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구인회에서 활동하던 작가 이상과 구보 박태원, 두 사람이 함께 찍은 사진에서 모티브를 얻은 작가 김재희는 이들을 신 문화와 옛 것이 공존하는 100년 전 경성을 활보하는 셜록과 왓슨으로 설정해, <경성 탐정>이라는 추리 소설 시리즈로 소환했다.

이상과 박태원이 활보하던 경성에는 재즈 음악이 흐르는 다방이 있고, 영화관이 성황을 이뤘다. 거리에는 양복점, 양장점이 자리하고 인력거와 전차가 오가는 경성 거리. 그곳엔 빠질 수 없는 당대 인기 메뉴가 있었다. 바로 자전거를 타고 거리를 누비는 배달꾼들의 냉면과 설렁탕. 찬 냉면과 따뜻한 설렁탕은 경성의 음식 문화를 상징하는 두 가지 대표 음식으로 당시 시대 배경을 그린 소설 속에서도 빠지지 않는다.

일제강점기로 규정된 그 시절의 생활상에 대해 우리는 자세히 알 기회가 없었다. 이에 MBC 교양 프로그램 < MBC 스페셜 >은 개그맨 이승윤과 김지민을 내세운 '경성 음식 야사' 2부작을 준비했다.

100년 전 경성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그저 음식이 아니라 그 음식들 속에 스며든 '식민지의 역사', 음식을 통해 살펴본 그 시절 살아가는 이야기다.
 
"아, 이 반가운 것은 무엇인가.
이 히수무레하고 부드럽고 수수하고 슴슴한 것은 무엇인가.
겨울밤 찡하니 닉은 동티미국을 좋아하고 얼얼한 댕추가루를 좋아하고 싱싱한 산꿩의 고기를 좋아하고
그리고 담배 내음새 탄수 내음새 또 수육을 삶는 육수국 내음새 자욱한 더북한 삿방 쩔쩔 끓는 아르궅을 좋아하는 이것은 무엇인가.
이 조용한 마을과 이 마을의 으젓한 사람들과 살틀하니 친한 것은 무엇인가.
이 그지없이 고담(枯淡)하고 소박한 것은 무엇인가."
- 백석, '국수' 중에서.


경성 거리의 냉면 배달
 
 < MBC 스페셜 > '경성 음식 야사' 2부작의 한 장면

< MBC 스페셜 > '경성 음식 야사' 2부작의 한 장면 ⓒ MBC

 
시작은 요즘 젊은이들도 새삼 그 맛에 반해 맛집 순례를 한다는 음식, 냉면이다. 동북아시아 3국 중에 찬 국수를 즐겨 먹는 사람들은 우리나라뿐이라고 한다. 냉면이 없었던 중국인들이 우리나라에서 장사를 하기 위해 '중국 냉면'까지 만들었을 정도라고 하니, 우리나라 사람들의 냉면 사랑을 알 수 있을 법 하다. 추운 겨울 얼음이 서걱서걱 씹히는 동치미 국물을 끼얹어 먹던 냉면이 경성의 인기 음식이 된 건 새삼스럽지 않다. 1920년대 근대적 제빙 공장이 들어서면서 얼음의 공급이 자유로워지면서 냉면은 인기를 더해갔다.

그런데 당시에는 인기를 넘어 주요 배달음식이기도 했다. 자전거에 육수 주전자를 달고 한 손으로 냉면 그릇을 얹은 판을 짊어진 냉면 배달꾼이 경성 곳곳을 누볐다. 심지어 한 번에 얼마나 배달을 할 수 있나 내기를 하다보니 한 번에 80그릇까지 배달을 하는 진풍경이 벌어졌다고 한다. 또한 당시 위생 상태가 엉망이었던 식당 환경으로 인해 식중독 사망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냉면의 인기는 식을 줄 몰랐다.

이런 냉면의 인기를 더한 건 화학조미료 '아지노모도'였다. 사람들은 맛없는 냉면도 맛있게 만드는 아지노모도에 열광했고 비싼 조미료를 쓰지 말자는 식당들의 결의는 무색해지기 십상이었다. 새로운 맛, 우리의 입맛을 현혹시킨 근대적인 맛이었던 셈이다.

