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의당 류호정 의원이 지난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잠시 퇴장하고 있다.
 정의당 류호정 의원이 지난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잠시 퇴장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류호정 정의당 의원이 지난 5일 입은 의상을 두고 인터넷상에서 품평하는 사람들이 있다. 국회의원의 복장이 과하게 회자되는 자체도 이해하기 힘들지만 성희롱과 혐오 발언을 필터 없이 쏟아내는 것은 심각한 문제였다.

아마 그런 댓글을 단 이들은 청년 여성이자 초선의원인 류호정에게 "국회의원 패션의 T.P.O.(Time, Place, Occasion)를 가르쳐줘야지"라는 정의감(?)으로 그랬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그 꼰대적 시선의 저변에는 여성의 일과 존재를 성적인 코드로만 바라보는 성차별적 의식이 있다. 또한 이를 표출하는데 전혀 거리낌이 없는 '성찰이 결여된' 시민성이 있다. 대체 어떤 삶을 살고 있기에 문제적 발언이 문제인지도 모른 채 마구 뱉어낼 수 있는 것인가?

여성노동자와 그의 일을 성적코드화 하는 행태

최근 연이어 터지는 직장 내 위력 성폭력 사건과 이어지는 2차 가해 속에서 주변 20~30대 여성들이 '연쇄' 충격을 호소하는 것을 마주한다. 안희정 전 도지사로부터, 오거돈 전 시장으로부터, 그리고 故 박원순 시장으로부터 빚어진 이 폭력들이 신속한 진상규명과 피해자 구제로 깔끔하게 마무리되지 않고 비화하는 참상을 지켜보면 그럴 수밖에 없다. '직장에 다니고 노동을 하는 나도 겪었고, 앞으로도 겪을 수 있는 일'로 체감되기에 공포와 분노가 커지는 것이다. 

직장 내 성폭력이 근절되기보다 오히려 2차 피해를 양산하며 재생산되는 데는 여성노동자를 동료인 노동자로 대하지 못하고, 여성노동자의 업무마저도 젠더 수행성을 강요하는 방식으로 구성해온 가부장적 조직문화에 그 뿌리가 있다. 여성 노동을 성적 코드화 하는 것이 직장 내 성폭력 메커니즘을 만든다. 
책 <김지은입니다> 겉표지
 책 <김지은입니다> 겉표지
ⓒ 봄알람

관련사진보기

 
안희정 전 도지사의 비서로 일했던 김지은씨는 자신의 저서 <김지은입니다>에서 비서 업무를 하며 겪었던 일들을 아주 상세히 기술해놓았다. 최초의 여성 수행비서로 뽑혔을 때부터 시작됐던 시선과 언어의 성희롱, 상시로 당했던 외모에 대한 지적들, 업무의 인계랍시고 요구되는 비상식적인 '챙김의 업무'까지 모두 강한 젠더 수행성을 요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故 박원순 시장의 비서로 일했던 피해자의 이야기와도 교집합이 많다. "여기 비서는 얼굴로 뽑나 봐"라는 성희롱 발언, '여성 비서가 해야 덜 기분 나빠한다. 더 좋아한다'라면서 시장의 혈압을 재고, 속옷 수발을 '업무'로서 담당한 것 등 약간의 디테일이 다를 뿐 그 맥락은 완전히 같다. 

마치 왕을 모시듯 하는 그것이 비서 직무를 맡은 여성 노동자가 응당 해야 할 노동일까? 상사와 동료의 눈치를 알아서 살피는 것, 어떠한 노동을 하느냐와 관계없이 정형화된 아름다운 모습을 유지하는 것, 엄마나 애인 혹은 부인처럼 살갑게 기분을 맞추고 일거수일투족 사적인 부분까지 살뜰히 챙기는 것 등을 마치 정상적인 업무인 양 편성해 놓는 것부터가 문제이다. 오랜 인류의 역사 속에서 젠더화된 여성성을 수행케 하는 남성 가부장 중심의 조직문화의 부당함이 만들어낸 또 하나의 갑질이다. 

'꽃'이 아니라 동료 노동자로 여성 대하는 법 배워라
 
ⓒ 한국여성노동자회
 
조직 안에서 여성노동자를 대하는 태도는 폭력과 차별적 대우와 결국 연결되곤 한다. 함께 업무를 분담하고 조직을 이끌어 갈 동료가 아니라 남성 조직의 구색 맞추기 식으로 여성을 채용하고자 할 때, 외모나 어린 나이와 같이 차별적 기준을 적용한 채용 면접을 진행한다든지 언제든 갈아치울 수 있게 여성에게만 불안정한 고용 형태를 적용하는 일이 발생한다. 

동료가 아니라 성애의 대상으로 보는 시선이 직장 내 성폭력을 초래하고 사후에도 피해노동자를 탓하는 2차 가해로 연결된다. 어린 시절 가족 안에서 엄마가 해주던 역할을 일터에서 여성 동료가 당연히 도맡아 해야 한다고 기대하는 태도가 공적 업무에 벗어난 부당한 일을 부가하는 갑질로 나타나기도 한다. 

잇단 위력 성폭력 사건이 폭로되자 "여성을 비서로 뽑지 말아야 한다"면서 여성을 일터에서 배제하는 또 다른 성차별을 대안이라며 말하는 자들이 있다. 

최근의 직장 내 성폭력, 위력 성폭력 사건에서 여성은 피해자였지 가해자가 아니다. 피해자들의 존재를 숨기고 지우려 하는 방지책이라니 말문이 막힌다. 가부장적 남성 중심 조직 문화에 익숙한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성별 가림막이 아니라 여성 동료 노동자와 평등하게 일하기 위한 전향적 태도이다. 

반성과 성찰을 통해 스스로 차별의 울타리, 폭력의 습성이 없는지 점검해야 한다. "나 정도면 괜찮다"라고 느낀다면 주변 여성 동료에게 묻고 그의 말을 깊이 경청하며 다시 점검해보라. 여성인 노동자를 차별하거나 그에게 폭력을 가하지 않고 일할 수 있는 성평등한 조직문화를 '함께' 만들어나가길 바란다.

덧붙이는 글 | 직장 내 성희롱 및 여러 노동 성차별에 대한 상담이 필요하시면 한국여성노동자회 평등의 전화 : 전국공통 1670-1611


태그:#오거돈, #박원순, #안희정, #위력 성폭력, #직장 내 성희롱
댓글2

여성 노동자들이 노동을 통해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운동을 하는 여성노동운동 단체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