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의 부가 456조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 가구당 순자산은 4억1596만원으로, 미국의 절반 수준이었다.

17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국민대차대조표'를 보면 지난해 말 우리나라 국민순자산은 1경5511조7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1174조4000억 원(8.2%) 증가했다.

국민순자산은 국내에 있는 부동산 등 실물자산과 예금 등 금융자산, 해외로부터 받을 수 있는 돈을 합한 금액을 말하는데, 2018년 기준 국내총생산(GDP)의 8.2배 수준이었다. 우리나라에 쌓인 부가 한 해 벌어들인 돈의 8배 가량이라는 얘기다.

이 가운데 금융자산이 아닌 자산은 1경5049조9000억 원을 기록했고, 금융자산에서 금융부채를 뺀 순금융자산은 461조8000억 원으로 2017년에 비해 181조4000억 원 증가했다. 최병오 한은 국민B/S팀장은 "지난해 해외투자가 늘고 (국내) 주식시장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외국인 주식투자자들이 빠져나가면서 순금융자산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비금융자산 중에서는 건설자산 등 생산자산이 6775조6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6.4% 늘었으며, 토지자산 등 비생산자산은 8274조3000억 원으로 7.6% 증가했다. 최 팀장은 "부동산과 무형자산의 비중이 확대됐는데, 토지 비중은 2013년에 저점을 기록한 뒤 높아지는 추세"라며 "연구개발(R&D) 투자가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이뤄지면서 지식재산생산물 비중도 확대되고 있다"고 했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 한국은행

관련사진보기

 
가계, 주택자산 비중 가장 높다

지난해 가계·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전년보다 456조원 증가한 8726조1000억 원을 기록했다. 전체 국민순자산 가운데 가계 등의 순자산 비중이 56.3%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일반정부 4080조9000억 원(26.3%), 비금융법인 2384조8000억 원(15.4%), 금융법인 319조9000억 원(2.1%) 순으로 나타났다.

2018년 동안 가계 등의 자산과 빚 모두 전년보다 적게 늘었다. 자산의 경우 2017년에는 증가액이 696조2000억 원이었는데 지난해에는 559조5000억 원에 그쳤다. 이 가운데 주택자산 증가규모는 300조원에서 358조6000억 원으로 확대된 반면 금융자산 증가폭은 주가가 하락하면서 278조원에서 63조9000억 원으로 감소했다는 것이 한은 쪽 설명이다. 또 부채 증가액도 2017년 121조2000억 원에서 지난해 103조5000억 원으로 줄었다.

가계·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주택이 4407조2000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주택 외 부동산이 2240조8000억 원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이어 순금융자산 1940조9000억 원, 기타 137조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 한국은행

관련사진보기

  
한 집당 쌓인 돈 4억 원? 선진국 절반 수준

한은 등은 2018년 기준 가구당 순자산을 4억1596만원으로 추정했다. 전년에는 3억9932만원으로 추정됐었다. 이는 가계·비영리단체 순자산을 전체 인구수로 나눠 평균 가구원수(2.46명)을 곱한 값으로, 시장환율(달러당 약 1100원)로 환산할 경우 37만8000달러다.   

최 팀장은 "우리나라 가구당 순자산은 주요국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2017년 시장환율 기준 가구당 순자산은 호주의 경우 79만5000달러, 미국은 72만3000달러, 캐나다 54만 달러, 프랑스와 일본은 각각 47만9000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한은과 통계청은 최근 산업구조, 생산기술 발전 등 현실 반영도를 높이기 위해 국민대차대조표 통계의 기준년을 주요 국민계정통계와 마찬가지로 2010년에서 2015년으로 개편했다. 더불어 비소프트웨어 기업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지식재산생산물에 포함하는 등 자산의 범위를 확대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2015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순자산은 1경2729조7000억 원으로 개편 이전보다 368조5000억 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지난 2009~2017년 중 국민순자산은 연평균 2.9% 증가했다.  

태그:#한국은행, #국부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