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2월,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오스카 4관왕의 영예를 안았다. 이에 곧바로 서울특별시 공식 트위터는 <기생충>의 수상 소식을 축하하면서 '서울 속 <기생충> 촬영지 탐방코스'를 소개하기도 했다. 극 중에 나온 장소인 '돼지쌀슈퍼', '자하문 터널 계단' 등을 관광코스로 묶어서 소개하는 것. 알고 보니 영화 개봉 이후인 지난해 11월부터 한류관광 코스로 소개 중이었다.

이에 인터넷을 중심으로 가난을 상품화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타인의 가난을 구경거리로 전락시키고, 영화의 메시지보다는 '가난 포르노' 마케팅에 집중한다는 것이다. 결국 그곳들도 사람이 사는 곳이라는 단순한 사실은 망각되고, 누군가의 구경거리로 전락되고 있는 듯하다.

사람이 거기에 살고 있다
 
<착취도시, 서울> 책 표지.
 <착취도시, 서울> 책 표지.
ⓒ 글항아리

관련사진보기

 
나는 <기생충>에 나오는 가난함을 겪어보지 못했다. 와이파이가 제대로 안 잡혀서 천장에 대고 이리저리 움직여 보지도 않았고, 비가 오는 날에 빗물이 넘쳐 화장실 변기 위로 피해 본 적은 더더욱 없으니까. 그래서 그런지 그런 '가난함의 감각'은 어쩌다 한 번씩 밖으로 드러날 때 간접적으로나마 접하게 된다.

이혜미 한국일보 기자가 쓴 <착취도시, 서울> 역시 가난함의 감각을 알려주는 책이다. 2018년 11월 9일 서울 종로구 국일고시원의 화재로 인해 7명이 사망하고 12명의 부상자를 낳았을 때, 저자는 현장에 있었다.

국일고시원 화재가 난 뒤 며칠 뒤부터 저자는 취약 계층의 주거 실태와 관련한 취재를 위해 쪽방과 고시원 등을 뒤지러 다닌다. 슈퍼 가게 주인에게 5천원짜리 음료 값으로 1만 원을 쥐어주고 나서야 쪽방촌 사정을 잘 아는 주민을 소개받는다. 그렇게 박씨를 만난다. 
 
어쩌다 박씨를 만나 취재를 하고 이야기를 나눴지만, 결국 나는 1만 원이라는 값싼 돈에 그의 시간을 샀다(정확히 말하자면 슈퍼마켓 주인에게 지불했다). 그는 "20년 동안 크게 땅값을 올리지 않고 이 자리에 있게 한 슈퍼 주인 부부도 너무 좋은 사람이고 이젠 친구 같다"고 덧붙였다. 그런데 동시에 나는 '이 슈퍼 주인 부부도 작은 착취의 수레바퀴를 굴러가게 하는 시스템의 공모자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보일러조차 들어오지 않는 낡은 방들로 매달 200만 원 가까운 수익을 올리는 데 그치지 않고, 단돈 1만 원에 20년 동안 알아왔다던, 친구 같은 그의 가난과 사생활을 전시하는 데에 적극적이었다. 

쪽방은 집이 아닌 비주택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법적, 정책적으로 제대로 된 정의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고 한다. 국가 통계에서도 찾아보기 힘드니 각종 법망의 사각지대가 되기에 십상이다. 그렇게 사각지대로 남은 박씨의 쪽방 역시 열악하긴 매한가지다. 10년 전부터 보일러가 작동되지 않았는데, 설상가상으로 한 달 사이 방세가 3만 원이 오르기도 했다.  

박씨의 경험만으로 기사를 쓸 순 없으니, 저자는 실제로 창신동 쪽방촌의 실소유주를 찾기 시작한다. '사실 이 골목에 있는 쪽방 건물은 모두 우리 집주인 거다. 그 집 가족들은 돈을 모아 근처에 빌딩도 세웠다'라는 박씨 증언의 근거를 찾기 위해 쪽방 근처 건물들의 등기부등본을 죄다 뒤졌다. 소유권과 채무관계를 밤새 일일이 정리하고 보니 한 가족이 그 일대의 쪽방촌을 소유하는, 일종의 '가족 비즈니스'였다는 것을 알게 된다.
 
