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겉그림
 겉그림
ⓒ 피어나

관련사진보기

 
 ㄱ. 쉬운 말 쓰기라는 인권 돌보기

<언어는 인권이다>
 이건범
 피어나
 2017.9.15.

 
사전과 법률, 공문서에만 등장하는 어려운 한자어들, 그리고 각종 광고와 상품 이름, 사용 설명서에 실린 영어 낱말은 고등학교를 나온 일반인조차 문장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된다. 국민의 알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것이다. (41쪽)

새말을 표준어로 정하여 사전에 올릴 것이냐 말 것이냐도 국가에서 정하는 일이 아니라 민간의 사전 편찬자들 몫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한글학회 등 민간 학술단체와 학자들이 맡던 이 일이 1980년대부터 국가 주도로 기울었고, 1990년대부터는 국립국어원으로 거의 모든 권한이 옮아갔다. (78쪽)

일제 잔재를 제대로 청산하지 못한 역사에 비춰볼 때 국한문 혼용과 실용파의 득세는 당연했다. (170쪽)

국어심의위원회에서 외래어 여부를 심의하여 결정해야 하는데, 1990년대 이래 단 한 번도 외래어를 심의한 적이 없다는 답이 돌아왔다. 즉 영어가 물밀 듯이 밀려 들어와 한국어의 자리를 빼앗던 그 20여 년의 세월 동안 외래어와 외국어를 가르는 어떠한 책임 있는 사회적 결정도 없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센터'라는 말은 왜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갔단 말인가? (218쪽)

요 몇 해 사이에 인권 강의하고 인권을 다루는 책이 꾸준히 늘어납니다. 이런 인권 이야기를 보면 빠진 대목이 늘 한 가지 있지 싶습니다. 바로 '말'입니다. 인권을 거스르거나 인권하고 엇나가는 말이란 무엇인가 하는 이야기를 아직 제대로 못 짚거나 못 다루지 싶습니다.

공문서를 비롯해 인문책에 어렵게 나오거나 딱딱한 일본 한자말이나 영어도 '인권을 등지는' 모습입니다. '어려운 말'이나 '외국말을 그냥 쓰는 말버릇'이나 '한자를 드러내어 자랑하거나 사자성어를 함부로 쓰는 말씨'로 인문 지식을 펴거나 정치나 문화나 예술을 하는 일도 민주나 평등하고 어긋난다고 할 만합니다. 일제강점기 찌꺼기를 터느냐 마느냐 하는 대목을 떠나서, 우리가 참답고 슬기로우며 아름답게 민주와 평등과 평화를 누리려는 길에 어떤 말을 어떻게 쓰면 즐거울까를 이제부터 헤아려야지 싶습니다.

<언어는 인권이다>(이건범, 피어나, 2017)는 말, 우리가 여느 때에 쓰는 말이 바로 인권을 보여주는 잣대라는 이야기를 찬찬히 짚습니다. 공문서뿐 아니라 인문학자나 지식인이 어렵게 쓰면서 지식을 자랑하는 말이야말로 '반인권'인 모습이라고 짚습니다. 그리고 국립국어원이 마치 독재처럼 한국말을 쥐락펴락하거나 주무르는 대목을 나무랍니다.

가만히 돌아보면, 아이 앞에서 아이가 알아듣기 어려운 말을 섣불리 쓰는 어른도 인권하고 어긋난 일이라 할 만합니다. 아이를 둘러싼 마을이나 터전에서 어른들이 거친 말씨나 막말을 쓰는 모습도 인권을 등진 일이라 할 만해요. 아이들이 거친 말씨나 막말을 쓴다면, 바로 어른한테서 배우기 때문이에요. 어른들이 찍은 영화나 연속극에서 듣고 배우기 때문이고요.

앞으로는 인권 교육에서 말을 더 깊이 살피면 좋겠습니다. 어른으로서 어린이나 푸름이 앞에서 어려운 말이나 거친 말을 쓰지는 않는지, 교과서나 문학이나 인문책에 여느 사람들이 알아듣거나 읽기 어려운 말을 섞지는 않았는지 곰곰이 돌아볼 노릇이라고 봅니다.

