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기 전까지 시어머니와 같이 몇 번 살았다. 시누이들이 결혼하기 전이어서 어머니는 몇 달씩 우리 집과 딸들이 지내는 당신 집을 번갈아 왔다 갔다 하며 머무셨다. 사이가 나쁜 고부 사이는 아니었어도 '딸 같은 며느리'나 '엄마 같은 시어머니'라는 말은 믿지 않았다. 시댁이 늘 어려워 숨죽이며 지냈다. 그 상황에 배운 것이 있다면 김치 담그는 방법이었다.

그것만은 가르쳐야겠다고 생각하신 것인지, 나의 김치 담그기는 결혼 첫해 김장부터 시작됐다. 이제 막 결혼한 새댁에게 그해 김장 100포기 담그기를 시켰다. 배추만 100포기였으니 알타리 김치와 깍두기, 파김치와 갓김치, 동치미까지 더해지면 엄청난 양이었을 테다. 내 생에 그렇게 많은 김치는 7남매가 복닥거리던 식구 많은 친정에서도 보지 못한 것이었다. 그렇게 시어머니의 단독 보조로 옆에서 다듬고 절이고 나르고 무치고를 반복하며 생애 첫 김장을 담갔다.

지금처럼 김치냉장고가 있던 시절이 아니었다. 냉장고에 넣어 둘 것을 제외하고 다 한겨울의 김칫독에 넣었다. 기온이 영하로 떨어졌다가 영상으로 오르면서 김칫독 안의 김장김치도 얼었다 녹기를 반복했고, 더는 먹을 수 없을 만큼 금방 쉬어 꼬부라졌다. 먹는 것은 얼마 되지 않았던 것 같고 내 손으로도 버리진 않았는데 그 많던 김치가 다 어디로 갔는지 세세한 기억이 없다. 한 가지 분명한 건, 김치가 없어지면 새로 담가야 했다.

첫 김장을 시작으로 미처 겨울이 다 가기도 전에 겨우내 먹은 김장김치가 물린다고 하며 햇김치를 담갔다. 봄이 오니 새 김치를 먹어야 한다고 해서 담갔고, 누구는 열무김치를 좋아하고 누구는 알타리를 좋아한다고 담갔다. 김치로 시작해서 김치로 마무리되는 한 해가 일머리 모르는 보조에게는 버거웠다. 그토록 옆에서 배워도 발전이 없으니 마음도 고달팠다. 해가 지날수록 김치가 만만해지기는커녕 점점 무서운 공포가 되어버렸다.

그런 시간을 보내다 시어머니와 떨어져 지내는 때가 오면, 내 손으로는 절대 김치를 담그지 않았다. 어쩌면 못 담그는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김치가 다 떨어져 없어질 경우 지인이나 친정에서 주면 받아먹었고, 그래도 없으면 사다 먹을지언정 직접 김치를 담그지는 않았다.

이후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들어가며 직장생활을 시작했고 십수 년간 김치를 담그지 않았다. 아니, 김치를 담그는 것을 회피했다. 김치 담그는 법을 모르는 것은 아니었으나 담그기 싫다는 마음과 무섭다는 마음이 동시에 다가왔다. 허리 건강이 좋지 않아서 수술도 했었기에 최대한 몸을 사려야 하기도 했다.

지난해 오랜 직장 생활이 끝났다. 나이도 있고 시간도 났으니 김치를 조금씩 담가볼까 싶었지만, 여전히 김치 담그기는 무서운 일이었다. 덤비기엔 부담이 먼저 다가왔다.

그러다가 코로나19를 계기로 대부분의 음식을 직접 해 먹으면서, 다시 김치를 담가 먹는 사람이 되었다.

그 무섭던 김치가 조금은 만만해지기까지
 
열무김치 버무리기
 열무김치 버무리기
ⓒ 장순심

관련사진보기


올 봄 김치 담그기를 시도한 뒤로 깍두기, 알타리에서 파김치와 열무김치로 조금씩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가족들이 맛있다고 하고 남김없이 먹으니 재미도 있다. 아직 포기김치는 도전하지 않고 있다. 어찌어찌 담글 수는 있겠으나 절이고 씻고 양념 따로 만들어 버무리고 하는 과정은 마음에서도 몸에서도 아직은 버겁게 여겨지기 때문이다.

채소 가게에 열무와 배추가 연하고 값싼 것이 있어 일단 장을 봤다. 각각 한 단씩 가져온 것으로 다듬고 절였다. 찹쌀가루가 있어 풀도 쑤고 다진 마늘에 새우젓과 액젓을 넣고 매실액과 양파즙도 넣고, 고운 고춧가루와 조금 굵은 고춧가루를 각각 양념에 섞는다. 여러 번 간을 봐야 하지만 보기엔 그럴듯한 열무김치가 완성됐다. 숨이 죽어 김치 통에 옮겨 담고 나니, 그 무섭던 김치가 조금은 만만해지는 느낌이 들었다.

내가 사는 아파트 단지에 매주 목요일마다 장이 선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채소와 과일, 생선과 잡곡류, 옷까지 없는 것이 없는 나름 구색을 골고루 갖췄다.

얼마 전 곡물 가게와 생선 가게를 거쳐 채소 가게를 지나는데, 그동안 시장을 다니며 열심히 찾았던 알타리가 눈에 띄었다. 가격도 친절하게 적혀 있었다. 4단에 만 삼천 원. 시장에서 어쩌다 한 번 마주쳤던 알타리보다 양이 조금 작은 듯했지만 이 정도면 가격은 괜찮다 싶었다.

