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수형기록표의 김성숙 선생
▲ 수형기록표의 김성숙 선생 수형기록표의 김성숙 선생
ⓒ (사)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

관련사진보기

김성숙의 오래된 꿈은 삼촌처럼 중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을 하는 것이었다.

3ㆍ1혁명에 참여하여 옥고를 치르고 각급 사회단체와 불교단체에 들어가 활동했으나 성이 차지 않았다. 더욱이 3ㆍ1혁명 후 일제는 내세우기는 '문화정치'였지만 실제로는 더 강화되고 악화된 식민통치였다. 가히 조선반도에서는 의식있는 사람이 숨도 쉬기 어려운 지경이 되어가고 있었다. 산중 불교라고 다르지 않았다.

반면에 중국(만주)에서의 상황은 크게 달랐다. 1919년 상하이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고, 11월에는 길림에서 의열단과 서로군정서가 조직되었다. 1920년에는 만주일대에서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로 우리 독립군이 일본군을 크게 무찔러 '대첩'을 이루었다.

1921년 3월에는 의열단원 김익상ㆍ오성윤 등이 상하이에서 일본 육군대장 다나카 기이치를 저격했으나 실패하고 피검되었다. 1922년 10월 남만주의 한족회와 광복군총영이 환인현에서 대한통의부로 통합하여 무장투쟁에 나섰다. 이처럼 우리 독립운동이 활기차게 전개되고 있었다.

중국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소식은 간간히 봉선사에도 들려왔다. 민족운동에 깊숙이 참여하고 있는 김성숙이 이를 놓칠 리 없었다. 이미 의열단 계열 인사들과 은밀히 접촉하고 있었다.

1922년 5월 19일 3ㆍ1혁명을 주도하던 의암 손병희가 옥고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독립운동의 선각으로 우러렀던 의암의 순국 소식에 김성숙의 아픔은 컸다. 이런저런 사회운동 단체에 참여하면서 점차 활동이 자유롭지 않았다. 일제 경찰의 그림자가 사찰 주변을 얼씬거렸다.
  
김성숙이 1923년 중국 북경으로 망명하여 수학한 민국대학
▲ 김성숙이 1923년 중국 북경으로 망명하여 수학한 민국대학 김성숙이 1923년 중국 북경으로 망명하여 수학한 민국대학
ⓒ (사)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

관련사진보기

 
떠나기로 했다. 중국으로 가서 본격적으로 독립운동을 하고 싶었다. 하지만 갈 길이 막막했다. 가깝게 지냈던 동반들과 뜻을 나누고, 자기를 친자식처럼 아껴주는 월초 스님과 상의했다. 뜻이 있는 곳에 길은 열린다고 했다. 다섯 명의 젊은 승려들과 베이징으로 유학을 가는 형식으로 망명길이 모색되었다.

김성숙은 중국 망명 전에 이미 김한과 유자명 등 의열단 인사들과 교유하고 있었기에 중국 베이징에 가서 할 일을 준비하였다.

김한은 1919년 상하이에 머물던 시절 사회주의 사상을 수용하였으며 유자명 등과 가까이 지낸 바 있었다. 김한이 앞서 귀국하고, 유자명이 뒤이어 귀국하면서 이들의 동지적 관계는 더욱 발전해 갔다.

이들은 노동공제회의 기관지 『공제(共濟)』의 필진으로 활동했으며, 그런 인연으로 김성숙은 유자명 등과도 교류할 수 있었다. 다시 중국에 건너간 유자명이 의열단원이 되어 1922년 국내에 파견되었을 때, 독립운동자금 마련과 관련해 김한과 긴밀한 연락을 취할만큼 굳건하게 결합되고 있었다. (주석 1)


김성숙은 불교단체에서 청년불도 5명과 함께 베이징으로 유학을 보내는 형식으로 '유학망명'의 길을 찾았다. 월초스님이 이들의 뜻을 알기에 흔쾌히 주선했을 거였다.

김성숙은 1923년이 되면서 해외로 나가야겠다는 생각을 갖기 시작했다. 그러나 일경의 감시가 심해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러던 중 1923년 어느 날, 그는 김규하, 김봉환, 김정완, 윤종목, 차응준 등 5명의 젊은 스님과 함께 마침내 중국 북경으로 유학 겸 망명의 길을 떠났다.

