 나라 곳곳에 구멍이 뚫린 것을 선지식들이 나서서 정리정돈 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불가에 '아무리 날고 뛰어봐야 부처님 손바닥 안'이라는 말이 있다. 이는 곧 이명박 정부가 아무리 '新공안정국'이란 불도저로 길이 아닌 길을 닦으려 해도 그 길은 곧 민심과 불심을 결코 비껴나가지 못한다는 말에 다름 아니다. 예로부터 길이 아닌 길은 가지 말라고 했다. 길이 아닌 길을 억지로 나아가다 보면 'OUT'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스님들과 불자들도 뿔이 단단히 났다. 대한불교 총본산인 조계사를 꼭지점으로 전국 27개 종단과 불자들이 종교차별에 따른 이명박 대통령 사과와 민심을 짓밟고 있는 어청수 경찰청장 퇴진에 나섰다. 스님들과 불자들은 지난 8월 27일 연 '범불교도대회'에 이어 한나라당 의원이 많은 대구 경북지역부터 '범불교도대회'를 열 것이라고 정부에 경고장을 보냈다.

   

불교계가 대규모 집단대회를 연 것은 대한민국 정부가 세워진 뒤 처음 있는 일이다. 하지만 정부는 이번 일도 '구렁이 담 넘어가듯' 대충대충 처리하려 하고 있다. 한나라당과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사과가 그것이다. 불교계는 어림도 없다는 투다. 추석까지 기다려 본 뒤 정부의 마땅한 조치가 없으면 '불와대'(?)의 강력한 힘을 보이겠다는 입장이다.

 

 

사복경찰이 닭장차와 소형 경찰차를 조계사에 보시하다?

 

8월 27일(수) 오후 2시.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열리고 있던 '범불교도대회'에 갔다가 오후 3시쯤 조계사(총무원장 지관)로 향했다. 지금, 대한불교 총본산인 조계사(서울특별시 종로구 수송동 44)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조계사의 역사는 어떠하며, 조계사 안에는 어떤 건물들이 있을까 궁금했기 때문이었다.   

 

서울시청을 뒤로 하고 건널목을 건너 보신각 쪽으로 터벅터벅 걸어간다. 오랜만에 서울하늘에서 쏟아지는 햇살이 몹시 따갑다. '이명박 OUT 어청수 퇴진'이라는 만장을 든 스님, '종교탄압 중단하라'는 어깨띠를 두른 스님, 노오란 밀짚모자를 쓰고 서울시청 쪽으로 바쁘게 걸어가는 스님, 불자들에 둘러싸여 무슨 말을 주고받는 스님.

 

불교도대회 때문인지 보신각에서 조계사로 가는 길목 곳곳에는 오늘따라 스님들의 모습이 눈에 많이 띈다. 회색빛 승복을 입고 조계사 쪽으로 걸어가는 우바이(재가 여 불자) 우바새(재가 남 불자)도 유난히 많다. 조계사 주변 불교용품점 곳곳에도 독특한 지역 말을 쓰고 있는 불자들이 붐빈다.

 

조계사 나들목 길가에는 닭장차와 소형경찰차가 차량의 통행을 어렵게 하고 있다. 저만치 무전기를 든 사복경찰관들의 모습도 보인다. 역겹다. 저들은 조계사에 닭장차와 소형경찰차를 보시하러 온 사람들이 아니다. 저들은 조계사에서 농성을 하고 있는 촛불집회 수배자를 잡으러 온 어청수 경찰청장이 보낸 체포조가 분명하다.  

 

 

이명박 'OUT' VS '스님들 빨리 예수 믿어라'

 

조계사 앞에 서자 일주문에 커다랗게 붙어 있는 '대한불교 총본산 조계사'란 금빛 글씨가 길라잡이(나)의 얄팍한 마음을 엿보고 있는 듯하다. 일주문 밖과 일주문 안에도 사람들이 제법 붐빈다. 일주문을 지나 조계사 안으로 들어서자 마사가 깔린 절 마당 한가운데 예쁜 빛을 뽐내는 연등이 빼곡하게 매달려 있다.

