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금강산 구룡폭포 오른쪽 동그라미 표시가 된 곳에 김규진의 글씨 '彌勒佛'이 새겨져 있다. 김규진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진관 '천연당'을 서울 천연동(현 소공동)에 연 인물로, 사진가로 활동하기 이전부터 나라 안 최고의 서화가로 유명한 인물이었다.
 금강산 구룡폭포 오른쪽 동그라미 표시가 된 곳에 김규진의 글씨 "彌勒佛"이 새겨져 있다. 김규진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진관 "천연당"을 서울 천연동(현 소공동)에 연 인물로, 사진가로 활동하기 이전부터 나라 안 최고의 서화가로 유명한 인물이었다.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1864년에 태어난 황철은 사진가·서화가·강원도 관찰사 등을 역임한 관리로 역사에 남아 있다. 그는 18세인 1882년 사업차 들른 상해에서 중국인으로부터 사진 촬영술을 익혔는데, 그해 말 사진 기계를 사 들고 귀국했다. 이듬해인 1883년 황철의 안국동 자택 서재는 촬영소로 개조되었다.

1884년 갑신정변 때 황철의 촬영소는 무참히 부서졌다. 군중들이 난입해 '개화파'의 촬영소 건물을 때려부수고, 사진 기자재도 모두 파괴해버렸다. 그래도 황철은 1886년 다시 촬영소를 열었다.

우리나라에 사진기를 최초로 도입한 황철

최초로 사진기를 국내에 도입한 황철은 궁궐 등을 촬영한 기록사진을 많이 남겼다. 그가 남긴 80여 점의 기록사진은 개화기 사회상을 생생히 전해주는 역사유산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궁궐 등 기록사진을 다수 찍은 까닭에 간첩으로 몰려 투옥되기도 했다.

황철은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일제가 주는 관직을 모두 거부했다. 사진가 황철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우리나라 최초로 사진을 도입했고, 중요한 기록사진을 다수 촬영하여 그 시대를 조감할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를 남겼다.(《두산백과》)'로 요약된다.

우리나라 최초의 사진관을 연 김규진

김규진은 황철 이후 우리나라 사진의 역사를 증언하는 인물이다. 대구가 배출한 유명한 사진작가 최계복이 일본으로 유학을 간 1907년에 김규진은 이미 서울 천연동(현 소공동)에 '천연당'이라는 이름의 사진관을 열었다. 1907년 8월 17일에 개업을 했으니 최계복이 1933년에 '최계복 사진기점'을 연 데 비하면 26년이나 앞선다.

김규진은 황철보다 4년 후인 1868년에 태어났다. 황철에 비해 불과 4년 뒤에 출생한 김규진이 황철의 동년배가 아니라 차세대 사진가로 일컬어지는 데에는 타당한 이유가 있다. 황철이 18세인 1882년 사진과 처음 접한 데 견줘 김규진은 39세인 1907년에야 사진에 입문했다. 나이는 4년 차이가 나지만 사진계에 발을 디딘 시기는 25년이나 격차가 벌어지기 때문이다.
 
강원도 고성 건봉사의 불이문. 현판의 글씨는 김규진이 썼다. 김규진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진관 '천연당'을 연 사진작가이자 당대 최고의 서화가였다.
 강원도 고성 건봉사의 불이문. 현판의 글씨는 김규진이 썼다. 김규진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진관 "천연당"을 연 사진작가이자 당대 최고의 서화가였다.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김규진은 본래 서화가였다. 그는 18세인 1885년 중국으로 가서 8년 간 그림과 글씨를 공부하고 1894년 돌아왔다. 귀국 후 나라가 알아주는 서화가로 인정받은 김규진은 1896년 이래 왕실 업무를 총괄하는 궁내부의 통역 담당 부서 외사과 주사(현 6급 정도)를 시작으로 여러 관직도 맡았다.

하지만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 즉 고종의 일곱째 아들이자 순종의 이복동생인 영친왕에게 글씨를 가르치는 서사(書師)를 역임한 김규진은 1907년 들어 관직을 결별한다. 제자인 영친왕이 일제의 강요로 일본 유학을 떠난 것이 계기였다. 그 해에 김규진도 일본으로 건너가 사진술을 배웠다.

남북한 곳곳에 남아 있는 김규진의 글씨

필자는 김규진의 사진은 본 적이 없지만 그가 남긴 글씨는 곳곳에서 보았다. 부여 부소산성 가장 높은 지점의 조선 시대 누각 사자루(泗泚樓,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99호)에 그가 남긴 '白馬長江(백마장강)'이 걸려 있다. 필자에게는 그것이 김규진의 글씨를 본 첫 체험이었다.
 
