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장면 국무총리
 장면 국무총리
ⓒ 국가기록원

관련사진보기

 
독실한 가톨릭 신자

장면은 1899년 8월 28일, 서울 종로구 적선동 외가에서 태어났다. 평양 출신의 아버지 장기빈과 어머니 황루시아 사이 3남 4녀 중 장남이었다. 어릴 때 이름은 '지태'였는데, 이후 '공부를 열심히 하라'는 뜻으로 본명은 면(勉)으로 지어줬다고 한다. 장면의 호는 '운석(雲石)'이다.

장면의 아버지는 인천 해관(요즘으로 치면 세관)에서 근무했다. 그래서 어린 시절 인천에서 성장했다. 어릴 때부터 부모를 따라 성당에 다녔다. 인천성당의 부설 박문학교 보통과, 고등과, 인천공립심상소학교를 수료한 다음 수원농림고등학교에 진학했다. 수원 농림 2학년 때인 1916년 6월, 서로 선도 보지 않고 김옥윤(17)과 결혼했다.

수원농림을 졸업한 뒤 미국으로 유학가고자 YMCA에서 영어공부를 했다. 1920년 한국천주교청년회 대표 자격으로 미국 유학을 떠났다. 뉴욕 맨해튼 가톨릭대학 영문학과에 진학해 부전공으로 교육학을 이수한 뒤 1925년에 졸업했다.

귀국길에 로마에서 열린 한국 순교자 시복식(諡福式, 죽은 뒤 복자품에 오르는 예식)에 한국천주교청년회 대표로 참석했다. 이때 교황 비오 11세를 알현하고, 가톨릭 수뇌부와 교류한 일은 훗날 그가 외교활동을 펼칠 때 큰 자산이 됐다. 

1925년 8월에 귀국한 장면은 이후 6년 동안 평양교구에서 봉직했다. 1931년 서울 동성상업학교 서무주임 겸 영어교사로 봉직하다가 1936년에 교장이 됐다. 이후 혜화유치원 원장, 계성소학교 교장 등, 서울 시내 가톨릭계 학교를 두루 도맡았다. 

1945년 해방 후 장면은 가톨릭계 대표로 입법의원이 됐고, 1948년 5.10 총선에 출마했다. 종로을구에서 무소속으로 입후보해 당선했다. 그해 정부 수립 후 장면은 파리에서 열린 제3차 유엔총회에서 수석대표로 참석해 대한민국 정부 승인을 받아냈다.

1949년 1월 5일, 장면은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주미대사로 임명됐다.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자 장 대사는 미국과 유엔에 도움을 청하고자 혼신을 다했다.

장면은 6월 25일(미국시각) 유엔 안보리에 참석해 북한은 즉각 38선 이북으로 철수할 것과 유엔 회원국은 북한에 대해 일체 원조치 않을 것을 결의케 했다. 6월 26일에는 재빨리 미 대통령 트루먼을 만나 미군의 파병을 요청하는 등 유엔의 한국전쟁 참전에 디딤돌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장면 주미대사(왼쪽)가 유엔안전보장이사회 Trygve Lie 사무총장(노르웨이)에게 한국전쟁 발발소식을 전하면서 도움을 청하고 있다(1950. 6. 25. 뉴욕타임지).
 장면 주미대사(왼쪽)가 유엔안전보장이사회 Trygve Lie 사무총장(노르웨이)에게 한국전쟁 발발소식을 전하면서 도움을 청하고 있다(1950. 6. 25. 뉴욕타임지).
ⓒ NARA

관련사진보기

   
민주당 최고위원 피선

이런 공로로 이승만 대통령은 장면을 제2대 국무총리로 임명했다. 장면이 국무총리로 재임하는 동안 이승만과 국회는 심한 갈등을 겪었다. 국민방위군 사건과 거창 양민 학살사건 등 때문이었다.

장 국무총리는 국회와 대통령 사이를 중재하는 역할을 충실히 했다. 그러자 장면은 국회의 신뢰를 얻었다. 이승만의 임기가 끝나는 대로 국회는 장면을 대통령으로 추대할 움직임이었다.

이를 직감한 이승만은 대통령 간선제 대신 직선제 개헌안을 발의했다. 하지만 국회는 이를 부결했다. 국회는 내각제 개헌안을 추진하면서 장면을 대통령으로 선출하려 했다. 이러한 정국에 이르자 장면은 이승만의 미움을 받아 1952년 4월에 국무총리직에서 사임했다.

이승만은 발췌개헌안을 통과시킨 후 직선으로 제2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그 무렵 장면은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 요양하면서 <경향신문> 고문으로 활동했다.

1955년 신익희 의원 주도로 민주당이 창당됐다. 재야의 장면은 창당 발기인으로 권유를 받아 곽상훈과 함께 민주당 신파의 지도자가 됐다. 1956년에는 조병옥, 곽상훈, 백남훈 등과 함께 민주당 최고위원으로 피선됐다.
 
