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 학교밖 청소년이 공연장에서 청소년증을 제시했지만 학생증이 없다며  성인 요금을 내고 공연을 봐야 했다.
▲ 학교 밖 청소년 권리지킴 가이드북의 한장면 한 학교밖 청소년이 공연장에서 청소년증을 제시했지만 학생증이 없다며 성인 요금을 내고 공연을 봐야 했다.
ⓒ 여성가족부

관련사진보기



한 청소년이 그동안 보고 싶었던 뮤지컬을 보러 공연장에 가서 청소년증을 제시했지만, 학생증이 없다며 청소년 15% 할인 요금이 아닌 성인 요금을 내고 공연을 봐야 했다.

영화감독이 꿈인 한 청소년은 한 청소년 영화학교에 작품을 출품하려다 참가 자격에 "중고등학교 재학생"이라는 문구를 보고 지원을 망설였던 경험이 있다. 코로나 사태로 공적 마스크를 사고자 했으나 본인 확인 신분증에 학생증만 있고 청소년증만 있어 마음이 위축된 적도 있다고 말한다.

위 사례 말고도 청소년증이 없어 성인 요금을 내고 버스를 타거나 학교밖 청소년이라고 하여 비행 청소년이라는 곱지 않은 시선을 받은 적이 있다고 학교밖 청소년들은 말한다.

위 사례는 지난 3일, 여성가족부가 펴낸 "학교밖 청소년 권리지킴 가이드북"에 소개된 실제 사례다. 여성가족부는 학교에 다니지 않는다는 이유로 청소년으로서 누려야 할 사회·제도적 권리에서 배제된 청소년들을 위해 이 가이드북을 펴냈다고 밝혔다.

교육부에 따르면 청소년 인구는 매년 감소하고 있지만 초·중·고 학업 중단 청소년은 2016년 4만8천 명, 2017년 5만 명, 2018년 5만2천 명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이 가이드북에 소개하고 있다.

보통 학교밖 청소년은 학업을 중단하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45%는 검정고시, 대안학교 등을 통해 학업을 지속하고 있다. 하지만 2015년 고등학생 1인당 공교육비는 연 1천만 원인데 반해 2018년 1인당 학교밖 청소년 지원예산은 연 약 54만 원으로 공교육 대비 5.4%에 미치고 있다고 여성가족부는 강조한다.
   
여성가족부는 학교에 다니지 않는다는 이유로 청소년으로서 누려야 할 사회·제도적 권리에서 배제된 청소년들을 위해 이 가이드북을 펴냈다고 밝혔다.
▲ 학교밖 청소년 권리 지킴 가이드북 여성가족부는 학교에 다니지 않는다는 이유로 청소년으로서 누려야 할 사회·제도적 권리에서 배제된 청소년들을 위해 이 가이드북을 펴냈다고 밝혔다.
ⓒ 여성가족부

관련사진보기

  
학교를 그만둔 후 불이익 경험 1위는 학생증이 없어 각종 요금을 더 많이 낸 것이고 불이익 2위는 각종 공모전 참가 자격이 제한된 것인데 이것 모두 '학생이 아닌 청소년'이라는 사회적 인식의 결여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심민철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관은 "그동안 우리 사회는 청소년을 '학생'이라는 단일 집단으로 인식해 온 경향이 있다. 지금과 같이 다원화된 사회에서는 학교 안팎에서 서로 다른 모습으로 성장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한국청소년정책연대 민건동 공동대표도 "공공 부분에서의 청소년 차별을 먼저 없애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민간 영역에서 아무리 학교밖 청소년에 대한 차별을 시정하려 노력해도 정부나 지자체 공공기관에서 앞장서 학교밖 청소년에 대한 차별을 고쳐 나가지 않으면 학교밖 청소년 권리 회복이 늦어질 수밖에 없다"며 이번 가이드북이 정부가 직접 학교밖 청소년 권리 개선에 앞장서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가이드북은 정부 부처 및 전국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 배포되며 와 여성가족부 홈페이지와 꿈드림 홈페이지에서 직접 내려받을 수 있다.    
 

태그:#학교밖 청소년, #청소년증, #차별, #한국청소년정책연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학부와 대학원에서 모두 NGO정책을 전공했다. 문화일보 대학생 기자로 활동했고 시민의신문에서 기자 교육을 받았다. 이후 한겨레 전문필진과 보도통신사 뉴스와이어의 전문칼럼위원등으로 필력을 펼쳤다. 지금은 오마이뉴스와 시민사회신문, 인터넷저널을 비롯, 각종 온오프라인 언론매체에서 NGO와 청소년분야 기사 및 칼럼을 주로 써오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