설렁탕이 원래 소머리국밥?
 
 < MBC 스페셜 > '경성 음식 야사' 2부작의 한 장면

< MBC 스페셜 > '경성 음식 야사' 2부작의 한 장면 ⓒ MBC

 
냉면의 인기에 물러서지 않는 메뉴가 있었으니, 바로 설렁탕이다. 지금이야 설렁탕이라면 소고기 사태 등을 끓여서 만든 음식이라 생각하지만, 당시 설렁탕은 소머리뼈에 각종 부산물로 끓인 탕국이었다. 즉 오늘날 우리가 소머리국밥이라고 먹는 메뉴가 당시엔 설렁탕이었던 것.

왜 설렁탕이 인기를 끌게 되었을까. 거기엔 제국주의 시스템이 숨겨져 있다. 1930년대 전쟁에 나선 일본은 일본군의 식량 조달을 위해 소를 도축해 통조림을 만들었다. 군용식량 제작에 쓰이고 남은 부산물들인 뼈, 피, 다리, 머리 등이 시장으로 나와 설렁탕 등의 주 메뉴로 사용되게 되었다는 것이다.

1920년대 경성에 무려 100곳이 넘는 설렁탕집이 있었다고 한다. 매일 아침 땔감 팔기 위해 경성을 찾은 나무 장수들을 비롯한 노동자들이 즐겨찾던 곳이었다. 소의 부산물로 만든, 혐오 음식이란 편견 덕분에 처음에는 높은 신분의 양반들은 꺼려하기도 했다고. 그러나 달달한 깍두기를 더한 설렁탕의 짙은 풍미는 곧 경성 사람 모두가 사랑하는 대표적 음식으로 자리매김하게 만들었다.

그러고 보니 현진건의 <운수좋은 날>에서 인력거꾼 김첨지가 샀던 음식도 설렁탕이었다. 마치 과거 미군 부대 앞에서는 각종 햄과 부순물을 넣은 부대찌개 집이 융성했듯이, 설렁탕에도 식민지 시절의 흔적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서서 먹어 선술집?

설렁탕 못지 않은 경성의 '핫플레이스'가 바로 선술집이었다. 가난한 노동자들이 즐겨 찾던 그곳은 비록 서서 먹어야 했지만 단돈 5전에 술 한 잔과 안주를 푸짐하게 먹을 수 있던 곳. 바로 선술집이다. 비지전골, 갈빗국, 심지어 너비아니 구이까지 저마다 개성을 지녔던 경성의 선술집이야말로 가벼운 호주머니로 귀가하는 그 시절 노동자의 저녁을 달래주는 최고의 위로였다.

당시 선술집에서 파는 술은 막걸리였다. 왜 막걸리만 팔았을까. 선술집의 이야기는 일제강점기 일본에 의해 우리 술이 사라진 역사로 넘어간다. 원래 우리나라 사람들은 집집마다 술을 담가먹던 '가양주' 풍습을 가지고 있었다. '술익는 마을 마다 타는 저녁놀'이라는 박목월의 시야말로 우리네의 일상적인 풍경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일본은 이런 가양주 전통의 우리나라에 술 면허제도를 실시한다. 술을 만드는 재료인 누룩 제조 허가제를 실시해, 술 제조를 통제하기 시작했다. 1920년대 후반부터는 밀주 단속을 강력하게 실시한다. 국세의 30~40%를 주세로부터 얻어내던 당시 밀주는 곧 세금이 새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노동자 월급이 30~40원이었던 시절 벌금 20원을 매기며 밀주 단속을 실시했다고 한다.

