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 어린이 감염률은 크게 낮다. 
2. 여성보다 남성 감염률이 2배 정도 높다.
3. 사스나 메르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전파력은 강하지만, 치사율은 현저하게 떨어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이하 신종 코로나) 사태가 중국 밖으로 알려진 지 한 달이 넘었다. 지금까지 드러난 신종 코로나의 의·과학적 특징은 대략 위와 같이 3가지로 정리가 가능하다.
  
전문가들은 어린이 감염률이 떨어지고, 여성 감염자가 적은 데 대해 "어린아이와 여성이 지닌 면역과 관련한 특성 때문에 신종 코로나에 상대적으로 강한 것 같다"고 주장한다. 의사나 과학자가 아니더라도 이는 충분히 생각해낼 수 있는 추정들이다.
   
코로나바이러스 모식도(왼쪽)와 단면도. 유전물질과 단백질(RNA and N protein)이 껍데기(Envelope)에 쌓여 있다. 껍데기 바깥쪽으로는 당단백질(Spike Glycoprotein)과 효소(Hemagglutinin-esterase dimer)가 자리한다. 사람 등 숙주의 세포막을 뚫는 역할은 당단백질과 효소가 맡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 모식도(왼쪽)와 단면도. 유전물질과 단백질(RNA and N protein)이 껍데기(Envelope)에 쌓여 있다. 껍데기 바깥쪽으로는 당단백질(Spike Glycoprotein)과 효소(Hemagglutinin-esterase dimer)가 자리한다. 사람 등 숙주의 세포막을 뚫는 역할은 당단백질과 효소가 맡고 있다.
ⓒ 위키미디어 커먼스

관련사진보기

   
신종 코로나의 강한 전파력과 사스, 메르스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치사율은 바이러스 확산 초기부터 윤곽이 드러난 현상이다. 신종 코로나 감염자는 시간이 지나 봐야 알겠지만, 10만 명을 넘길 수도 있다.

치사율은 처음에 3%, 시간이 지나면서 5% 또는 10% 수준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다. 하지만 현재 확진자 대비 치사율은 2%대이고, 증세가 없거나 심하지 않은 등의 이유로 병원이나 당국에 의해 포착되지 않은 감염자까지 고려하면 그보다 더 떨어질 수 있다는 예측도 있다.

2002~2003년 유행한 사스의 경우, 전 세계에서 8096명이 감염됐고, 774명이 목숨을 잃었다. 치사율은 9.4%였다. 2012년 발발한 메르스는 확진자 2499명 중 861명이 사망해 치사율 34.4%를 기록했다. 국내에서는 2015년 첫 메르스 확진환자가 발생했고, 총 186명의 확진환자 중 38명이 유명을 달리했다.

과학적 측면에서 눈길이 가는 것은 바이러스의 전파력과 치사율이 대체로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세부적으로는 다르지만 사스, 메르스, 신종 코로나 셋 다 계통상 한결같이 코로나바이러스였는데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

어린아이와 여성의 낮은 감염률, 치사율과 전파력의 반비례 등 3가지 현상을 한꺼번에 설명할 수는 없을까? 세상 모든 바이러스의 핵심적 특징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다름 아닌 숙주와 기생체의 관계이다.
  
사람과 같은 숙주 집단의 개체 수 좌우하는 것은 '여성'
 
코로나바이러스 전자현미경 사진. 주변이 왕관처럼 생겼다 해서 코로나바이러스라고 불린다. 코로나는 라틴어로 왕관이라는 의미이다.
 코로나바이러스 전자현미경 사진. 주변이 왕관처럼 생겼다 해서 코로나바이러스라고 불린다. 코로나는 라틴어로 왕관이라는 의미이다.
ⓒ 위키미디어 커먼스

관련사진보기

 
기생체인 바이러스는 오래도록 살아남으려면 숙주가 안정적이어야 한다. 쉽게 멸종되는 숙주거나 숙주 집단의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 수 있는 속성이 있다면, 기생체 관점에서는 '좋은' 숙주가 못 된다.
  
