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도쿄생활 초기에 모인 동전. 아직도 처리를 못하고 있다.
 도쿄생활 초기에 모인 동전. 아직도 처리를 못하고 있다.
ⓒ 김경년

관련사진보기

 
신용카드 거부하는 일본 가게들

도쿄, 아니 일본에 오는 한국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불평하는 게 하나 있다. 바로 신용카드를 받지 않는 것이다. 즉, 현금만 받는다는 것이다.

전에 며칠간 놀러왔을 땐 잘 몰랐는데, 살다보니 웬만한 가게는 다 현금만 받는다는 사실을 알았다. 편의점과 아주 큰 할인점, 백화점 정도나 카드를 받지, 슈퍼·음식점·목욕탕이나 대학의 학생식당 등 웬만한 곳은 카드가 아닌 현금을 내야 한다.

그러다보면 주머니엔 늘 거스름돈으로 받은 동전이 철썩철썩 거린다. 오죽하면 다 큰 어른들이 동전지갑을 따로 들고 다닐까.

아침에 집을 나설 땐 전날 생긴 동전을 전부 소진하고 오겠다는 각오로 미리 살 물건값을 잘 계산해서 필요한 만큼 동전을 가지고 나간다. 하지만, 꼭 1엔짜리 혹은 10엔짜리 몇 개가 모자라 하는 수 없이 큰돈을 꺼내는 바람에 집을 나올 때보다 더 많은 동전을 만들어 들어가기 일쑤다. 책상 위에 쌓아놓은 동전이 나날이 늘어나는 것을 보면 한숨이 절로 나온다.

궁하면 통한다던가. 시간이 지나니 동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떠올랐다. 거스름돈을 받을 때 자투리돈을 얹어주고 큰돈으로 받는 식으로 해서 동전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가령 물건값이 '631엔'이라고 할 때 1000엔짜리 지폐를 내면, 거스름돈은 369원이다. 이걸 그대로 받으면 100엔짜리 3개, 10엔짜리 6개, 5엔짜리 1개, 1엔짜리 4개 도합 동전 14개가 생긴다. 이때 1000엔짜리와 함께 가지고 있던 동전 31엔을 함께 내서 369엔이 아닌 400엔(100엔짜리 4개)을 받는 것이다.

대답하기 난처해하는 일본인들

서울에 살 때를 뒤돌아보면 길거리 포장마차에서 떡볶이나 붕어빵을 사먹을 때를 제외하면 현금을 쓸 일이 거의 없었다. 하다 못해 슈퍼에서 몇백 원짜리 아이스크림 사먹을 때도 카드로 결제하니 거스름돈이 생길 리가 없고 주머니에 동전이 있을 이유가 없다.

일본에 20년도 넘게 산 한 지인은 필자의 불평을 듣더니 "나는 이미 익숙해져서 그게 불편하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라고 한다. 그는 한술 더 떠 "동전이 많아야 자판기 커피 빼먹고, 그 덕에 경제활성화가 되는 거 아닐까"라는 농담으로 속을 긁어놓는다.

앞선 글에서 소개했던 '교류회'(일본 사는 한국인과 한국에 관심있는 일본인들의 모임)에서 한번은 '상대의 나라를 방문했을 때 느꼈던 불편한 점'에 대해 토론한 적이 있다.

일본인들은 한국에 갔을 때 가장 불편한 점으로 '화장실과 욕실이 같이 있는 점'을 꼽았다. 화장실과 욕실이 분리돼 있는 일본에 비해 한국은 하나로 돼 있어 화장실에 갔다가 샤워물이 튄 젖은 슬리퍼를 신고 난감해 한 적이 여러 번 있었다는 것이다. 그들 입장에선 그렇게 느낄 수도 있겠다 싶다. 가장 불결한 이미지의 화장실과 가장 깨끗해야 할 욕실이 붙어있으니. 한국 목욕탕에 갔다가 샤워기 옆에 소변기가 있어 기겁을 했다는 남자도 봤다.

반대로 한국인들은 일본에서 가장 불편한 점으로 바로 신용카드를 쓰지 않는 것을 들었다. 일본인들은 그런 점을 인정하면서도 "우린 원래부터 그래서 전혀 불편하지 않다"라는 점을 계속 강조했다. 그러나 그들의 표정에 어딘지 불편함이 묻어 있었다.

