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85억'. 김환기 작가 작품이 기록한 한국 미술품 최고 경매 가격입니다. '868만원'. 한국의 미술 작가들이 1년 동안 작품 활동을 통해 얻는 평균 수입입니다. 극과 극의 양면이 공존하는 한국 미술계를 '미술톡(talk)'으로 들여다봅니다.[편집자말]
 한국화가 김선태 작가 인터뷰(관련 기사 : '건담' 그리는 한국화가가 '존버' 하는 이유 http://omn.kr/1ldvz)에 다 싣지 못한 그의 작품과 이야기들을 여기에 풀어놓는다. 지난 14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작업실에서 <오마이뉴스>와 만난 그는 곳곳에 놓인 작품들을 하나하나 설명했다. 그의 작품들을 시기와 주제를 고려해 묶었다.

[2005년, '한국화의 위기'라는 강박]
 
김선태 작가의 작품 '취한 아저씨 2005'
 김선태 작가의 작품 "취한 아저씨 2005"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술마시는 아저씨 2005'
 김선태 작가의 작품 "술마시는 아저씨 2005"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지난밤 2005'.
 김선태 작가의 작품 "지난밤 2005".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무감각한 풍경 2005'
 김선태 작가의 작품 "무감각한 풍경 2005"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복권방 2005'
 김선태 작가의 작품 "복권방 2005"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모두 2005년도 작품들이다. 96학번인 김 작가는 대학 시절부터 '한국화의 위기'라는 말을 자주 들었다고 했다. 사진·영상·설치 등 현대 미술과 서양 미술의 확장에 따라 한국화의 미래는 늘 위협받고 있었다. 그는 "젊은 시절 한국화가 위기라는 말을 들을 때마다 뭔가 새로운 걸 보여줘야 한다는 강박에 갇혔던 것 같다. 사진과 수묵화, 판화 기법 등을 섞는 시도를 많이 했었다"고 회상했다. 그때에 비해 지금 그는 보다 본질적인 한국화 본연의 재료와 물성(물질이 갖고 있는 성질)에 집중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 작품들은 IMF 이후 갑자기 생겨난 거리의 노숙자들을 찍은 사진을 OHP 필름에 프린트한 뒤 판화 판처럼 만들어 장지 위에 찍어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에서의 방황, 그리고 인물화]
 
김선태 작가의 작품 'My World 2010 No.1'
 김선태 작가의 작품 "My World 2010 No.1"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Rest 2015'.
 김선태 작가의 작품 "Rest 2015".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comfortable place 2011 No.1'
 김선태 작가의 작품 "comfortable place 2011 No.1"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Comfortable Place 2009 No.2'
 김선태 작가의 작품 "Comfortable Place 2009 No.2"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Comfortable Place 2009 No.3'
 김선태 작가의 작품 "Comfortable Place 2009 No.3"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너와 나의 거리 2010'.
 김선태 작가의 작품 "너와 나의 거리 2010".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2007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난 그의 시선을 사로잡은 것은 지하철 속 샐러리맨들의 얼굴이었다. 김 작가는 "그들의 무거운 피로와 불행, 고독이 보였다. 기린 맥주를 마시며 담소를 나누는 (일본) 노숙자들 얼굴과 대비됐다"고 말했다.

그는 닥종이 위에 은박을 붙이고 그 위에 유황을 묻힌 대나무 촉대로 그림을 그린다. 은은 유황에 반응하고 산화되면서 변색된다. 석채(색이 있는 천연의 광석을 빻아서 만든 돌가루)와 은박, 금분(금가루)을 사용해 색을 칠한다. 최근엔 전통 재료인 옻을 사용해 마감칠을 한다고 했다. 그는 "옻은 굉장히 센 물성을 지녔는데, 특유의 빛을 발한다. 서양화에선 볼 수 없는 효과"라고 했다. 그는 옻칠 된 그림을 말리기 위한 건조대도 작업실에 직접 만들었다. 그는 "옻은 20~25도의 온도, 습도 70%의 환경에서 잘 마른다"고 설명했다.
 
