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계대욱

관련사진보기


ⓒ 계대욱

관련사진보기


문화재 수탈이 극심했던 일제강점기, 우리 문화유산을 지키려 애썼던 간송(澗松) 전형필(1906~1962) 선생이 1938년에 성북동에 지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사립박물관이 바로 '보화각'입니다.

ⓒ 계대욱

관련사진보기


3.1운동을 주도한 민족대표 중 하나인 위창(葦滄) 오세창(1864~1953) 선생이 지은 이름으로 '빛나는 보배를 모아두는 집'이라는 뜻입니다. 간송 선생은 일제에 뺏기거나 훼손될 문화재들을 구해내 이곳에 모아뒀습니다.

ⓒ 계대욱

관련사진보기


훗날 보화각은 간송미술관으로 이름을 바꿨습니다. 한글을 만든 이유와 사용법을 담은 국보 제70호 '훈민정음 해례본'을 비롯해 국보 12점, 보물 10점 등 다양한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습니다. 봄, 가을에 한 번씩 작품을 공개해 사람들과 만나고 있습니다.

ⓒ 계대욱

관련사진보기


간송미술관 80주년을 맞아 보화각의 그 귀한 보물들이 대구를 찾아왔습니다. 대구미술관에서 열리는 '간송특별전 - 조선회화명품전'은 신윤복, 김홍도, 안견, 정선, 장승업, 신사임당, 김득신, 김정희 등 조선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작품 100여 점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흔치 않은 전시입니다.

ⓒ 계대욱

관련사진보기


이 기회를 놓칠 수 없어 미술관을 찾았습니다.

ⓒ 계대욱

관련사진보기


오만원권 지폐에 그려진 신사임당의 '포도' 수묵화를 봅니다. 김득신의 '야묘도추'는 병아리를 훔쳐 달아나는 들고양이 때문에 일어난 한바탕 소동을 표정까지 생생하게 그려냈습니다. 추사체로 유명한 김정희의 난 그림도 인상적입니다.

ⓒ 계대욱

관련사진보기


정선의 '장안연우'엔 안갯속 한양의 전경이 펼쳐집니다. 금강산 일만이천 봉의 신묘함을 고스란히 담은 정선의 '풍악내산총람'은 봉우리마다 그 이름이 적혀 있습니다. 8m가 넘는 심사정의 '촉잔도권'은 길게 이어진 산수의 풍경이 신비롭기만 합니다.

ⓒ 계대욱

관련사진보기


나른한 봄날, 꾀꼬리 한 쌍에 넋이 나간 선비의 모습을 담은 김홍도의 '마상청앵'은 '꿈속의 선비'라는 미디어 작품으로 재해석됩니다. 꾀꼬리가 별을 하나씩 물어오고 그 별들이 밤하늘로 올라 반짝일 때까지 선비는 자리를 뜨지 않습니다.

ⓒ 계대욱

관련사진보기


신윤복의 '미인도' 앞에는 북새통을 이룹니다. 관람 거리 제한으로 세세한 묘사를 가까이서 볼 수 없음이 아쉬울 따름입니다.

특히 재밌던 작품은 신윤복의 '혜원전신첩'입니다. 국보 제135호로 조선 후기 풍속과 남녀 간의 춘정을 묘사한 30장면의 화첩입니다. 이를 애니메이션으로 재해석했습니다. 또 작품 하나하나마다 해시태그를 달아 현대적으로 유머러스하게 풀어냈습니다. 예를 들어 '월하정인'의 경우 '#심야데이트, #오늘은고백할까, #기대기대, #썸타는중' 등의 해시태그를 달아 위트 있게 표현했습니다.

"옛 것을 배워 새로운 것을 창조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되, 근본을 잃지 않아야 한다."

출구 쪽 벽면에 적힌 '법고창신(法古創新)'이라는 글귀가 전시의 의미를 되새기게 합니다. 간송 선생이 자신의 전 재산을 쏟아부어 지켜낸 '옛것'들.

지난 6월부터 시작한 전시가 이달 16일까지 열립니다. 11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찾았다고 합니다. 추석 연휴를 고려해 26일까지 전시기간을 늘리는 협의가 진행 중이라 하니 그 인기를 실감케 합니다.

더 늦기 전에 귀한 옛 보물들을 만날 기회를 잡으시기를 바랍니다.



태그:#모이, #기대기대, #오늘은고백할까, #썸타는중, #심야데이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왼쪽 손바닥을 펴보세요. 사람의 손금엔 '시'라고 쓰여 있어요.

이 기자의 최신기사[만평] 출구전략 없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