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이번 백남준 축제를 위해 만든 '아카이브 포스터', 그의 여러 활동이 담겨있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이번 백남준 축제를 위해 만든 '아카이브 포스터', 그의 여러 활동이 담겨있다
ⓒ 국립현대미술관

관련사진보기


국립현대미술관(관장 윤범모)은 백남준(1932~2006)의 예술적 성취와 영향을 조명하는 대규모 기획전 '백남준 효과'를 내년 2월 26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과천)에서 연다. 이번 전은 1992년 과천국립미술관에서 열린 백남준 전시 30년 주년이라 더 의미가 깊다.

이번 기획전은 1992년 '회갑전'을 재해석하고 그의 예술적 성취와 영향을 조명했다. 이번에 대표작 '나의 파우스트'가 소개되고 90년대 혜성 같이 나타난 백남준 영향을 받아 다양한 실험을 시도한 '전수천' 등 25명의 국내 작가 작품도 선보인다. 지난 9월 15일 백남준의 <다다익선>을 성공적 재가동 이후 전시라 진정 '백남준 축제'가 되었다.

윤범모 관장은 1985~1995년 뉴욕 등에서 함께 지낸 백남준을 회고하면서 "탄생 90주년 맞아 그가 90년대 국제화 시대 활약이 대단했죠. 1992년 과천전, 1993년 대전 엑스포, 1995년 광주비엔날레까지 한국미술 정체성에 큰 영향을 끼쳤어요. 이번 전을 계기로 <백남준학>이 전 세계적으로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술회했다.

비디오아트, '때'와 '땅'이 없다
 
1992년 과천국립미술관에서 열린 전시 도록 및 포스터'. 독일어판에서는 "백남준은 동아시아 전통과 서양 스타일을 마치 하나가 된 것처럼 결합한 예술가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아시아적 가치에 기울어져 있다"고 평했다
 1992년 과천국립미술관에서 열린 전시 도록 및 포스터'. 독일어판에서는 "백남준은 동아시아 전통과 서양 스타일을 마치 하나가 된 것처럼 결합한 예술가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아시아적 가치에 기울어져 있다"고 평했다
ⓒ 국립현대미술관

관련사진보기

 
이번 전은 4부로 돼 있다. 1부는 세계 속 한국미술의 위치, 2부는 문명사를 재해석한 '나의 파우스트', 3부는 TV 아트와 관련된 달과 위성 아트, 4부는 그의 가족과 철학에 관련된 정체성을 소개한다. 이번 전은 1992년 과천에서 열린 '백남준 회갑전'의 리메이크다.

당시 전시 제목이 '백남준:비디오때·비디오땅'이었다. 여기서 '때'는 시간을, '땅'은 공간을 의미한다. 여기엔 백남준의 예술철학이 담겨 있다. 비디오아트란 시공간을 넘어서는 유비쿼터스 예술이고, 과학과 예술이 결합한 '확장된 매체 미술'이라는 것이다.

90년대 백남준의 이런 개념을 간파한 사람은 바로 미국 포스트모더니즘 권위자 프레더릭 제임슨(F. Jameson)이다. 미술평론가 김홍희 저서 <굿모인 미스터 백>에 인용돼있다. 그는 백남준의 비디오아트를 "시공간의 궁극적인 경계선을 탐색하는 유일한 예술"이라고 말하면서 "그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가장 징표적 인물 중 하나"라고 평했다.

백남준은 비디오아트를 공간예술보다 시간예술이 봤다. 그래서 평생 시간에 대해 고민했다. 이번에 선보인 '스위스 시계'와 '노스탤지어는 피드백의 무한제곱'이 그런 작품이다. 전자는 시계와 TV를 연결해 시간의 흐름을 눈으로 볼 수 있다. 후자는 우리가 시대를 연대기로 나눠 볼 게 아니라, 문명 이전과 모더니즘 이후를 통째로 묶어 봐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1992년 백남준, '자신감' 가져라
 
1992년 8월 16일 도올과 백남준이 모 호텔에서 인터뷰하는 장면
 1992년 8월 16일 도올과 백남준이 모 호텔에서 인터뷰하는 장면
ⓒ 김용옥

관련사진보기

 
1992년 과천국립미술관에서 열린 백남준 전시에서 세계화를 맞아 백남준이 우리에게 남긴 말은 '자신감을 가져라'. 도올은 전시 중 백남준과 인터뷰했다. 도올 선생이 서구가 어땠냐고 묻자, 백남준은 "내가 서양에 가보니 다 쓰레기야!"라는 폭탄선언을 한다. 그땐 빈말로 들렸지만, 생각해 보면 맞다. 우린 지금 '한류' 전성시대를 살고 있지 않나.