 

그 연등들 중 노오란 연등이 캔버스가 되고 붉은 연등이 물감이 되어 'OUT'이란 글씨를 또렷하게 새겨놓고 있다. 연등 옆에는 종교탄압을 규탄하는 여러 가지 유인물과 포스터가 합장을 하고 있다. 그 곁에 '스님들 빨리 예수 믿어라, 불교 들어간 나라 다 못 살아'라는 얼토당토 없는 말을 내뱉은 장경동 목사의 사진도 크게 붙어 있다.   

 

조계사 대웅전 앞에도 '이명박 정부 규탄 단식'을 위한 하얀 임시천막과 '헌법 수호를 위한 사천왕 기도법회' 대형 걸개, 그리고 여러 가지 만장과 플래카드 등이 어지럽게 널려 있다. 마치, 취임 6개월 동안 이명박 정부가 우왕좌왕한 정책들, 온갖 비리와 이어져 있는 이명박 참모진들의 시꺼먼 속내를 바라보는 것만 같다. 

 

불교계가 이명박 정부에게 요구하는 것은 크게 네 가지다. 첫째는 불교 비하 발언을 한 대통령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이다. 둘째는 어청수 경찰청장 파면과 관련자 문책이다. 셋째는 종교차별 방지를 위한 입법화이다. 넷째는 국민화합을 위한 촛불집회 구속자 석방과 수배자 해제 등이다.  

 

조계사 절 마당 곳곳에 있는 걸개그림과 만장, 포스터 등을 바라보고 있으면 입에 고이는 침까지 쓰다. 대웅전 앞에 있는 복전함 위에 앉아 활짝 웃고 있는 동자상 앞에서 합장하며  동자상 뒤에 우뚝 솟아있는 천연기념물 제9호 서울 수송동 백송을 바라본다. 저 동자상처럼 만인이 활짝 웃는 세상, 5백 년을 살아온 저 백송처럼 건강하게 살 그날은 언제 올 것인가.  

 

 

'불교도대회를 지켜보지 않고 여기엔 웬일이냐?'

 

동자상과 백송 앞에서 반배를 한 뒤 대웅전 안으로 들어선다. 대웅전 안에도 3~4명의 스님이 가부좌를 틀고 있다. 108배를 하는 불자, 반야심경을 외우고 있는 불자들도 더러 있다. 길라잡이가 불전을 향해 고개를 들자, 높이가 2m 남짓해 보이는 엄청난 크기의 금빛 불상 3구가 길라잡이를 지그시 내려다본다.

 

'불교도대회를 지켜보지 않고 여기엔 웬일이냐'는 투다. '그렇잖아도 부처님을 뵌 뒤 서울시청 광장으로 갈 생각이었습니다'라고 속으로 말하며 얼른 3배를 한 뒤 뒷걸음질 쳐 나온다. 대웅전 절 마당에는 하늘을 찌를 듯이 우뚝 솟은 7층 석가여래 진신사리탑이 450살로 어림짐작되는 늙은 회화나무와 어깨동무하고 있다.

 

안내표지에 따르면 이 사리탑에 든 진신사리는 인도 아쇼카왕이 세운 8만4천 탑에서 나온 것 중 하나다. 이 사리는 태국왕실에서 모시고 있다가 스리랑카의 달마바라 스님에게 하사한 것을 스님(어느 스님인지는 확실치 않다)이 가져와 기증했다. 그 뒤 1914년에는 각황사 불전이 세워지자 불상 옆에 모셨다.

 

1930년에는 각황사 절 마당에 진신사리탑을 세우고 그 안에 사리를 봉안했다. 그리고 1938년에 이곳 조계사(그때 이름은 태고사)로 옮겨왔다. 탑 몸돌에는 층마다 빙 둘러 난간이 세워져 있으며, 옥개석(탑이나 석등 위에 지붕처럼 덮는 돌)에는 팔작지붕 모양이 정교하게 둘러쳐져 있다.  