화장실과 욕실 얘기는 문화의 차이로 설명될 수 있지만, 신용카드 사용은 전세계적인 추세라서 일본이 그만큼 뒤처졌다는 얘기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일 것이다. 자존심이 상한 것이다. 

'우리식대로' 살아가는 일본, 괜찮을까?
 
식료품을 파는 도쿄의 한 슈퍼마켓 계산대. 신용카드는 취급하지 않고 현금만 받는다.
 식료품을 파는 도쿄의 한 슈퍼마켓 계산대. 신용카드는 취급하지 않고 현금만 받는다.
ⓒ 김경년

관련사진보기

  
실제로 가장 최근 조사인 2015년 일본 경제산업성 조사를 보면, 한국과 중국의 캐시리스(cashless, 무현금) 결제비율이 각각 90%와 60%에 이르는 반면 일본은 20%에도 미치지 못한다.

그렇다면 일본인들은 남에게 열등감을 느끼면서까지 왜 신용카드를 쓰지 않고 현금 사용을 고집하고 있는 걸까. 세계적인 기술선진국 일본이 기술이나 인프라가 없어서는 아닐 테고.

일본 언론에서 공통적으로 말하는 일본인들의 현금사랑 이유를 모아보면, 첫째가 일본의 치안이 좋아서 현금을 가지고 다녀도 위험하지 않고, 둘째가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는 일본인들의 기질을 든다. 그리고 재난이 많은 나라라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현금을 좋아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과연 이런 소소한 이유 때문에 국가 경제적으로 중요한 '캐시리스'가 지연되고 있는 것일까.

그것보다는 뭔가 국가적으로, 혹은 금융기관의 편에서 볼 때 신용카드보다는 현금을 유통시키는 게 유리하기 때문은 아닐까. 차라리 일본 전국에 실핏줄처럼 깔려있는 편의점 ATM에서 나오는 수수료 수입을 포기할 수 없어서라는 설명이 더 설득력있어 보인다.

일본 정부는 오는 2027년까지 캐시리스 결제 비율을 확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그래봤자 40%이지만. 내년 도쿄올림픽, 2025년 오사카만국박람회 때 일본에 올 수많은 외국인 관광객들을 생각하면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것이다.

지난해초 경제통산성 조사 결과, 일본의 현금사용 문화에 불만인 외국인이 40%에 달하고, 도쿄올림픽 기간 중 카드 결제가 안 돼서 입을 수 있는 손실이 무려 1조2000억 엔이라고 한다. 이같은 경제적 손실은 둘째치고라도 외국인들에게 일본은 카드 결제도 안되는 나라라고 알려지는 게 두려울 것이다.

'잘라파고스(japan+galapagos=jalapagos)'란 말이 많이 들린다. 세계의 조류는 어떻게 되든 간에 일본 것이 최고니 일본식대로 살면 된단 말이다. 한국과 비교했을 때 국토 면적이나 GDP(국내총생산) 모두 3배 이상 되는 큰 시장인 데다 내로라할 기술력을 갖고 있으니 그럴 만도 하다.

그러나 그 결과, 잘 나가던 20~30년 전에 비해 오늘날 제대로 된 일본 전자제품이나 휴대전화 브랜드가 거의 눈에 띄지 않게 됐고, 가요·드라마·영화 등 대중문화도 서서히 경쟁력을 잃고 있다. 지난해 한국 오디션 프로그램 <프로듀스48>에 나온 일본 아이돌 가수들이 심사위원들의 질책을 받고 절망해하던 모습이 겹쳐진다.

오랜 옛날에는 중국과 한반도로부터, 그리고 최근에는 유럽으로부터 선진문물을 재빨리 받아들임으로써 오늘날 세계적 경제대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일본. 세계의 조류를 타고 다시 순항하느냐, '마이웨이'를 고집해 나락으로 떨어지느냐 기로에 서 있다.

덧붙이는 글 | 필자는 한국언론진흥재단 후원으로 도쿄 게이오대학에서 1년간 방문연구원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태그:#도쿄옥탑방일기, #신용카드, #현금, #도쿄, #잘라파고스
댓글10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