사람과 같은 숙주 집단의 개체 수를 좌우하는 것은 '여성'이다. 어떤 바이러스가 수컷보다는 암컷을 집중적으로 공격하게 된다면, 생명체의 탄생 그 자체를 차단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해당 숙주 집단의 개체 수는 그만큼 줄어들 확률이 높아진다. 바이러스로서는 미래의 숙주 숫자가 줄어든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어린아이의 낮은 감염률도 비슷한 맥락에서 추론해 볼 수 있다. 어린이는 잔여 기대수명이 클 수밖에 없다. 즉 두고두고 숙주로 삼을 수 있는데, 어린아이에게 치명적이라면 역시 바이러스로서는 스스로 숙주의 숫자를 줄임으로써 장래 증식의 기회를 줄이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물론 어린아이나 여성의 감염이 적은 것을 바이러스의 '심모원려'(깊이 고려하는 사고와 멀리까지 내다보는 생각)로만 풀이할 수는 없다. 사람과 같은 숙주 입장에서도 종족 집단의 보존을 위해서라면 여성과 어린아이를 우선 지킬 수 있도록 면역력이나 저항력을 강화하는 쪽으로 진화해왔을 가능성이 크다.
  
바꿔 말하면, 사람과 바이러스가 나름 '타협'했을 가능성이 매우 큰 것이다. 타협의 가능성을 의심할 수밖에 없는 건, 감염률과 치사율의 반비례 관계에서도 어림짐작할 수 있다.

감염률과 치사율이 둘 다 높다면, 인류는 바이러스에 의해 최후를 맞게 되는 경우도 예상해볼 수 있다. 이론상으로는 이런 종말적 사태가 얼마든지 가능한데, 이 경우 인류 감염에 최적화된 해당 바이러스 또한 절멸을 피하기 힘들다.

바이러스와 사람은 어쩌면 서로 '공생에 바탕을 둔 기생적' 관계일 수도 있다. 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한 학계의 기존 가설들을 살펴보면, 이런 심증이 전적으로 헛된 것만은 아니라는 걸 짐작할 수 있다.

바이러스와 사람, '공생에 바탕을 둔 기생적' 관계

바이러스 기원에 대해서는 대략 3가지 가설이 주류를 이룬다. 하나는 멀고 먼 옛날 거대한 세포에 기생하던 작은 세포가 더는 자신만의 유전물질 복제기능을 유지할 필요가 없어져, 바이러스로 변하게 됐다는 게 줄거리이다.

다른 가설은 어떤 생명체로부터 우연히 유전물질(DNA나 RNA)이 떨어져 나와 바이러스가 됐다고 설명한다. 또 다른 가설은 지구상에 바이러스와 세포가 비슷한 시기에 출현해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진화했다는 것이다.

인류가 조상 때부터 지금까지 최소 수백만 년 동안 절멸하지 않고 살아남은 건, '공생적 기생'의 힌트가 될 수 있다. 공생이란 서로에게 도움이 되거나, 최소한 한쪽에 이렇다 할 피해가 없어야 하므로, 기생이란 단어와는 충돌할 수 있다.

그런데도 수백만 혹은 수천만 년의 진화 경로를 고려할 때 '공생'의 여지를 전적으로 부인할 수는 없다. 예컨대 바이러스가 인간의 유전물질에 새로운 특성, 즉 외부 유전물질을 추가할 여지가 있는 탓이다.

인간이 미생물이나 바이러스처럼 짧은 시간에 유전적으로 변이를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장구한 세월을 거치다 보면 변화하는 환경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유전물질이 바이러스를 통해 인간 유전자에 삽입될 가능성은 열려 있다. 

바이러스에 의해 인체로 옮겨진 유전물질은 뜻밖의 상황을 만났을 때, 인간이 살아남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시간을 길게 잡고 들여다보면, 바이러스 인류의 생존에 기여하는 바가 있을 수 있다는 얘기이다. 

생물 진화라는 긴 시간표에서 보면, 이번 신종 코로나를 포함한 바이러스 감염의 세계를 '공생적 기생'이라는 틀로 볼 수도 있는 것이다. 허술할 수도 있는 추론이지만 전문가 아닌 시민의 관점에서는 해볼 만한 생각 아닐까?

태그:#코로나바이러스, #감염률, #치사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신축년 6학년에 진입. 그러나 정신 연령은 여전히 딱 열살 수준. 역마살을 주체할 수 없어 2006~2007년 북미에서 승차 유랑인 생활하기도. 농부이며 시골 복덕방 주인이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