이들 여섯 명의 조선 승려는 북경에 있는 대학들에 각기 들어갔다. 김성숙은 민국(民國)대학에, 김규하ㆍ김정완ㆍ차응준은 북경대학에, 김봉환은 문화(文化)대학에, 그리고 윤종묵은 평민(平民)대학에 입학해서 공부를 시작하였다. (주석 2)

 

북경불교유학생회 보도기사(<매일신보> 1923년 11월 21일). 김성숙은 1923년 10월 28일 북경에서 유학생들과 함께 재연경조선불교유학생회를 조직하고 활동하였다.
▲ 북경불교유학생회 보도기사(<매일신보> 1923년 11월 21일). 김성숙은 1923년 10월 28일 북경에서 유학생들과 함께 재연경조선불교유학생회를 조직하고 활동하였다.  북경불교유학생회 보도기사(<매일신보> 1923년 11월 21일). 김성숙은 1923년 10월 28일 북경에서 유학생들과 함께 재연경조선불교유학생회를 조직하고 활동하였다.
ⓒ (사)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

관련사진보기

 
김성숙은 25살이 되는 1923년 봄, 7년 전의 꿈이 이제야 이루어졌다. 일행은 금강산 유점사를 거쳐 어렵게 압록강을 건너 베이징으로 갔다. 이때부터 김성숙 대신 김충창이란 가명을 썼다.

북경으로 망명할 무렵 김성숙은 불교 승려의 신분을 유지하였으나, 불교적 가치관에만 머물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민족혁명을 위한 방도로서 사회주의를 수용하는 한편 그것의 실천적 방략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기 위해 북경에 망명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주석 3)

김성숙이 베이징으로 망명할 무렵 중국대륙은 거대한 변화의 소용돌이에 돌입하고 있었다. 1919년의 5ㆍ4운동에 이어 1921년 7월 중국공산당이 창립되면서 장제스의 중국 국민당 체제에 도전하고 나섰다. 김성숙은 중국 국민당 계열의 민국대학에 적을 두었다.

민국대학은 1916년 채원배가 설립, 1920년 8월 북경대학 병설대학으로 전환, 북경대학 교장을 역임한 채원배는 중국 근대화를 위해 서구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 민국대학 북경세계어전문학교처럼 각종 신사조를 연구할 수 있는 학교였다. (북경 한인들이 아나키즘을 수용하는 데에는 채원배ㆍ이석증ㆍ노신ㆍ주수인 등 중국인 아나키스트나 러시아 맹인시인 에로생고의 영향이 컸다.)

민국대학 유학생 오남기ㆍ정래동ㆍ국순엽 등은 아나키스트가 되었고, 이들은 새로 입학한 한인 유학생들을 상대로 아나키즘을 선전하였다. 김성숙이 북경으로 망명하여 민국대학에 재학하면서 아나키즘에 관심을 가졌던 것도 이러한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다. (주석 4)


중국 대륙이 혼란기이기는 했으나 아직 대학은 안정된 가운데 각종 사회적이데올로기가 만개하고 있었다.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모습을 지켜보면서 김성숙은 유학생활을 시작한다.

북경으로 망명한 김성숙은 국내에서 이미 사회주의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북경 한인 사회의 흐름에 동참했던 것으로 보인다. 김성숙의 숙소인 서성의 내우2구(內右二區) 남구연(南溝沿) 호동 60호 대련공우(大連公寓)가 아나키스트들의 집단 거주지였던 점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들은 의열단과도 관계가 깊다. 김성숙이 북경에 도착한 직후 유자명과 신채호의 추천으로 의열단에 입단하고, 선전부장을 맡았던 사실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북경조선유학생회 조직, 상호 친목도모 성향, 기독교 계통 및 민족주의가 주류, 1923년 망명한 김성숙ㆍ김봉환ㆍ윤종묵 등 북경조선유학생회에 가입하여 활동하다. (주석 5)

김성숙은 중국에 온 목적이 학문연구에만 있었던 것이 아니기에, 독립운동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그쪽 사람들과 접촉하였다. 당시 베이징에는 신채호도 머물고 있었다. 김성숙이 베이징의 민국대학에 입학하던 1923년 1월 신채호는 의열단장 김원봉의 청을 받고 〈의열단선언〉(조선혁명선언)을 집필하여 의열단의 사기를 크게 높이고 있던 시점이다.

국내에서부터 연계되고 있었던 아나키스트 이론가이면서 의열단에 참여한 유자명의 주선으로 신채호를 만나고, 두 사람의 소개로 김원봉과 만나 의열단에 가입하였다. (이 부분은 뒤에서 상보)


주석
1> 손염홍, 「1920년대 중국지역에서 전개한 김성숙의 민족혁명과 사회주의운동」, 『운암 김성숙의 생애와 사상』, 34~35쪽, 선인, 2013.
2> 임혜봉, 앞의 책, 48쪽.
3> 손염홍, 앞의 책, 35쪽.
4> 「운암 김성숙 연보」,『운암 김성숙의 생애와 사상』, 338쪽. (이후 『연보』표기)
5> 앞과 같음.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인물열전] 운암 김성숙 평전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태그:#운암_김성숙_평전, #중국_민국대학, #의열단, #김충창, #김성숙_중국망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