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해병대 공식 페이스북

관련사진보기


지난 11월 26일 경북 포항 해병대 교육훈련단에 개관된 '김두찬관'에 대해 4.3 유족 등이 반발하고 있지만 해병대사령부 측에서는 여전히 입장을 내놓지 않아 파장이 예상된다.

13일 4.3기념사업회 측은 해병대의 김두찬관 개관에 대해 "4·3특별법의 정신을 망각하고 왜곡하는 행위이며, 4·3특별법에 따라 작성된 제주4·3사건 진상보고서의 내용마저 외면하는 처사"라고 비판하며 국방부와 해병대사령부에게 "'김두찬관' 명명을 즉각 취소하고 4·3유족들에게 공식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

17일에는 제주4.3평화재단 역시 성명을 내고 김두찬 전 사령관을 "모슬포 섯알오름 예비검속자 집단총살과 서귀포시 지역 예비검속자 집단학살 사건의 실질적인 집행 책임자"로 지적하며 '김두찬관'이라고 명명된 해병대 교육훈련단 복합교육센터의 명칭을 수정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해병대사령부측은 이와 같은 4.3관련 단체들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별다른 공식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한 해병대 관계자는 "아직 사령부 차원에서 준비된 입장은 없는 것으로 안다"며 선을 그었다.

한편, 논란의 당사자인 김두찬 전 해병대사령관은 제주 주둔 해병대 정모참모로 근무중이던 1950년 8월 30일 당시 '예비구속 중인 D급 및 C급에서 총살 미집행자에 대해서는 총살집행 후 그 결과를 9월6일까지 육군본부 정보국 제주지구CIC 대장에게 보고하도록 이에 의뢰함'이라는 공문을 성산포경찰서에 발송하였다.

그러나 당시 성산포경찰서장이었던 문형순 전 서장은 해당 공문에 대해 "부당(不當)하므로 불이행(不履行)"이라며 총살 명령을 거부하고, 성산포경찰서에 구금돼 있던 예비검속자 221명을 풀어줬다.

문형순 전 서장과 같은 총살명령 불이행 사례에도 불구하고, 제주도에서는 약 1천 명 정도의 예비검속자들이 해병대사령부 주도로 총살 후 암매장되거나 수장되었다.

4.3사건 당시 예비검속 학살에 연루된 해당인물을 기념하는 신축 건물이 해병대 교육훈련단에 들어서자 4.3사건 유족과 제주도민을 중심으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태그:#모이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진영논리에 함몰된 사측에 실망하여 오마이뉴스 공간에서는 절필합니다. 그동안 부족한 글 사랑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