 
겉그림
 겉그림
ⓒ 비꽃

관련사진보기

 
 ㄴ. 한국말을 모르면 번역을 못한다

<한글을 알면 영어가 산다>
 김옥수
 비꽃
 2016.9.30.

 
모국어로 말할 수 없는 내용은 외국어로도 말할 수 없다. 외국어를 잘하려면 모국어부터 잘해야 한다. (13쪽)

우리 번역 수준은 우리 문화 수준을 그대로 반영한다. (21쪽)

한문은 양반세력이 기득권을 지키는 무기였다. (47쪽)

이희승은 일본백과사전 '廣辭苑'을 번역해서 1961년에 '국어대사전'을 만들어 현재까지 우리말을 일어에 예속하는 토대를 구축한다 … 이희승은 1984년에 전두환 군부독재와 손잡고 '국립국어원'을 설립하니, 그 제자들은 지금까지 '국립국어원'을 장악해 막대한 예산을 집행하며 허수아비 관변 학술단체를 양산하니, 한글 교육정책은 여전히 갈피를 못 잡는다. (51쪽)

영문 번역의 모태가 되는 영한사전 대부분이 영일사전을 번역했다는 사실에 있다. 일본어 소유격 'の'가 여전히 우리말을 망가뜨리는 원인이다. (54쪽)

말을 배우려면 말을 해야 합니다. 글을 쓰려면 글을 써야 합니다. 아주 마땅한 소리이지만, 정작 이를 안 따르는 사람이 무척 많지 싶습니다. 영어를 배우려면 잘 하든 못 하든 자꾸자꾸 영어로 말해야 합니다. 영어로 글을 쓰고 싶으면, 잘 쓰든 못 쓰든 꾸준히 영어로 글을 써야 해요.

한국말을 잘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학교나 교과서나 문법이나 띄어쓰기가 아닌, 말이 말다울 수 있도록 끊임없이 갈고닦으면서 새로 익힐 노릇입니다. 한국말로 글을 잘 쓰고 싶을 적에도 이와 같아요. 곁에 사전을 놓고서 말뜻을 새로 익히고, 사전에 빠지거나 엉성한 대목이 있으면 우리 나름대로 손질하면서 더 깊고 넓게 헤아릴 줄 알아야 합니다.

외국책을 한국말로 옮길 적에 엉성하다면 외국말을 익히거나 살피는 만큼 한국말을 안 익히거나 안 살핀 탓입니다. 외국말만 잘 한대서 번역을 할 수 없어요. 통역도 이와 같습니다. 두 나라 말을 똑같이 잘 해야 합니다.

<한글을 알면 영어가 산다>(김옥수, 비꽃, 2016)는 한국말을 너무 모르는 한국사람한테 한국말을 처음부터 새로 들여다보면서 함께 배우자고 하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글쓴이는 외국말을 한국말로 옮기는 일을 오랫동안 하면서 스스로 배우거나 깨달은 이야기를 풀어놓습니다. '우리가 한국사람이니 한국말을 으레 잘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아직 한국말을 제대로 배운 적이 없다'는 생각으로 한국사람 스스로 한국말을 처음부터 다시 익히고, 나이가 든 뒤에도 지며리 가다듬을 줄 알아야 한다고 밝혀요.

그러고 보면 한국은 봉건 틀에 오랫동안 얽매였고, 일제강점기를 거쳤고, 해방 뒤에는 영어 권력이 우뚝 섰어요. 이런 틈바구니에서 한국말이 한국말답게 선 적이 없다고 할 만합니다. 중국말 일본말 영어 틈바구니에서 제자리를 못 찾은 한국말이지요. 겉으로는 한국말을 쓰지만 속으로는 한국말다운 한국말을 모르는 채 살아온 셈이라고도 할 만해요.

한국은 이제까지 한국말사전도 퍽 엉성하지만, 영어사전도 참으로 엉성합니다. 다른 사전은 어떠할까요? 일본 사전을 안 베낀 한국 사전은 언제쯤 비로소 태어날 만할까요? 국립국어원이라는 기관은 그동안 억눌리거나 짓밟힌 한국말을 슬기롭게 세우는 길을 얼마나 씩씩하게 갈 만할까요? 글 권력을 내려놓고서 사람들이 말을 쉽고 부드러우면서 즐겁고 사랑스레 배우는 길을 오늘부터 새롭게 갈 수 있을까요? 나라에서 힘쓰지 못하는 말살림 가꾸기에 마음을 기울이는 이웃님이 작은 책 하나로 작은 물결을 조용히 일으킵니다.
 
