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고용 관련 긴급 경제현안 간담회에서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고용 관련 긴급 경제현안 간담회에서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5월 고용 동향 성적표는 참담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가 "충격적"이라고 할 정도였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8년 만에 최저치였고, 실업자 수는 12만 명이나 급증했다. 정부가 일자리 창출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청년 계층(15~29세) 취업자 수가 9만 5000명 줄어든 것도 뼈아프다.

통계청이 15일 내놓은 고용동향을 보면, 5월 취업자 수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7만 2000명 늘어난 2706만 4000명으로 집계됐다. 취업자 증가 폭은 2010년 1월 이후 8년 4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실업자는 급등했다. 실업자 수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12만 6000명 늘어난 112만 1000명으로 조사됐다. 전체 고용률은 -0.2%p 감소한 61.3%, 실업률은 0.4%p 증가한 4.0%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청년층 일자리 감소가 두드러졌다. 15~29세 취업자 수는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9만 5000명 줄었다.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30~39세 취업자 수도 3만 1000명 감소했다.

ⓒ 통계청

관련사진보기


청년 취업자 수, 가장 큰 폭으로 감소

청년(15~29세) 고용률은 42.7%로 전년보다 0.3%p 하락했다. 청년 일자리 추경 등 청년 일자리 창출에 힘을 쏟고 있는 정부 입장에선 받아들이기 어려운 성적표다.

김복순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은 "300인 이상 기업들의 지난해 1분기와 올해 1분기 채용 현황을 보니 천여 명 수준 정도밖에 늘지 않았다"면서 "대기업들의 채용 시장이 위축되는 것이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가 "그간 정부가 일자리 창출의 마중물 역할을 하려고 노력을 해왔지만 기업과 시장에서 '펌핑'이 부족해서 일자리 창출 미흡한 점이 없잖아 있다"고 지적한 부분과 일치한다. 

30~40대 취업자 수도 줄었다. 30~39세 취업자 수는 3만 1000명 감소했고, 40~49세도 8만 8000명 줄었다. 중장년 취업자만 증가했다. 50~59세 취업자가 4만 6000명 늘었고, 60세 이상 취업자는 24만 명 증가했다.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숙박 음식업에서 감소가 두드러졌다. 도소매·숙박음식업 취업자 수는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만 1000명 줄었다. 제조업도 전년 동기 대비 7만 9000명 줄었다.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건설업 경기부진 등 악재 지속

제조업은 한국지엠의 군산공장 폐쇄, 조선업 경기 부진 등이 영향이 겹치면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실제로 전북과 울산, 경북 등 조선, 자동차 산업 경기의 영향이 큰 지역의 고용률이 모두 하락했다.

군산이 속한 전북 지역 고용률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0.8%p 줄었고, 경북(-1.5%p)과 울산(-0.6%p)도 하락세를 보였다.

건설업도 위태롭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4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건설업 취업자 증가 폭은 1월 9만 9000명이었다. 하지만 2월 6만 4000명, 3월 4만 4000명, 4월 3만 4000명 등 증가 규모가 축소되고 있다.

김 전문위원은 "건설 경기가 꺾어지면서, 건설업과 부동산업 일자리도 빠져나가는 경향이 나타난다"면서 "최저임금 영향이라고 지적되는 음식숙박업은 지난해 중반부터 하락세를 보였기 때문에, 정책 효과 여부는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 고용 관련 긴급경제현안간담회를 열고 "5월 고용동향 내용이 충격적"이라며 "저를 포함한 경제팀 모두가 책임을 느낀다"고 밝혔다.

김 부총리는 "우선 업종, 계층, 맞춤형 지원을 할 계획"이라며 "소득분배 악화 문제와 연계해 고령층, 영세 자영업자, 임시일용직, 일부 도소매 숙박업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태그:#고용동향, #고용쇼크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