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천연기념물 제33호 수달
  천연기념물 제33호 수달
ⓒ 문화재청

관련사진보기

 
오는 19일은 추운 겨울이 가고 봄을 맞이하는 우수(雨水)다. 우수라는 말은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말이다. "우수 뒤에 얼음같이, 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라는 속담이 있는데 이는 슬슬 녹아 없어짐을 이르는 뜻으로 우수를 잘 표현한다.

우수의 시기는 봄에 들어선다는 입춘과 동면하던 개구리가 놀라서 깬다는 경칩 사이다. 양력 2월 19일이나 20일을 의미하며, 올해는 19일이다.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의미와는 다르게 올해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눈이 내린 특이한 현상도 일어났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우수 입기일 이후 15일간씩 세분했다. 첫 5일간은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놓고, 다음 5일간은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마지막 5일간은 초목에 싹이 튼다고 했다.

이렇게 중국에서는 수달과 기러기가 움직이는 시기를 봄의 시작점으로 여겼다. 우리나라 역시 그 영향을 받아 강이 녹을 때, 수달이 와서 물고기를 잡는 것을 보고 봄을 알리는 것을 인식했었다.

이성경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연구사는 "수달은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산간 하천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친숙한 동물이었지만, 한국전쟁 이후 환경오염과 무분별한 포획으로 인해 수가 급격하게 감소했다. 결국 수달은 멸종위기단계까지 오게 됐고 문화재청은 1982년 천연기념물 제330호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3월 발매한 천연기념물 '수달' 은메달
 지난 3월 발매한 천연기념물 "수달" 은메달
ⓒ 문화재청

관련사진보기

 

개구리가 우는 경칩, 봄이 오는 입춘에 비해 우수가 잘 알려지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시기가 입춘과 경칩 사이에 있다는 점, 정월대보름과 비슷한 날짜여서 상대적으로 눈에 띄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우수를 상징하는 동물 수달이 우리 일상에서 보기가 힘들어졌기 때문이 아닐까.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난 3월 한국조폐공사와 '한국의 천연기념물 시리즈 기념메달' 제4번째 천연기념물로 '수달'을 선정해 기념메달을 발매했었다. 기념메달 제작을 통해 천연기념물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문화재적 가치를 알리고자 하는 협업이었다.

관련 기념품을 제작해 문화재의 소중함을 알리고 관심을 모으는 것도 중요하다. 다만, 일시적인 주목이 아닌 자연문화재는 지속적으로 보호하고 꾸준하게 모니터링 해야 한다는 점에서 더 섬세한 문화재 보호법이 필요하다. 수달이 천연기념물이 아닌 우리의 주변에서 봄을 알리는 동물로서 함께 공존하는 날을 만들어 가야한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CPN문화재TV에도 실립니다.


태그:#수달, #우수, #천연기념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화유산 현장취재 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