겉그림
 겉그림
ⓒ 문학수첩

관련사진보기

 
 ㄷ. 글벗이 자꾸 틀리는 글버릇

<우리말 소반다듬이>
 권오운 글
 문학수첩
 2011.10.20.

 
다만 '학교에서 사투리를 가르치고 사투리를 공용어에 적극 편입시키는 방안을 강구하라'는 다소 어처구니없는 요구(?)로도 한 나라의 어문정책을 흔들어 볼 수 있구나 하는 한심함이 못내 아쉬워 꺼낸 소리다. (113쪽)

'길고양이'는 순전히 만든 말에 지나지 않는다. 길에 돌아다닌다고 '길고양이'인가? 그런 말은 처음 들어 본다. (142쪽)

'물 냄새'가 허무맹랑한 소리다. 다 아는 것처럼 본디 물에는 냄새가 없다. 사전에도 '빛깔, 냄새, 맛이 없고 투명하다'고 되어 있다. 공기 역시 마찬가지다. 다만 물에서 냄새가 나는 것은 물 속에 녹아 있는 어떤 성분에 의한 것일 뿐이다. (241쪽)

'짜리몽땅하다'는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말이지만 바른말은 아니다. 하다못해 방언이나 속어로도 사전에 올라 있지 않은 말이다. (249쪽)

글만 쓸 적에는 글을 좀 알는지 모르나, 글에 담을 삶은 잘 모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글을 쓰려는 꿈이 있다면, 글쓰기에 마음을 덜 쓰더라도 삶을 가꾸고 살림을 짓는 길에 마음을 더 쓸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스스로 가꾸는 삶이 고스란히 글이 되고, 스스로 짓는 살림이 하나하나 글이 됩니다.

정치에서도 이와 같습니다. 정치하는 솜씨가 좋다고 해서 정치가 훌륭할 수 없습니다. 사람으로서 살아가는 길을 알고, 사람답게 살림을 하는 손길이 몸에 배어야 비로소 참하거나 착한 정치가 될 만하지 싶어요.

<우리말 소반다듬이>(권오운, 문학수첩, 2011)는 한국에서 소설을 쓰는 분들이 글손질에 얼마나 마음을 못 쓰는가를 낱낱이 짚습니다. 매우 날카롭거나 따갑다고 할 수 있는 책입니다. 소설지기가 줄거리를 엮고 글멋을 부리느라 바쁜 나머지 글결을 놓치거나 글길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호되게 나무랍니다.

나무라는 대목은 나쁘지 않으나 너무 틀에 매인 나무람이 보이기도 합니다. 글쓰는 이들이 글에 시골말 살리는 글결을 이 책을 쓰신 분은 뜻밖에 못마땅하게 여기네요. 사투리를 학교에서 못 쓰게 하는 얼거리가 시골살림을 얼마나 뒤트는가를 글쓴이는 잘 모르는 듯해 아쉽습니다.

그리고 '길고양이'는 글쓴이 말마따나 사람들이 새로 지은 낱말입니다. 고양이한테 '도둑-'이라고 붙이는 이름이 걸맞지 않다고 여겨 새말을 지었어요. 글쓴이는 '길고양이' 같은 새말이 억지스럽다 말씀하지만, 억지스럽지 않고 상냥하거나 사랑스러운 마음이 아닐까요? 한국말은 결하고 맛을 살려 얼마든지 새로 가지를 칩니다. '짜리몽땅하다'뿐 아니라 '짜리몽툭하다'처럼 써도 됩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글쓴이 누리집(blog.naver.com/hbooklove)에도 함께 올립니다.


우리말 소반다듬이

권오운 지음, 문학수첩(2011)


한글을 알면 영어가 산다 - 번역 방법론

김옥수 지음, 비꽃(2016)


언어는 인권이다

이건범 지음, 피어나(2017)


태그:#꾸러미 읽기, #책읽기, #우리말, #한국말, #말넋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