부여 부소산성 사자루(충남 문화재자료 제99호)에 걸려 있는 김규진의 '白馬長江(백마장강)'
 부여 부소산성 사자루(충남 문화재자료 제99호)에 걸려 있는 김규진의 "白馬長江(백마장강)"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얼마 뒤 해인사 일주문의 '伽倻山 海印寺(가야산 해인사)'와 포항 오어사 현판의 '吾魚寺(오어사)'도 보았다. 그리고 2005년 12월 어느 날, 대구에서 아득히 먼 강원도 고성의 건봉사를 찾아가 일주문(강원도 문화재자료 35호)에 현판으로 붙어 있는 그의 글씨 '不二門(불이문)'도 보았다.

건봉사에 갔던 그 날 적멸보궁에서 오른쪽 계곡으로 들어가는 작은 담장 틈에 부착되어 있는 손바닥만한 표지판을 보고 받은 충격(!)은 지금도 강력하게 내 마음과 몸속에 살아 있다. 표지판은 '→ 금강산 가는 길'이라 했다. 금강산으로 가는 길이라니! '不二門'이 마치 우리 겨레의 통일을 상징하는 세 글자인 양 경이롭게 여겨졌다.

건봉사에서 본 '금강산 가는 길' 표지판

그것은 김규진이 1918년 불교도들의 청을 받아 금강산 구룡폭포 절벽에 새겨 놓은 '彌勒佛(미륵불)'을 보고 받은 감동의 재현이었다. 다만 필자가 2004년 4월 그 글씨를 보며 받은 감동은 예술 차원의 것은 아니었다. 아주 멀리서 바라본 탓에 글씨가 주는 놀라운 울림은 미처 느낄 수 없었다. 필자의 가슴을 울린 것은 분단 상황 중에 금강산에 와서 '彌勒佛' 글자를 본다는 사실 그 자체가 준 설렘 때문이었다.

그 날 현지 해설사로부터 '彌勒佛' 세 글자가 김규진의 글씨라는 설명을 듣기는 했다. 하지만 전망대에 서 있던 그 시각에도 필자는 김규진이 어떤 사람인지 알지 못했다. 지금은 미륵불이 도솔천에 머물러 있지만 56억7천만 년이라는 아득한 훗날 이 땅에 와서 모든 인간들을 구제해준다는 이야기만 떠올렸을 뿐이다.

비룡폭포 오른쪽 절벽을 보는 순간, 필자에게 '彌勒佛'은 단순한 글자 셋이 아니었다. '彌勒佛' 세 글자는 언젠가 통일의 그 날이 오면 우리나라 사람들 모두가 한결같이 인간답게, 행복하게 살게 된다는 상징으로 보였다. 비 온 뒤 장엄하게 쏟아져 내리는 구룡폭포 물줄기가 마치 무지개처럼 아름답게 용솟음치고 있었다.
 
'가야산 해인사' 한자 글씨도 김규진의 작품이다.
 "가야산 해인사" 한자 글씨도 김규진의 작품이다.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필자가 사는 시간의 시대정신은 '통일'이고, 김규진이 '彌勒佛'을 새긴 1918년 무렵의 시대정신은 '독립'이다. 그렇다면 김규진은 '彌勒佛'을 쓰면서 독립의 그날을 꿈꾸었을까? 알 수 없는 일이다. 다만 김규진이 무슨 의도로 '彌勒佛'을 썼든 그것을 보는 사람에게는 자기 나름의 인식을 바탕으로 자유롭게 감상할 자유가 있다. 김춘수가 자신의 〈꽃〉을 '무의미 시'로 규정한 것과 아무 상관없이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연애시로 즐기는 현상과 같다. 작가에게 '의도의 오류'가 자유이듯 독자에게도 '감상의 오류'는 자유인 것이다.

김규진은 독립을 염원하여 '彌勒佛'을 썼을까

김규진이 1907년 8월 17일 나라 안 최초의 사진관을 열었듯이, 누군가가 군사분계선을 없애고 통일의 문을 활짝 열어주었으면 좋겠다. 1340여 년 전 문무왕이 통일대업을 완수한 후 "무기와 투구를 모두 땅에 묻으라. 이제 어진 사람이 잘 사는 시대가 왔다!"라고 크게 외쳤듯이, 누군가가 "미움과 싸움의 마음을 모두 허공으로 날려버리라. 이제 영원한 평화와 참된 사랑의 시대가 왔다!"라고 선포하는 날이 오기를 기다린다.

56억7천만 년은 오직 관념적 상징일 뿐이다. 문익환 목사가 시 〈꿈을 비는 마음〉에서 말했듯이, 우리가 '보름달이 뜨면 정화수 한 대접 떠 놓고' 비는 그 순간 통일은 이미 우리들의 마음속에 들어와 있으리라.

태그:#김규진, #황철, #비룡폭포, #문익환, #통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장편소설 <한인애국단><의열단><대한광복회><딸아, 울지 마라><백령도> 등과 역사기행서 <전국 임진왜란 유적 답사여행 총서(전 10권)>, <대구 독립운동유적 100곳 답사여행(2019 대구시 선정 '올해의 책')>, <삼국사기로 떠나는 경주여행>,<김유신과 떠나는 삼국여행> 등을 저술했고, 대구시 교육위원, 중고교 교사와 대학강사로 일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