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해병대사령부 홈페이지

관련사진보기


지난 11월 26일 경북 포항 해병대 교육훈련단에 개관된 '김두찬관'에 대해 4.3 유족 등이 반발하는 등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4.3사건에 대한 해병대의 역사관 자체에 대해서도 반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논란의 당사자인 김두찬 전 해병대사령관은 제주 주둔 해병대 정모참모로 근무중이던 1950년 8월 30일 당시 '예비구속 중인 D급 및 C급에서 총살 미집행자에 대해서는 총살집행 후 그 결과를 9월6일까지 육군본부 정보국 제주지구CIC 대장에게 보고하도록 이에 의뢰함'이라는 공문을 성산포경찰서에 발송하였다.

그러나 당시 성산포경찰서장이었던 문형순 전 서장은 해당 공문에 대해 "부당(不當)하므로 불이행(不履行)"이라며 총살 명령을 거부하고, 성산포경찰서에 구금돼 있던 예비검속자 221명을 풀어줬다.

문형순 전 서장과 같은 총살명령 불이행 사례에도 불구하고, 제주도에서는 약 1천 명 정도의 예비검속자들이 해병대사령부 주도로 총살 후 암매장되거나 수장되었다.

이와 같이 해병대가 4.3사건 당시 자행된 민간인 학살에 연루된 사실이 명백함에도 불구하고, 해병대사령부 측은 여전히 제주도에 계엄군으로 주둔하던 시기를 자랑스러운 역사로 선전하고 있다.

해병대측이 자체적으로 자군의 역사를 소개하는 해병대 홈페이지 '해병대 70년사' 항목에서는 해병대의 '제주도 주둔' 시기의 행적에 대해 "선무공작과 민심수습으로 의료 및 진료, 시설 복구, 농번기 대민 지원, 주민 계몽활동을 실시하여 물심양면으로 피폐한 30만 도민에게 재기의 힘을 돋우는 한편 생활면에서 안정을 되찾도록 인도하였다"라며 당시 제주도민과의 유대감을 강조했다.

해병대측은 이어 "육군 제9연대와 제2연대, 철도경찰대, 서북청년단 등이 토벌하지 못한 한라산 공비를 소탕할 수 있었다"고 소개하고 있다. 상술된 예비검속 학살 등 제주도 주둔 시기의 과오를 반성하는 내용은 찾아볼 수 없다.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내 전우회관에서 열린 해병대 예비역원로 신년교례회에 참석한 역대 해병대사령관 및 해병대 출신 주요 인사들. 왼쪽부터 최동철 KBS 심의의원, 김기춘 국회의원, 김대식(3대), 전도봉 현 해병대 사령관, 김두찬(5대), 공정식(6대) 전 해병대 사령관. 1997.2.4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내 전우회관에서 열린 해병대 예비역원로 신년교례회에 참석한 역대 해병대사령관 및 해병대 출신 주요 인사들. 왼쪽부터 최동철 KBS 심의의원, 김기춘 국회의원, 김대식(3대), 전도봉 현 해병대 사령관, 김두찬(5대), 공정식(6대) 전 해병대 사령관. 1997.2.4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제주일보>에 따르면 이승도 해병대 사령관은 18일 "제주4·3으로 인한 제주도민들의 희생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하고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 사령관은 해병대 교육센터의 '김두찬관' 명명에 대해 "고 김두찬 장군과 4·3관련 부분은 몰랐다"라며 "관련자료들을 검토해 그 명칭이 적절한지 다시 판단하겠다"고 약속했다.

한 해병대 관계자는 기자와 한 통화에서 "해병대 역사교육에서는 기본적으로, '민에게는 양이 되고 적에게는 사자가 되자'는 창군기 정신이 강조된다"며 "해병대가 제주도 주둔 시기에 제주도민들로부터 민심을 얻었기에 한국전쟁기에 제주도민들이 앞다투어 해병대에 지원하게 되었다는 교육만 받았을 뿐, 어두운 역사에 대해서는 전혀 들어보지 못했다. 김두찬관 논란 이전에는 해병대가 민간인 학살 등 과오에 연루되어있을 것이라고 생각조차 못했다"고 말했다.

#해병대 #김두찬관 #4.3사건 #예비검속


태그:#모이, #4, #예비검속, #해병대, #김두찬관
댓글6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진영논리에 함몰된 사측에 실망하여 오마이뉴스 공간에서는 절필합니다. 그동안 부족한 글 사랑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