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노환 작 <글의 조형> 일부. 전시작을 사진으로 찍은 것이므로 본 그림과는 여러모로 다릅니다.
 박노환 작 <글의 조형> 일부. 전시작을 사진으로 찍은 것이므로 본 그림과는 여러모로 다릅니다.
ⓒ 박노환

관련사진보기


오는 10월 28일까지 대구광역시 달서구 화암로 301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갤러리(234호)에서 박노환 초대전이 열린다. '민족의 혼을 깨우다'라는 제목이 마음을 끌었다. 그래서 오랜만에 미술 전시장을 찾았다. 

역사유적지에서는 가장 먼저 현장의 안내판부터 보아야 한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안내판의 설명을 읽고나서 문화재를 살피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수박 겉핥기'식 답사가 되기 쉽다.

마찬가지로, 미술 전시회에서는 '도록'부터 보는 것이 좋다. 흔히 '도록'에는 그림에 대한 해설이 실려 있어 역사유적지의 안내판 역할을 해준다. 그림은 문자로 된 소설 등 문학에 견줘 아무래도 추상적이므로 전문가의 설명부터 듣자는 말이다.

'도록'에는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문화예술센터 김소하 관장(미술학 박사)의 <민족의 혼을 깨우다>라는 해설문이 권두에 실려 있다. 전시회 표제와 해설문 제목이 같다. 그만큼 박노환 초대전이 민족의 혼을 깨우는 데 주제를 두고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창의적이고 아름다운 우리글의 시각적 형상화

김 소장은 "화가는 시대를 읽고, 정신을 노래하며, 미래를 앞서간다"면서 "이 전시를 통해 박노환 작가의 의도대로 우리글을 통한 민족의 우수성을 재인식하고, Y세대, N세대, MZ세대 등의 구분된 인식을 떠나 창의적이고 아름다운 우리글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한글을 통해 '민족의 혼'이 되살아나기를 바라는 작가의 바람이 이루어지기를 응원한다"고 말한다.

그림들을 둘러보니 과연 한글 자음들이 하나같이 화폭에 담긴 대상들의 배경을 이루고 있다. <사천왕과 도깨비>, <탈춤>, <신라 토우>, <가야 토기의 향> 등 모든 그림에 한글 자음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림에 이처럼 한글 자음이 많이 형상화된 데 대해서는 화가 자신도  '도록' 끝 <작가 노트>를 통해 스스로 해설해준다.
 
박노환 작 <하회탈의 혼> 일부. 전시 작품을 사진으로 찍은 것이므로 본 그림과는 여러모로 다릅니다.
 박노환 작 <하회탈의 혼> 일부. 전시 작품을 사진으로 찍은 것이므로 본 그림과는 여러모로 다릅니다.
ⓒ 박노환

관련사진보기


박노환 화가는 "세계문화유산에도 등재가 되어 있지만. 지금 우리 국민들은 인간이 낼 수 있는 모든 소리를 표현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한글을 쓰고 있는 데 큰 자부심을 느낀다. 나는 무엇으로 우리의 찬란했던 역사의 혼을 제대로 나타낼 수 있을까 고심한 끝에 한글을 선택했다"라고 그 이유를 밝히고 있다.  

화가는 또 "오랜 우리 민족의 역사와 지금 우리의 정체성은 과연 과거로부터 민족의 혼을 잘 승화하고 발전시켜 왔는가? 지금의 혼란 시기와 민족의 분열로 인한 우리의 정체성이 많이 희색되어 있다. 잠자고 있는 민족혼을 깨우고 다시 정립해야 하는 시점에 있다"라고 말한다.

민족정체성이 흐려진 지금, 예술가의 소명

그림들을 하나하나 감상하면서 오랜 만에 미술 전시회를 찾은 보람을 만끽한다. 물론 이는 민족주의적 예술을 좋아하는 개인 성향 탓일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전통 유물 또는 흙과 어우러진 한글을 소재로 한 보기 드문 개인전인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박노환 화가의 이번 그림전은 '대륜중·고등학교 101주년 기념 초대전'으로, 그의 열세 번째 개인전이다. 박 화가는 대구교육대학원 조형창작과 졸업했으며, 피카다라미술관 한국리더전과 일본오사카갤러리초대전 등 다수의 단체전에도 참여해왔다.

태그:#박노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장편소설 <한인애국단><의열단><대한광복회><딸아, 울지 마라><백령도> 등과 역사기행서 <전국 임진왜란 유적 답사여행 총서(전 10권)>, <대구 독립운동유적 100곳 답사여행(2019 대구시 선정 '올해의 책')>, <삼국사기로 떠나는 경주여행>,<김유신과 떠나는 삼국여행> 등을 저술했고, 대구시 교육위원, 중고교 교사와 대학강사로 일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