주거기본법의 최저 주거 기준에도 훨씬 미치지 못하는 인간이 존엄성을 잃지 않을 필요충분조건을 조금도 만족시키지 못하는 공간. 방 한 칸에 들어찬 가난한 이들이 그래도 희망을 잃지 않고 서로 기대어 역경을 이겨내는 것은 1990년대 주말 드라마에서나 봄 직한 환상일 뿐. 정말로 가난해서 남은 것이라곤 생명밖에 없는 이들은 쪽방촌에서 방치되거나, 착취당하거나 그 둘 중 하나의 선택지만 주어졌다. 기본적인 인권마저 누락된 공간에서, 빈자(貧者)가 유일하게 누릴 수 있는 권리는 '스스로 죽을 권리' 뿐이었다. 

저자는 쪽방촌을 중심으로 하는 가족 비즈니스가 빈곤층을 대상으로 하되, 빈곤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빈곤을 고착화시키는 구조에 일조하고 있음을 한국일보 1면에 특집 기사로 내보내는 데에 성공한다. 덕분에 '이달의 기자상', '올해의 데이터기반 탐사보도상' 등을 수상했다. 

천만 도시 서울의 그림자, 주거빈곤
 
영화 <기생충> 장면.
 영화 <기생충> 장면.
ⓒ CJ 엔터테인먼트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쪽방촌 사람들의 반응은 좋지 않았다. 슈퍼 주인은 기자에게 전화해서 온갖 모욕적인 말을 뱉어냈다. '돈 있는 게 죄냐, 있는 사람들이 빌려주겠다는데 네가 월세라도 내줄 거냐'며 항변했다.

동네 관리인들끼리 기사를 돌려보기도 했고, 슈퍼 주인은 집주인에게도 한마디 들은 모양이었다. 저자는 남의 생명과도 같은 주거권을 단순히 돈으로만 바라보는 착취의 연결고리를 끊어야겠다는 일념 하에 기사를 냈지만, 기사 속 사람들은 자신들이 악인이 되는 것 같아 불쾌했던 모양이다. 

이런 모욕과 고난을 감수하고서라도 주거빈곤 문제를 끈질기게 파헤친 이유가 무엇일까. 저자 자신이 주거빈곤을 경험한 당사자기 때문이다. 이 책은 탐사보도의 과정을 담은 결과물이기도 하지만, 저자 자신의 표현을 빌리면 "자전적 '주거난민'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는 대학을 다니는 내내 불안정한 주거 때문에 고민했다. 만 5년 6개월 동안 여섯 번을 집을 옮겨야 했다. 

그가 대학생일 때 경험했던 주거빈곤을 여전히 겪고 있는 이들이 있다. 청년층이다. 물론 저자가 지적하듯 모든 청년이 같은 처지에 놓인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누군가는 열악한 처지에 놓여 있음을 드러낼 필요가 있었다.

창신동 쪽방촌 기사를 내고 5개월이 지난 2019년 10월, '대학가 新쪽방촌'이라는 기획 기사를 내보낸다. 그마저도 서울의 유명 대학 재학생들이 처한 주거빈곤 위주로 다룬 것인데, 하물며 언론이 관심을 두지 않아 지워지는 청년층들은 어떠하랴. 천만 도시 서울의 민낯이 아닐 수 없다. 
 
애써 보이지 않는 빈자의 이야기를 끄집어내고 싶었다. 그러나 어느 순간 나를 둘러싼 커뮤니티도 비슷한 이들로 꾸려져, 닿을 수 있는 청년은 4년제 대학의, 어느 정도 지위가 보장된 청년들 뿐이었다. (중략) 버틸 동력도, 비빌 명목도 없는 이의 목소리를 날것으로 듣고 싶었다. 하지만 지독하게 가난했던 나도, 정말로 명문대의 졸업장과 정규직의 울타리 안으로 들어오니 놀라울 만큼 계급의 가장 아래와 훌쩍 멀어져 있었다. 

착취도시, 서울 - 당신이 모르는 도시의 미궁에 대한 탐색

이혜미 (지은이), 글항아리(2020)


태그:#주거빈곤, #한국일보, #착취도시서울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꾸준히 읽고 보고 쓰고 있습니다. 활동가이면서 활동을 지원하는 사람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