1992년 과천전에 첨성대를 건립한 '선덕여왕(1992)'과 세종대왕 때 독창적 과학자이자 발명왕 '장영실(1990)' 등이 등장했다. 이는 한국이 선비의 나라만 아니라 과학과 천문학의 나라로 그 저력을 보여주려 했다. 1993년 '베니스'에서 '칭기즈칸 복원(1993)'도 선보였는데 이도 몽골계인 한국인의 위용을 간접적으로 과시한 작품이다.
 
백남준 I '칭기즈칸 복원(1993)' 백남준아트센터 소장. '피버옵틱(1995)'<오른쪽> 뒤로 '장영실'도 보인다.
 백남준 I '칭기즈칸 복원(1993)' 백남준아트센터 소장. '피버옵틱(1995)'<오른쪽> 뒤로 '장영실'도 보인다.
ⓒ 국립현대미술관

관련사진보기

 
백남준은 위 전자유목민에서 보듯 실크로드를 상상하면서 1974년에 인터넷 개념을 창안했다. 그리고 이를 '전자초속도로'이라고 명했다. 13세기에 빠른 말로 칭기즈칸이 세계를 제패했듯 앞으로는 정보와 지식 빠르게 전하는 인터넷 속도가 인류문명을 좌우할 것으로 봤다.

이런 면에서 백남준은 새천년 정보시대엔 한국이 소국이지만, 우리에게 유리하다고 봤다. 그래서 2000년 0시에 위성 아트로 '호랑이는 살아있다'를 전 세계에 방영했다. 우리에게 힘을 실어줬다. 변화를 좋아하고 교육열 높은 아시아가 이제 세계를 재편하리라 전망했다.

이런 발상은 하루아침에 나온 게 아니다. 그는 자신이 서양 미술판에 파투를 내는 '문화 깡패'라 자처했다. 서양의 텃세를 인정하지 않았다. 30살에 "내가 '황색재앙' 문화 칭기즈칸이 되어 서구미술을 다 쓸어버리겠다고 장담했다. 또 1993년 동아일보 칼럼에서는 "TV 아트가 점잔 빼는 서구미술에 대항하는 '깡패 예술'이 될 거다"라고 기술했다.

동서균형 추구한 전략가
 
백남준 I '무제' 1994. 백남준아트센터소장. 니체를 상징하는 '운명애(amor fati)'라는 단어로 시작된다
 백남준 I '무제' 1994. 백남준아트센터소장. 니체를 상징하는 '운명애(amor fati)'라는 단어로 시작된다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이번 전을 기획한 이수연 국립미술관 학예연구사는 백남준을 단지 비디오 작가만이 아니라 동서문화의 균형을 추구한 문화 전략가 혹은 사상가로도 부각했다. 백남준과 거의 비슷하게 생각한 서양 철학자는 바로 니체였다. 위 작품은 이 학예사의 말에 의하면 백남준이 니체 책을 읽고 큰 영감을 받아 만든 텍스트 아트란다.

그렇다. 니체는 <우상의 황혼>에서 "내 철학은 최고 가치를 탈(脫)가치화하는 것"이라 말했다. 니체는 "서양 신은 죽었다"고 했고, 백남준은 "서양 미술은 죽었다"고 했다. 결론으로 예술가나 철학자의 역할은 그 시대의 우상을 파괴하는 것이다. 그래야 진정한 창조가 나온다고 봤다. 백남준은 왜 서양인이 애지중지하는 피아노를 그렇게 부쉈겠는가?

또 백남준은 동양의 선불교에도 심취했다. 이 경전인 '벽암록'(18번)을 옮겨쓴 작품이 이번에 나왔다. 이는 혜충국사가 입적을 하면서 당나라 황제 대종(代宗)과 나눈 마지막 문답이다.

여기에 '무봉탑'(無縫塔) 이야기가 나온다. 간단하게 소개하면 황제가 "내가 당신에게 뭘 해드리면 좋겠소?"라고 물으니 혜충국사는 "절 위해 무봉탑을 세워 주십시오"라고 답한다. '무봉탑'이란 형체도 이음새도 없고,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는 탑이다. 이 말은 결국 황제가 마음을 비우고 백성들에게 자비를 베풀어야 나라가 편안하다는 메시지다.
 
백남준 I 'TV 알' 멀티스크린 1994. 알 이미지와 태아 품은 여성 이미지가 교차한다
 백남준 I 'TV 알' 멀티스크린 1994. 알 이미지와 태아 품은 여성 이미지가 교차한다
ⓒ 국립현대미술관

관련사진보기

 
잘 알다시피 백남준은 뒤샹 중심의 현대 미술을 넘어 서양에서는 듣도 보도 못한 'TV 아트'가 세계미술의 새 지평을 열었다. 그 연작 중 하나가 'TV 알(1994)'이다. 인류 생명의 근원을 다뤘다. 그리고 백남준의 대표작 'TV 부처'인데 이번에 이를 새롭게 변형한 '눈 덮인 부처'와 '블루 부처(네온)'도 선보인다.

