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평창국제평화영화제를 통해 상영된 <러브 인 어 보틀>의 포스터.

2022 평창국제평화영화제를 통해 상영된 <러브 인 어 보틀>의 포스터. ⓒ IMDb

 
코로나19가 처음 범유행하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작된 2020년 2월과 3월은 세계의 모든 사람들에게 다시 떠올리기 힘든 끔찍한 기억으로 남아 있다. 매일 갈 수 있던 곳이 문을 닫고, 집 밖을 나가기가 쉽지 않았으며, 국경을 넘기는 더욱 어려워졌던 끔찍했던 시기 말이다.

그런데 막 팬데믹이 범유행되기 시작할 때 사랑이 싹튼 두 사람이 있다면, 그것도 그 두 사람이 서로 다른 나라에 사는 사람이라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밀라노 공항에서 처음 마주쳤던 두 사람이 어느 사이 '랜선'을 통해 본격적으로 알게 되면서 벌어지는 일을 담은 영화 <러브 인 어 보틀>이 2022 평창국제평화영화제를 찾았다.

영국에 사는 IT 업계 종사자 마일스, 그리고 네덜란드에 사는 조향사 럭키가 만나 벌이는 이야기는 웹캠 화면 두 개의 카메라로만, 그리고 가끔 오가는 메신저 화면과 두 사람이 직접 찍어보내는 동영상 정도가 전부이지만, 오히려 영화 <서치>를 닮은 압축감이 있다.

좁혀지지 않는 물리적 거리

코로나19가 유럽에 범유행하기 직전 밀라노 공항에서 잠깐 만났던 마일스와 럭키. 럭키는 마일스의 캐리어에 붙어있던 택을 살짝 떼어 가 연락처를 얻었고, 그렇게 두 사람의 '랜선 만남'이 시작된다. 당시 유럽은 코로나19로 인한 봉쇄가 시작되던 터. 일터에 나가지 못하는 두 사람은 그렇게 급속도로 가까워진다.

서로의 직업을 묻는 질문, 그리고 두 도시의 상황을 공유하는 대화는 익숙하지 않았던 코로나19로 인한 봉쇄를 달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나 다름 없다. 럭키가 마일스에게 네덜란드어를 가르쳐주기도 하고, 마일스가 자신의 취미인 자연 사진을 찍으러 다니는 것을 자랑하기도 한다.

하루에도 몇 시간씩 영상 통화로 서로 이야기를 나누니 두 사람의 거리는 급속도로 가까워진다. 서로의 집 모습을 보여주며 '랜선 집들이'를 하기도 하고, 어느 날은 '춤을 추자'는 럭키의 제안에 두 사람이 술을 진탕 마시고 별의 별 춤을 추면서 밤이 새도록 놀기도 한다.
 
 <러브 인 어 보틀>의 스틸컷.

<러브 인 어 보틀>의 스틸컷. ⓒ 평창국제평화영화제

 
두 사람이 친구처럼, 어쩌면 장난 섞인 반응으로 서로를 대하던 이야기는 어느 사이 서로에 대한 호감을 속삭이는 말로 변해간다. 하지만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바다를 건너야만 만날 수 있는 서로의 물리적인 거리가 문제다. 서로 입을 맞출 수도, 서로 사랑을 확인할 수도 없다.

그런 상황에서 두 사람의 웹캠은 서로의 솔직한 욕망을 담는다. 두 사람은 거울에 서로 입을 맞추기도 하고, 어쩌면 더욱 과감한 행동 역시 이어간다. 코로나19 상황이 아니었으면 진작에 서로 만났겠지만, 그렇지 못하니 다가오는 현실적인 연인 관계에서의 문제도 두 사람의 웹캠은 화면을 돌리지 않고 담는다.

물론 그 웹캠에는 이 영화가 왜 18세 미만 관람 불가인지 알 수 있는 '남사스러운' 장면 역시 담기는 것이 사실. 장면의 수위는 높지만, 전염병의 창궐로 인해 평범하게 서로 자연스럽게 만나 사랑을 나누지 못하는 현실이 담긴 장면이기에 안쓰러움이 더 큰 장면이기도 하다.

영화가 꺼내는 2년 전 '코로나19'의 추억

아카데미 시상식 외국어 영화상 부문 후보에 오르기도 했던 2001년 영화 <난리법석 결혼소동>을 만들기도 했던 네덜란드의 파울라 반 데르 우에스트 감독이 만든 <러브 인 어 보틀>은 두 사람의 사랑 이야기 이면에, 코로나19의 유행 초기 유럽의 상황을 시시각각 재현해낸 것이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갑작스럽게 집 밖을 나가지 못하는 봉쇄, 일을 하러 외출할 수도 없고, 생필품 사러 가기도 힘든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재택 근무를 치러야 하고, 몇 발짝 이상 오갈 수도 없는 집에서 갇혀 지내야 하는 현실은 두 사람이 각각 갖고 있는 카메라에 적나라하게 담긴다. 그리고, 그 장면은 웹캠 안 화면이기에 더욱 현실적으로 다가온다. 

코로나19가 어떤 한 나라만의 경험이 아닌, 모두가 겪은 경험이라는 공통 분모가 있기에, 그리고 뉴스에서만 보던 해외의 코로나19 봉쇄를 직접 경험하는 느낌이기에 <러브 인 어 보틀>은 더욱 일상이라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지 다시 깨닫는 계기가 되고, '우리도 코로나 심할 때는 힘들었지' 하는 회상을 하게끔 만든다.
 
 <러브 인 어 보틀>의 스틸컷.

<러브 인 어 보틀>의 스틸컷. ⓒ 평창국제평화영화제

 
<러브 인 어 보틀>은 이번 2022 평창국제평화영화제의 'POV : 뉴노멀의 풍경 - SNS, 미디어 그리고 나' 섹션에 포함되어 한국의 스크린을 찾았다. 영화제 측은 '코로나19 시대의 사랑'이라는 부제를 붙일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걸맞은 영화'라며 <러브 인 어 보틀>을 소개하곤 했다.

다른 영화들이 코로나19를 외면하거나 간단히 짚고 넘어가지만, 2년이 넘는 시간 동안 전세계를 바꿔놓은 코로나19를 여전히 실감할 수 있는 영화이기에, <러브 인 어 보틀>의 가치는 충분하다. 그리고 영화가 끝난 후 나도, 옆자리 사람도 2년이 지난 아직까지도 마스크를 쓰고 있는 것을 발견하며 괜히 쓴웃음도 한 번 짓게 된다.

<러브 인 어 보틀>은 해외 OTT에서도 서비스가 되고 있지만, 큰 스크린에서 2년 전 누군가의 일상을 지켜보는 듯한 재미를 느끼는 것도 충분히 좋다. 2022 평창국제평화영화제에서는 오는 일요일인 26일 오후 8시부터 <러브 인 어 보틀>을 한 번 더 상영한다.
러브 인 어 보틀 네덜란드 영화 평창국제평화영화제 판데믹 코로나19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중교통 기사를 쓰는 '자칭 교통 칼럼니스트', 그러면서 컬링 같은 종목의 스포츠 기사도 쓰고, 내가 쓰고 싶은 이야기도 쓰는 사람. 그리고 '라디오 고정 게스트'로 나서고 싶은 시민기자. - 부동산 개발을 위해 글 쓰는 사람 아닙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