김선태 작가가 옻칠을 한 작품들을 말리는 공간을 직접 소개하고 있다.
 김선태 작가가 옻칠을 한 작품들을 말리는 공간을 직접 소개하고 있다.
ⓒ 김성욱

관련사진보기

 
한국화가 김선태 작가가 지난 14일 경기도 용인의 작업실에서 <오마이뉴스>와 인터뷰하고 있다.
 한국화가 김선태 작가가 지난 14일 경기도 용인의 작업실에서 <오마이뉴스>와 인터뷰하고 있다.
ⓒ 김성욱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outing 2009'
 김선태 작가의 작품 "outing 2009"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동일본 대지진과 세월호의 트라우마, 그리고 건담]

김 작가는 도쿄에서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을 겪었다. 당시 임신 중이던 아내부터 급히 한국에 보낸 뒤 자신도 일본 생활을 접고 귀국했다. 하루에도 수십번씩 흔들리던 땅, 터져 버린 후쿠시마 원전, 2만 명에 달하는 사망자... 트라우마에 허우적대던 그가 떠올린 것이 일본의 대표 로봇 건담이었다. 건담이 거대한 파도를 몸으로 막아서거나 바주카포를 쏘고 칼로 벤다. 그는 "건담을 소환해 거대한 비극을 막아보고 싶다는 무의식이 있었던 것 같다"고 했다.
 
김선태 작가의 작품 'The Guardians 2013 No.8'
 김선태 작가의 작품 "The Guardians 2013 No.8"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The Guardians 2013 No.5'
 김선태 작가의 작품 "The Guardians 2013 No.5"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The Guardians 2013 No.3'
 김선태 작가의 작품 "The Guardians 2013 No.3"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The Guardians 2013 No.2'
 김선태 작가의 작품 "The Guardians 2013 No.2"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2014년, 그는 한국에서 또 하나의 비극 세월호를 겪었다. "온 국민이 실시간 생중계를 통해 아이들의 죽음을 지켜봐야 했잖아요." 동일본 대지진 이후 무기력한 수호자의 얼굴로 작품에 등장한 건담은 바다의 수호신 용으로 변주됐다. 이른바 '수호자(The Guardians)' 시리즈다. 전남 보길도 출신으로 마을 어른들이 용왕제 지내는 모습을 어렸을 때부터 봐온 그는 용이란 소재가 친숙하다고 했다.  
 
김선태 작가의 작품 'Poseidon 2014 No.5'
 김선태 작가의 작품 "Poseidon 2014 No.5"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Poseidon 2015-7'
 김선태 작가의 작품 "Poseidon 2015-7"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The Guardians 2015 No.5'
 김선태 작가의 작품 "The Guardians 2015 No.5"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동일본 대지진과 세월호를 연거푸 겪고 괴로워하던 작가의 풍경화들도 혼돈과 불안의 연속이었다. '불안정한 풍경들(Unstable Landscape)' 연작이 이어졌다.
  
김선태 작가의 작품 'Chaos 2013'
 김선태 작가의 작품 "Chaos 2013"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Unstable Landscape 2014'
 김선태 작가의 작품 "Unstable Landscape 2014"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unstable landscape 2014-11'
 김선태 작가의 작품 "unstable landscape 2014-11"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Unstable Landscape 2014'
 김선태 작가의 작품 "Unstable Landscape 2014"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Confusion 2014'
 김선태 작가의 작품 "Confusion 2014"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
                                     
어두운 그림을 그리는 동안 그도 아팠다고 했다. 쭈그리고 앉아 장시간 그림을 그리는 탓에 무릎 관절이 나빠져 한동안 스스로 일어서지도 못했다. 손가락 관절도 자유롭지 않다고 했다.

그리고 여기, 이전과는 사뭇 다른 색의 풍경들이 펼쳐진다. 그는 스스로 "아직 매일 성장하는 게 눈에 보이고, 있을지 모르는 완성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했다.

"용과 건담으로 작품을 풀어내면서 트라우마가 어느 정도 풀어질 수 있었어요. 근데 한편으론 슬픔을 너무 직접적으로 얘기하다 보니 제 스스로가 너무 힘든 거예요. 마음도, 몸도 안 좋아졌죠. 문득 그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나도 좀 행복해지고 싶다. 그래도 희망은 있지 않을까? 작가는 작품과 함께 가는 거니까, 일부러 좀 더 밝게 색을 쓰기 시작했어요. 에메랄드색, 루비색... 산책도 시작하고, 주변을 보게 됐어요. 여기 사무실 주변에 폐가나 나무들이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더라고요. 버려지고 초라하지만 여전히 남아 있는 것들... 저도 희망은 잃지 말아야죠. 그림을 계속 그릴 겁니다."
 
김선태 작가의 작품 '나무가 사는 집 2014'
 김선태 작가의 작품 "나무가 사는 집 2014"
ⓒ 김선태

관련사진보기

 
김선태 작가의 작품 '금빛나무가 있는 풍경 2018'
 김선태 작가의 작품 "금빛나무가 있는 풍경 2018"
ⓒ 김성욱

관련사진보기

                            
  

태그:#김선태, #한국화, #미술톡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