이전에 담근 김치가 마침 끝을 보기 직전이라 뭐라도 담가야 한다고 생각하던 차였다. 결정적인 주인아주머니의 한 마디에 구매를 결정했다.

"무가 아주 달아요."

대파는 분명 아니고 쪽파라고 하기는 좀 찝찝한 게 보였다. 일단 당당하게 쪽파라고 부르며 얼마냐고 물었다.

"실파요? 이건 이천 원."
"아! 실파구나..."

모기 소리만 하게 말을 받고 나서 그것도 달라고 했다.

"한 단 다 넣으면 돼요."

친절하게 김치에 넣을 적정량까지 계산해서 말씀해 주신다. 나이는 잔뜩 먹어 실파인지 쪽파인지도 모르는 사람이 오죽할까 싶었나 보다.
 
알타리 김치 절이기
 알타리 김치 절이기
ⓒ 장순심

관련사진보기

 
어제의 민망함을 오늘의 김치 맛으로 상쇄하면 된다고 생각하고 거사에 돌입했다. 구석에 놓인 야외용 매트를 꺼내 거실에 펼쳤다. 2년 전 사놓은 천일염 한 자루도 간수가 빠진 채 그대로 보관 중이었다. 알게 모르게 나름 재료가 집 안 구석구석에 있었다. 다듬으며 바로 절일 수 있도록 대야에 물을 받아서 소금 풀어 한쪽에 놓고 사 온 열무를 매트 위에 펼쳐 놓았다.

다듬는 시간이 꽤 오래 걸렸다. 알타리는 다듬기만 하면 담그는 것은 금방이라는 누군가의 말이 떠올라서 힘을 냈다. 남편은 아침 일찍부터 마늘 꽁다리를 잘라내고 씻어서 찧는 것까지 책임지고는 바로 출근했다. 두 시간가량 다듬으며 절이니 무가 어느 정도 말랑말랑 부드러워진 느낌이었다. 깨끗이 씻어 놓고 잠시 휴식.

이제 버무리기만 하면 된다. 몇 번 연거푸 김치를 담그다 보니 양념을 무엇을 넣을지는 더는 걱정을 하지 않게 되었다. 간을 맞추는 것이 조금 부담이 되었지만 무가 많으니 양념을 조금 짭짤하게 하면 될 것 같았다. 멸치젓 듬뿍, 새우젓 넉넉히, 마늘과 매실액과 양파액을 넣은 것에 풀 쑤어 식힌 것을 붓고, 고춧가루 듬뿍 넣어 버무리니 시뻘건 양념이 만들어졌다. 실파를 듬성듬성 썰어 양념에 넣고 건져 놓은 알타리에 조금씩 양념을 덜어 무에 빨갛게 물이 들도록 버무려 주었다.

15kg의 알타리 김치가 완성되었다. 담그는 동안은 힘들어서 빨리 끝내야겠다는 마음이 가득했지만 때깔 좋은 김치가 두 통 가득 눈앞에 놓이니 힘들었던 과정을 잊을 만큼 보람이 있고 뿌듯했다.

낯선 변화를 기꺼이 받아들이다
 
완성된 알타리 김치
 완성된 알타리 김치
ⓒ 장순심

관련사진보기


이전에 김치가 무섭고 지겨워 절대로 담그지 않겠다고 결심하기까지 했었다. 당연히 김치가 똑 떨어져도, 가족들이 어떤 김치가 먹고 싶다고 해도 시장에서 김칫거리를 보면 외면하며 지나치곤 했다. 그런데 지금은 내 손으로 김칫거리를 산다. 여전히 몸은 힘들지만 열심히 담근다. 할 만하다는 생각도 든다. 결정적으로 그때에 비해 달라진 것이 있다면 김치 담그고 나서의 마음인 것 같다.

이전과 똑같이 김치가 무섭고 담글 엄두를 내는 것조차도 겁이 나지만, 결과물을 보고 나면 다음엔 어떤 맛깔난 김치가 나오게 될까 어느새 혼자서 다음 작품(어떤 김치를 담글지)을 기대하고 구상하곤 했다. 담그고 나서부터 김치의 색감을 살피고 가족들에게 맛을 보게 했다. 담가진 모양이나 맛을 보며 맛있다고 말해주면, 기분 좋은 감정을 숨기지 못했다. 그 사소한 칭찬 한마디에 입꼬리가 올라가고 춤이라도 출 고래의 마음이 되고 동시에 힘든 기억은 지워진다.

한때는 '김치가 없으니까' '해야 하는 때니까' 등의 이유로 어느 날 갑자기 누군가 산더미 같은 김칫거리를 가져와 나의 속도와는 상관없이 치르듯 해냈다. 그러니 김치 담그기는 내겐 공포일 수밖에. 이제 그러한 시간들을, 생각만으로도 숨이 턱 막히는 트라우마를 조금씩 극복해가는 중인 것 같다.

내가 계획하고 장에 가서 김칫거리를 고르고 다듬고 절이고 버무리는 그 과정 전체가 내 통제하에 있는 것이 최적의 노동 조건이었던 것 같다. 그리고 지금 그 일을 즐기며 과거의 힘들었던 김치와의 기억을 조금씩 지우는 중이다. 적절한 양을 적당한 속도로, 모든 과정을 내가 통제하는 김치 담그기는 힘들지만 할 만하다. 아직 끝나지 않는 그 무서운 코로나19지만, 그것이 내게 가져온 변화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중이다.

태그:#코로나19, #김치트라우마극복하기, #열무김치, #알타리김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