백남준의 TV(전자) 아트는 결국 비디오, 미디어, 위성, 인터넷, 디지털, 레이저 아트로 발전했고 요즘 NFT까지, 조각도 비디오(전자) 조각으로 발전해 나갔다. 이번에 그중 우주와 접촉하는 천지인의 형상을 한 '로봇 크라운'과 '에스키모맨'도 소개된다.
 
백남준 I '나의 파우스트' 높이 2.6m, 혼합 매체, 모니터 25개 1989-1991. 리움미술관 소장. 총 13점(1. 환경 2. 농업 3. 경제학 4. 인구 5. 민족주의 6. 정신 7. 건강 8. 예술 9. 교육 10. 교통 11. 통신 12. 연구 개발 13. 자서전) 중 6점 소개
 백남준 I '나의 파우스트' 높이 2.6m, 혼합 매체, 모니터 25개 1989-1991. 리움미술관 소장. 총 13점(1. 환경 2. 농업 3. 경제학 4. 인구 5. 민족주의 6. 정신 7. 건강 8. 예술 9. 교육 10. 교통 11. 통신 12. 연구 개발 13. 자서전) 중 6점 소개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1992년 때 선보인 '나의 파우스트(제단)'가 다시 나왔다. 이 작품은 악마 '메피스토펠레스'의 농간 속 방황하는 파우스트의 갈등을 그린 괴테의 연극 <파우스트>에서 주제를 가져왔다. 백남준은 이런 갈등을 13개 주제로 나눠 인류가 나가야 할 문명사를 제시했다.

이 연작은 각각 소형 TV 25대와 레이저 플레이어 3대를 구성되어 있다. 이번에는 '농업, 인구, 통신, 교통, 예술, 민족주의'라는 제목이 붙은 6점만이 소개되지만, 13점 중 6점을 확보했다는 것만 해도 대단한 일이다. 국립미술관이 아니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백남준 가족과 이정성 소장품
 
백남준 I '비밀이 해제된 가족사진' 1984, 종이에 에칭, 29.7×37.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여기 10명의 여성이 등장하는데 백남준은 영어로 어머니, 누이, 큰어머니, 큰 사촌 누이 등 주석을 달다. 집안의 개방적 분위기가 느껴진다.
 백남준 I '비밀이 해제된 가족사진' 1984, 종이에 에칭, 29.7×37.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여기 10명의 여성이 등장하는데 백남준은 영어로 어머니, 누이, 큰어머니, 큰 사촌 누이 등 주석을 달다. 집안의 개방적 분위기가 느껴진다.
ⓒ 국립현대미술관

관련사진보기

 
끝으로 백남준의 특이한 가족사진을 보자. 위를 얼핏 보면 남녀가 뒤섞여 있는 것처럼 보이나 실은 다 여자다. 한국도 시대에 맞게 이제는 가부장제보다는 여성 중심 사회로 가야 함을 암묵적으로 제시했다. 갓을 쓴 사람은 백남준 어머니다. 백남준은 가족사진마저 기존의 방식을 뒤엎어 파격적 실험물로 만드는 걸 즐겼음을 알 수 있다.

백남준 가문을 보면 부친 '백낙승'은 니혼대 상대와 메이지대 법대를 나온 엘리트였다. 백남준은 이런 분위기 속 서양문물을 쉽게 접했고, 통념을 깨는 자유로움 속에서 자랐다. 동시에 굿과 같은 한국전통문화도 체험했기에 세계적이면서도 한국적인 작가가 되었다.

이번에 1988년부터 백남준과 평생 작업을 같이한 이정성 아트마스타 대표 소장품도 선보인다. 백남준과 작업 중 얻은 지시문, 사진, 설계도 등을 볼 수 있다. 이번에 눈길을 끄는 건 백남준 후기 3점의 야심작 '메가트론' 사진이다. 그러나 이 대표는 한강 마포 강변에 세우려 했던 메카토론은 백남준이 건강문제(뇌졸중)로 중단됐다며 안타까워했다. 
   

덧붙이는 글 |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 전시 안내 https://www.mmca.go.kr


태그:#백남준, #나의 파우스트, #프레더릭 제임슨, #이정성, #김용옥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화 중 현대미술을 대중과 다양하게 접촉시키려는 매치메이커. 현대미술과 관련된 전시나 뉴스 취재. 최근에는 백남준 작품세계를 주로 다룬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