제3대 정부통령 선거 벽보
 제3대 정부통령 선거 벽보
ⓒ 국가기록원

관련사진보기

 
그는 그해 5월 15일 정부통령 선거에서 신익희와 러닝메이트로 부통령에 출마했다. 선거 도중, 신익희 후보가 갑자기 사망해 정권교체를 이루지 못했다. 하지만 부통령에 당선하는 쾌거를 이뤘다. 

당시 부통령은 헌법상 참의원 의장과 헌법위원회 위원장, 탄핵재판소 재판장 등 3개 국가기관의 장을 겸한 자리였다. 하지만 부통령에 장면이 당선되자 많은 제약을 받았다. 먼저 이승만으로부터 견제였다.

이승만은 장면이 참의원 의장이 되는 것을 막고자 아예 참의원 선거를 실시하지 않았다. 그뿐 아니라 정·부통령이 취임하는 자리에서도 장면을 소개하지 않는 등 공식 석상에도 좌석을 마련치 않는 일도 일어났다. 이승만 대통령 아래 장면은 이름만 부통령이었지 늘 감시받는 인물이었다. 
 
진해 해군사관학교에서 사관생도 사열 후 치사하는 이승만 대통령(1951. 6. 25. 왼쪽 장면 총리, 오른쪽 프란체스카 부인, 무초 주한 미 대사, 스미스 장군, 신성모 국방장관).
 진해 해군사관학교에서 사관생도 사열 후 치사하는 이승만 대통령(1951. 6. 25. 왼쪽 장면 총리, 오른쪽 프란체스카 부인, 무초 주한 미 대사, 스미스 장군, 신성모 국방장관).
ⓒ NARA

관련사진보기

 
저격사건

1956년 9월 29일 서울 명동 시공관에서 민주당 전당대회가 열렸다. 장면 부통령은 암살 기도 정보를 듣고 당초에는 대회장에 나가지 않으려고 했다. 하지만 전당대회에 참석한 당원들의 요구는 거셌다.
 
"우리 손으로 뽑은 우리 당 부통령의 얼굴이라도 보자."
 
장 부통령은 그 요구를 끝내 외면할 수 없어 뒤늦게 참석했다. 그날 오후 2시 30분 쯤 대회 막바지에 장면은 격려연설을 마치고 퇴장하다가 총격을 당했다. 다행히 총알은 장면의 왼손을 관통하고 지나가는데 그쳤다. 범인 김상봉 일당은 장면을 저격하면서 "조병옥 만세!"라고 외치는 등, 민주당 내부 소행으로 돌리려는 치졸한 행동을 보였다.

당시 세간에는 김종원 치안국장과 이익흥 내무부장관이 그 배후이며, 그 뒤에는 이기붕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떠돌았다. 하지만 범인은 그에게 총을 준비해 준 이덕신(성동경창서 사찰주임)과 그 두 사람 사이를 연결해준 최훈 등 세 사람으로 한정됐다.

대법원이 이들 3인에게 사형 선고를 내렸다. 그러자 장면은 1957년 11월 2일 이승만 대통령에게 관대한 처분을 내려달라는 편지를 보냈다. 이후 장면은 제2공화국 총리가 된 다음에도 이들을 감형하는 선에서 사건을 마무리지었다.

그는 1960년 3월 15일에 실시되는 정·부통령 선거에서도 민주당 부통령 후보로 지명을 받아 출마했다. 하지만 이번에도 선거 기간 중 조병옥 대통령 후보가 사망했다. 자유당은 이번 선거에서만은 꼭 이기붕 후보를 당선시키고자 온갖 부정선거를 저질렀다. 무리한 3.15 정부통령 선거 결과 장면은 무려 700만 표 차이로 패배했다.

하지만 3.15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시민들의 시위 확산은 4.19 혁명으로 이어졌다. 장면은 4.19 혁명의 열기가 고조되는 1960년 4월 23일 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그의 사퇴는 이승만의 하야를 촉진하는 배수진이었다. 그해 4월 26일, 장면의 예상대로 이승만은 대통령직에서 하야했다.

1952년 <런던타임스> 한 기자는 "한국에서 민주주의를 바라는 것은 쓰레기통에서 장미꽃을 구하는 것과 같다"라고 평가했다. 그로부터 8년이 지난 뒤 한국인들은 그 쓰레기통에서 장미꽃을 피워냈다. 바로 4.19 민주혁명 덕분으로 한국은 마침내 민주주의 국가 반열에 오를 수 있었다.

 (*다음 회에 계속)

덧붙이는 글 | * 이 기사는 이용원 지음 <제2공화국과 장면> / 강준식 지음 <대한민국의 대통령들> / 등을 참고하여 썼습니다.


태그:#국무총리, #장면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사 은퇴 후 강원 산골에서 지내고 있다. 저서; 소설<허형식 장군><전쟁과 사랑> <용서>. 산문 <항일유적답사기><영웅 안중근>, <대한민국 대통령> 사진집<지울 수 없는 이미지><한국전쟁 Ⅱ><일제강점기><개화기와 대한제국><미군정3년사>, 어린이도서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청년 안중근> 등.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