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살처분 당한 131만 마리 닭·오리들을 위한 추모식과 함께 정부에 예방적 살처분 금지 촉구와 공장식 축산 기업이 예방을 책임지라 촉구 기자회견
▲ 6일(일) 조류독감 "예방적 살처분 반대" 기자회견 열려 살처분 당한 131만 마리 닭·오리들을 위한 추모식과 함께 정부에 예방적 살처분 금지 촉구와 공장식 축산 기업이 예방을 책임지라 촉구 기자회견
ⓒ 김선경

관련사진보기

 
"정부는 예방적 살처분 금지하라!"
"공장식 축산 기업이 예방 책임져라!"


지난 11월 28일 전북 정읍 오리농장을 시작으로 경북 상주, 전남 영암 등 가금류 농장에서 조류독감이 발생했다. 전국적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로 예방적 살처분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열흘사이에 무려 닭, 오리 등 131만 마리가 땅에 묻혔다.

동물과 사람을 위해 세상을 바꾸는 '길봄'(대표 이소영)은 6일 오전11시30분 정부서울청사 본관 앞에서 살처분 당한 131만 마리 닭·오리들을 위한 추모식과 함께 정부에 예방적 살처분 금지 촉구와 공장식 축산 기업이 예방을 책임지라는 요구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이소영 길봄 대표는 "2016-2017년 당시에도 농장동물 살처분 사태를 겪고도 여전히 예방적 방역이나 과학적 방역을 하지 못하고 있다. 공장식 축산(베터리 케이지)이 발병의 주요 원인이라 하지만, 해결을 위한 노력이 없었다"고 꼬집었다. 이 대표는 "결국 조류독감이 터지고 나서야 예방이라는 명분으로 살처분하기에만 급급한 현실"이라 말했다.

병에 걸리지도 않은 가축을 예방이라는 이유로 살처분?

보통 살처분은 병에 걸린 가축을 대상으로 한다. '예방적 살처분'은 긴급방역조치의 하나로 전염병을 막기 위한 수단이다. 예방적 살처분은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닭, 오리를 죽인 뒤 땅에 매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예방적 살처분의 대상반경은 3km이다.

이 대표는 "살처분의 범주를 정하는 것도 지자체 재량에 의해 정해져 마구잡이로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2017년에는 생매장 방식으로 살처분이 진행되는 것에 국민적 분노가 높아 이제는 질식사를 시키고 땅에 매장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적으로는 이산화탄소가 아닌 질소를 통한 질식을 권고하나 비용을 문제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고 있다"며 정부의 정책을 강하게 규탄했다.

조류독감이 발생하고 나면 살처분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시스템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 대표는 이어 "2010년 이후 하림, 동우 등을 비롯한 기업들이 위탁농가 운영을 통해 이윤을 창출하는데 도축장 사이의 마진을 줄이기 위해 가까운 거리에 농장들이 모여 있으면서 전염병에 취약한 구조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정말 해결해야할 문제는 공장식 축산 형태인데 기업은 이를 개선하지 않고 피해보상액만 받아가는 상황이기에 이를 개선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살처분 당한 131만 마리 닭·오리들을 위한 추모식과 함께 정부에 예방적 살처분 금지 촉구와 공장식 축산 기업이 예방을 책임지라 촉구 기자회견
 살처분 당한 131만 마리 닭·오리들을 위한 추모식과 함께 정부에 예방적 살처분 금지 촉구와 공장식 축산 기업이 예방을 책임지라 촉구 기자회견
ⓒ 김선경

관련사진보기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길봄소속 회원들이 살처분 당한 131만 마리의 닭과 오리들을 추모하는 추모식을 가졌다. 이날 참석한 예지 회원은 "평생 A4용지보다 작은 곳에서 날개 한번 펴보지 못하고 부리가 잘리고 성장촉진제에 항생제를 맞고 밤도 모르고 살아온 네가 전염병에 취약한 것은 우리의 탓"이라며 "인간의 이기심에 더 이상 죽지 않는 세상이 오길 바란다"고 추모의 편지를 낭독했다.

길봄은 예방적 살처분으로 죽어간 닭과 오리 등 농장동물들을 위한 온라인 추모관을 운영하고, 정부와 국회에 살처분 금지와 예방책에 대한 질의서를 보낼 예정이며 또한 위탁농가를 통해 납품하는 대기업에게 예방 대책을 질의하고 이에 대한 답변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태그:#살처분, #조류독감, #공장식축산, #길봄, #이소영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힘들지만 우직하게 한 길을 걷고 싶은 청년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