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
ⓒ 이한기

관련사진보기

 
서울시 인구가 지난해말 기준 991만 명으로 조사돼 32년 만에 1000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

산업화의 여파로 서울올림픽이 열리던 1988년 처음으로 '천만 서울'(1029만 명)을 기록했다. 이후 계속 인구가 늘어 1992년(1097만 명) 정점을 찍은 뒤 인구가 점차 줄었다. 그리고 2020년말 기준 991만 명으로 1000만 명 미만이 됐다.

2019년 대비 내국인은 6만 명이 감소했고, 외국인은 약 4만 명 줄었다. 중국 국적(한국계 포함)이 3만2000명 감소한 반면, 베트남과 몽골 국적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19의 영향이 국가별 인구이동에 따라 다른 결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내국인 주민등록인구와 외국인 등록인구를 집계해 2020년말 주민등록인구를 발표했다. 이 데이터는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 홈페이지(http://data.seoul.go.kr)의 '서울통계간행물' 메뉴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2020년말 기준 내국인과 외국인을 합한 서울의 총인구는 991만1088명으로 1988년 이후 처음으로 연말기준 1000만 명 미만으로 나타났다. 내국인 인구는 지난 2016년부터 1000만 명 미만으로 조사됐다.

전년 대비 총인구는 9만9895명이 감소했다. 이 가운데 내국인은 6만642명, 외국인은 3만9253명이 줄었다.

내국인 세대수는 441만7954세대로 전년대비 9만349세대가 늘어 증가 추세를 이어갔으나. 세대당 인구수는 평균 2.19명으로 전년대비 0.06명 감소했다.

전체 세대에서 1∼2인 세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63.8%로 전년(61.8%)대비 2.0%p 증가했다. 1인 세대 비율이 높은 구는 관악구(58.3%), 종로구(51.1%), 중구(50.7%) 순이다.

강동구와 영등포구를 제외한 23개 구 인구 감소

자치구별 총인구는 송파구(67만3926명)가 가장 많았고, 중구(13만4635명)가 가장 적었다. 전년대비 강동구(+2만3608명)와 영등포구(+6381명)는 인구가 늘어난 반면, 강서구(-1만2372명), 노원구(-1만271명), 송파구(-8815명) 등 23개 구에서는 인구가 줄었다.

연령별 인구는 25~29세 인구가 85만8648명으로 가장 많았고, 45~49세(81만9052명), 50~54세(80만7718명) 순이었다.

전년대비 15~19세(-4만2767명), 45~49세(-4만504명), 35~39세(-3만6948명) 순으로 인구가 크게 감소한 반면, 60세 이상 인구는 모든 구간에서 증가했다. 특히, 0~4세 인구가 10.26% 감소한 반면, 85~89세 인구는 11.42% 증가해 급격한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그대로 보여줬다.

고령화율(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비) 지표는 2010년 9.5%였으나 2018년 14.1%로 고령사회로 들어섰으며, 2020년은 15.8%로 상승했다. 2020년말 65세 이상 인구는 156만8331명으로 전년대비 비중이 1.0%p(14.8%→15.8%) 증가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구(13.8%)와 송파구(13.9%)를 제외한 23개 구가 고령화율 14.0%를 초과해 고령사회기준(14.0%)을 넘어섰다.

생산가능(15~64세) 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인구(14세 이하와 65세 이상)를 나타내는 총부양비는 35.2명으로 전년대비 1.3명 늘었다. 

유소년(14세 이하) 부양비는 13.8명으로 전년대비 0.3명 감소한 반면, 노년(65세 이상) 부양비는 21.4명으로 전년대비 1.5명 증가했다. 유소년 인구 100명당 고령 인구 수를 나타내는 노령화 지수는 154.9명으로 전년대비 13.7명이 늘었다.

내국인 인구를 10년 전과 비교해 보면 64세 이하 인구는 120만 명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56만 명이 증가해 고령화 추세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코로나 팬데믹 영향으로 외국인 등록 인구는 3만9253명이 감소한 24만2623명으로 전년대비 13.93% 감소했다.

국적별로 보면 중국(한국계 포함) 국적 외국인이 전년대비 3만2070명 급감한 반면, 베트남(133명 증가)과 몽골(270명 증가) 국적은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체류 자격별로 보면 한국계 중국인이 대다수인 방문 취업은 35.45%(-2만4951)감소했고, 유학은 16.79%(-7637명) 줄었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그동안 '천만도시 서울'은 거주인구가 많은 거대도시를 상징하는 단어"면서 "1000만 인구가 어떤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기 보다 인구변화가 가져 올 사회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밝혔다.

태그:#천만 서울, #서울 인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람에 대한 기사에 관심이 많습니다. 사람보다 더 흥미진진한 탐구 대상을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