덕분에 집집마다 담그던 우리 고유의 다양한 술은 사라져 갔다. 거기에 더해 원래 청주와 청주에 약재를 더한 약주로 나뉘던 우리의 청주 문화를 '약주'로 통칭해 버렸다. 일본식 청주만을 청주라 부르도록 해, 일본 청주를 대중화시킬 수 있게 유도하며 우리 고유의 맑은 술 시장을 왜곡 축소시켰다. 또한 1930년대 전쟁이 격화되며 부족해진 쌀은 더더욱 우리 고유의 술 시장을 위축시키며 막걸리 등 획일화된 술 문화 정착을 부추기게 되었다.

쌀이 만병의 원인?
 
 < MBC 스페셜 > '경성 음식 야사' 2부작의 한 장면

< MBC 스페셜 > '경성 음식 야사' 2부작의 한 장면 ⓒ MBC

 
전쟁은 술만이 아니라 식문화 자체를 변형시켰다. 1930년대 총독부는 쌀을 아끼기 위해 하루 두끼 먹을 것을 종용하고 그것도 모자라 점심을 감자 정어리로 먹자는 캠페인을 벌였다. 심지어 호텔에서도 보리밥, 고구마 밥을 제공했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워낙 쌀밥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그런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일본은 만병의 원인이 쌀밥이라는 쌀밥 유해설을 유포했다. 또한 배급되는 쌀에 보리를 반이나 섞어서 나눠주기도 했다. 그래도 쌀을 밀거래하는 등 사람들의 쌀 사랑은 쉬이 가라앉지 않았다.

쌀이 부족한 상황에서 뜻밖의 호황을 누리게 된 건 '호떡집'이었다. 밀가루를 둥글넙적하게 반죽해 그 안에 설탕이나 팥을 넣어 구워낸 호떡이 경성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중국에서 온 떡이라는 의미의 호떡은 1882년 임오군란 이후 중국인들이 많아지면서 '쿨리'라 불리던 중국 노동자들이 간편하게 한 끼를 때우기 위해 만들었다. 호떡이 인기 메뉴가 되면서 서울에만 150여 곳의 호떡집이 성황을 이루었다.

하지만 호떡집의 성황은 '지나', '때놈', '짱꼴라'라고 낮잡아 불렸던 중국인들과 갈등의 도화선이 되기도 했다. 중국 길림성 만보산 지역 개간지에서 발생한 중국 농민과 우리 이주민 사이에서 벌어진 만보산 사건은 조선인 살상이라는 가짜뉴스로 번졌다.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민족 정서에 불을 붙였고 전국에서 무차별적인 중국인 린치가 벌어졌다. 120명의 중국인이 사망하게 된다. 또한 당시 인기있었던 '호떡집'은 그런 분위기에 더해, 우리 돈을 손쉽게 긁어가는 중국인이라는 편견에 시달려야 했다. 중국인들 역시 우리나라 사람들을 더 이상 믿을 수 없다며 외상을 줄 수 없다고 주장하며 곳곳에서 마찰을 빚게 돼 난투극도 빈번하게 발생했다고 한다.
 
 < MBC 스페셜 > '경성 음식 야사' 2부작의 한 장면

< MBC 스페셜 > '경성 음식 야사' 2부작의 한 장면 ⓒ MBC

 
냉면, 설렁탕, 호떡 등 오늘날 우리가 즐겨먹는 음식들은 100년 전 경성 사람들도 즐겨 먹었다. 소파 방정환 선생님은 집에 빙수기를 놓고 하루에 7~8그릇의 빙수를 드셨다고 하니 요즘으로서도 '빙수 마니아'의 경지를 넘어선다.

그런가 하면, 위생 관리가 제대로 안 돼서 '식중독의 원인이 된 빙수를 먹지 말라'는 총독부의 포스터에 그려진 빙수를 보고도 입맛을 다셨다고 한다. 문맹률이 70%가 넘는 서글픈 현실 때문이다. 우리가 몰랐던 또 그 시절의 또 다른 이면이다. 같은 음식이지만, 식민지 백성으로 살아가던 사람들에게는 음식 그 이상의 식민서사다. 그리고 오늘의 우리는 그 시절 음식을 통해 식민지 역사의 한 장을 엿보게 된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MBC스페셜 경성음식야사 호떡 냉면 설렁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