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9 경력단절여성 현황.
 2019 경력단절여성 현황.
ⓒ 통계청

관련사진보기


우리나라 기혼 여성 5명 중 1명은 결혼·출산·육아 등으로 일을 포기한 경력단절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중은 지난해보다 감소해 처음으로 20% 아래로 떨어졌다.

26일 통계청이 2019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결과를 이용해 경력단절여성 현황을 집계한 결과, 올해 4월 기준으로 기혼여성(15세~54세) 중 결혼·임신·출산·육아 등의 이유로 직장을 그만 둔 경력단절여성은 169만 9000명으로 조사됐다. 전체 기혼여성 884만 4000명의 19.2%에 해당하는 규모다.

기혼여성 중 현재 일을 하고 있지 않은 비취업여성은 336만6000명으로 이들 가운데 절반 가량이 경력 단절을 겪고 있는 셈이다.

다만 이번 조사에서 경력단절여성 수는 지난해 보다 14만8000명(-8.0%) 줄어 전체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중도 1.3%포인트 낮아졌다.

경력단절여성 비중은 통계를 처음 집계하기 시작한 2014년 22.2%였다가 2015년 21.7%, 2016년 20.5%, 2017년 20.0%로 계속 감소했다. 2018년에는 20.5%로 반등했다가 올해 처음으로 20% 아래로 떨어졌다.

30대 기혼여성 3명 중 1명은 경력단절... 자녀수 많을 수록 심각

하지만 30대 여성의 경력단절은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30대(30~39세) 기혼여성(260만1000명) 중 경력단절여성 수는 80만6000명(31.0%)에 달했다. 이는 전체 경력단절여성의 47.4%로 절반에 가까운 규모다. 특히 현재 일을 하지 않고 있는 30대 여성 10명 중 7명이 경력단절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이 직장을 그만 둔 이유는 육아(38.2%)가 가장 많았고 결혼(30.7%), 임신·출산(22.6%), 가족 돌봄(4.4%), 자녀교육(4.1%)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비교해보면 육아로 경력단절을 겪은 여성은 4.8%(3만명) 늘어난 반면, 결혼(-17.7%, -11만2000명), 임신·출산(-13.6%, -6만명), 가족 돌봄(-4.7%, -4000명), 자녀교육(-2.7%, -2000명)으로 인한 경력단절은 줄어들었다.

통계청은 일·가정 양립 정책 시행으로 출산휴가 등이 확대되면서 임신·출산으로 퇴사하기 보다는 휴직 등을 통해 고용을 유지하는 여성 수가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육아의 경우 단기간에 끝나지 않는 특성상 대안 부재로 일을 포기하는 여성들이 상대적으로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경력단절기간은 5~10년 미만(24.6%)이 가장 많았고, 10~20년 미만(23.7%), 3~5년 미만(15.6%), 1~3년 미만(15.6%), 1년 미만(12.0%), 20년 이상(8.4%) 순이었다.

특히 경력단절은 자녀 수 및 연령과 관련도가 높았다. 18세 미만의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의 경우 27.9%가 경력단절여성인 반면 자녀가 없는 여성의 경우엔 경력단절 비중이 8.1%였다. 또 경력단절 비율은 18세 미만 자녀가 1명인 경우 25.3%, 2명인 경우 29.6%, 3명인 경우 33.7%로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태그:#경력단절, #통계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