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우리 사회의 환경문제를 '환경정의'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환경이용의 혜택과 피해를 보는 사람이 다른 '환경 불평등'을 마주하게 된다. 누군가에게는 경제적 이익과 편리함을 가져다주지만,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환경피해를 끼치는 환경 불평등 사례는 우리 사회 곳곳에서 비일비재하다. 잘 알려지지 않은 지역일수록 환경 불평등 사례는 더욱 만연하게 나타난다.  
 
공장에서 방출되는 석회 오염수가 흐르고 있다.
▲ 사진1 공장에서 방출되는 석회 오염수가 흐르고 있다.
ⓒ 환경정의

관련사진보기

 
머리가 복잡하고 쉬고 싶을 때 도심을 벗어나 자연에서 휴식을 하고 싶어진다. 도심을 벗어날수록 맑은 공기와 물 등 깨끗한 자연을 누릴 수 있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지역에서 재배되는 제철 음식을 먹으며 며칠 보내고 나면 건강해질 것만 같다.

그러나 '환경부정의' 사례 답사가 진행될수록 지역에서는 아름다운 자연환경이 반겨 줄 것이라는 기대가 사라져간다. 환경정의는 지역의 숨은 환경부정의 사례 조사를 위해 이번에는 '충북 제천시의 두학동'으로 향했다.

제천은 서울, 경기 수도권과의 교통이 비교적 편리하게 구축되어 있다. 그래서 주변 지역에서 드라이브하러 찾기도 하고 낚시꾼들이 낚시하러 오기도 한다. 환경정의가 찾아간 두학동에도 '장치미못'이라는 연못이 있다. 이곳을 낚시터로 삼는 사람들의 블로그 글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에 물고기를 잡기 어렵다는 글도 보였다. 바로 연못 근처 시멘트 제조업에서 흘러나온 석회 오염수로 인해 수질이 나빠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오염되어가는 장치미못
▲ 사진2 오염되어가는 장치미못
ⓒ 환경정의

관련사진보기

  
환경정의는 사실 확인을 위해 '장치미못'에 먼저 찾아가 보았다. '장치미못'은 듣던 대로 탁한 연못이었다. 석회질로 인한 백화현상이 진행되고 있었다. 연못을 살펴보는 사이 대형 덤프트럭 수십 대가 마을을 지나갔다. 주택가 좁은 도로를 따라 석회석을 실은 대형 화물차들이 꼬리를 물고 이동하고 있었다. 한 화물차를 따라가 보았다. 
  
이동하는 운송 트럭을 따라가보았다.
▲ 사진3 이동하는 운송 트럭을 따라가보았다.
ⓒ 환경정의

관련사진보기

  
얼마 가지 않아 석회광산 업체가 나타났다. 길가에는 오고 가는 트럭과 차량을 씻어내기 위한 물뿌리개가 있었다. 하지만 씻긴 석회오염물은 길을 따라 마을로, 호수로 흘러갔다. 차량 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석회가루와 석회 오염수가 끊임없이 마을로 흘러내려 갔다. 오염수가 흐르는 길에 자체 정화시설이 있었지만, 노천 정화시설을 거치고도 오염수의 수질을 개선이 없어 보였다. 공장 근처 석회 자재들도 덮개도 없이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었다.
  
덮개없이 노출된 석회재료
▲ 사진4 덮개없이 노출된 석회재료
ⓒ 환경정의

관련사진보기

  
길가 식물 잎사귀에도 석회가루가 수북하게 쌓여있었다. 이런 상황이라면 주민들이 빨래를 널거나, 물을 마시거나 하는 일상생활에도 큰 지장이 있을 것으로 보였다. 석회 분진이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유입되면, 호흡기 질환이 발생한다. 삼켰을 때는 소화기관에 악영향을 미치며 눈에 들어가면 눈이 충혈되고 따갑다. 또한 석회가루 성분인 탄산칼슘은 물에 잘 녹지 않지만 용해된 물을 마시게 되면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 정수되지 않은 생 석회수를 장기간에 걸쳐 마시게 되면 발목 부위부터 석회 성분이 퇴적되어 굳어 버리기도 한다.

환경부는 지난 2011년 제천시 등의 석회광산, 시멘트공장 인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건강조사를 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석회 광산이나 시멘트 공장 등 분진에 노출되는 직업을 가진 적이 없었음에도 진폐증에 걸린 주민이 8명이 나왔다. 또한 만성폐쇄성 질환도 주민의 13%에게서 발견되었다.
  
석회가루로 색이 변한 잎사귀
▲ 사진5 석회가루로 색이 변한 잎사귀
ⓒ 환경정의

관련사진보기

 
두학동 주민들은 2017~2018년 몇 차례 문제를 제기했다. 주민들은 섭취하는 마을 지하수도 석회로 오염되고 있어 건강피해를 보고 있다고 했다. 또한 좁은 마을길로 하루 평균 140대의 차량이 이동하여 사고의 위험뿐 아니라 석회가루로 인해 생활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고 한다. 제천 두학동에는 총 4곳의 석회 광산 및 시멘트 업체가 있는데 그중 3곳이 영업 중이고 마을, 초등학교와의 거리는 불과 500m 내외이다. 공사장에서 멀지 않은 곳에 석회 업체뿐만 아니라 아스콘 업체도 있었다. 마을 주거지와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인데 어떻게 허가를 받은 것인지 의문이었다. 주민피해가 없는 것이 이상할 정도의 주거환경이었다.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간에 상하수도 보급률과 요금 등 공공서비스 불평등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편의 시설과 환경적 혜택은 도시지역에 있고 그로 인한 오염의 피해는 지역의 주민들이 떠안게 되는 경우가 많다. 산업시설로 인한 환경파괴와 주민 건강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초기 산업시설 입지 형성 계획에서 주거환경을 충분히 고려한 허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값싼 입지 비용을 우선순위로 하는 산업시설을 막무가내로 허가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그 지역 자연환경과 주민들의 몫이 될 것이다. 

우리 사회 지역의 주민들은 환경피해를 받고 있다. 누군가가 편리한 만큼 누군가는 그 피해를 고스란히 받고 있다는 사실을 항상 인지하고 불평등해소를 위한 방법의 고민이 필요하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환경정의 홈페이지 및 블로그에도 기고됩니다.


태그:#환경정의, #환경부정의, #환경불평등, #제천시, #두학동
댓글

노인과 여성, 어린이, 저소득층 및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나타나는 환경불평등문제를 다룹니다. 더불어 국가간 인종간 환경불평등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정의(justice)의 시각에서 환경문제를 다룹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