 

 

연보랏빛 연꽃 한 송이 예쁘게 피어난 조계사 뜨락

 

저만치 진신사리탑 뒤 작은 뜨락에 놓인 표주박 모양의 돌 절구통 안에서 연보랏빛 연꽃 한 송이가 피어나 길라잡이를 자꾸만 부른다. 가까이 다가가자 연보랏빛 연꽃 한 송이가 '더 가까이' 하며 수줍은 웃음을 노오란 꽃술에 매다는 것만 같다. 그 곁에는 흰색 연꽃 한 송이도 봉오리를 내밀고 있다.

 

예쁘고 귀엽다. 언뜻 이 작은 돌 절구통 안에서 피어나는 연꽃들이 이명박 정부를 'OUT' 시켜버린 성난 불심이 민심을 향해 던지는 보시로 여겨지는 것은 왜일까. 연보랏빛 연꽃을 오래 바라보고 있으니, 이명박 정부가 국민들에게 끝없이 넘겨주는 깊은 시름이 절로 다 씻겨 내려가는 것만 같다.

 

연꽃들에게 길라잡이의 마음을 보시하고 일어서자 저만치 범종루가 보인다. 예쁜 단장을 한 범종루 곁에는 극락전이 있다. 이 극락전 안에는 대설법전과 소설법전이 있다. 조계사에는 그밖에도 불심과 민심을 이어주는 불교용품전과 접수처, 신도회사무처, 교육관, 시민선원, 불교역사문화기념관, 신도회관 등이 줄지어 서 있다.

  

이명박 정부와 불교계의 팽팽한 전선. 대한민국 헌법 제20조 1항과 2항에는 '모든 국민은 종교의 자유를 가진다, 국교는 인정되지 아니하며, 종교와 정치는 분리된다'고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다. 근데 헌법조차 어기려 들다니. 짜증난다. 이러한 때에는 조계사에 가서 '부처님 손바닥' 안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실체를 가늠해보는 것도 지혜가 아니겠는가.

 

조계사의 옛 이름은 태고사였다

조계사 대웅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7호

 

 

조계사의 역사는 각황사(覺皇寺)로부터 비롯된다. 각황사는 1910년 옛 중동고등학교(현 한국일보 신관) 자리에 세워진 절이다. 이 절은 원흥사(元興寺)에 있었던 조선불교중앙회 사무소를 옮겨와 한국 근대 불교운동의 중심이 되었다. 그 뒤 1937년에 각황사를 지금의 자리로 옮기는 공사를 시작했다.

 

1938년에는 북한산에 있던 태고사(太古寺)를 옮기는 형식을 빌어 이곳의 절 이름을 '태고사'라 불렀다. 1945년 9월에는 이곳에서 전국승려대회를 열어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사찰령'(寺刹令)>을 폐지하고, 새로운 교헌(敎憲)을 만들었다. 1954년에는 '사찰정화담화문'의 발표를 계기로 불교정화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1955년에는 태고사를 '조계사'(曹溪寺)로 고쳐 부르게 되었으며, 지금까지 대한불교 조계종의 중심 사찰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2000년 9월10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7호로 지정된 조계사 대웅전은 석가모니불을 봉안한 조계사의 중심이 되는 건물이다. 조계사 대웅전은 1937년 한용운, 박한영 등이 중심이 되어 지금의 위치에 세워졌다.

 

이 건물은 정면 7칸, 측면 4칸의 1층 팔작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양식을 취하고 있다. 대웅전 안 불단에는 도갑사(道岬寺)에서 옮겨온 석가여래좌상이 있으며, 불단 뒷벽에는 1938년 대웅전을 중건할 때 그려진 후불탱화와 1970년대에 그려진 천불탱화가 걸려 있다.

 

이 건물은 높은 기둥돌 위에 세워진데다 대웅전 안이 155평이나 될 정도로 크기가 엄청나 한때 종로 사이에서는 중앙청 건물과 함께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서울시 자료에 따르면 이 건물은 20세기 초에 조선시대 말기의 건축양식을 충실하게 이어 받아 규모를 대형화한 것이 특징이다.


태그:#조계사, #범불교도대회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