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제주 4.3 추념 야외조형물 <비설(飛雪)> ▶참고사진출처: 제주 4.3 평화공원
▲ [역사의 한 컷 22] 제주 4.3 70주년, 미국의 책임을 묻다! 제주 4.3 추념 야외조형물 <비설(飛雪)> ▶참고사진출처: 제주 4.3 평화공원
ⓒ 전승일

관련사진보기


2018년 올해는 제주 4.3 70주년이 되는 해이다. 제주 4.3 사건은 미군정기에 발생하여 대한민국 건국 이후에 이르기까지 7년 7개월 동안 지속된, 우리 현대사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민간인 인명 피해가 많았던 비극적인 사건이다. 1947년 3.1절 기념 제주도대회에서 경찰의 발포로 6명의 민간인이 사망하자, 이에 대해 대대적인 민·관 합동 총파업이 일어났고, 경찰의 무차별 검속과 고문치사가 잇따랐다.

이러한 경찰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독선거 · 단독정부 반대'를 기치로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봉기한 이래,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군경 토벌대의 잔혹하고 무차별적인 진압 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제주 4.3 평화공원은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에관한특별법>(2000년) 제정 이후, 정부 차원의 진상 조사가 실시되고, <제주4.3사건진상보고서>(2003) 채택과 함께 고 노무현 대통령의 공식 사과가 이루어지면서, 2008년에 4.3 사건으로 인한 제주도 민간인 학살과 처절한 삶을 기억하고 추념하며, 화해와 상생의 미래를 열어가기 위한 평화 · 인권 기념공원으로 건립되었다. 그리고 2014년에는 4.3 희생자 추념일이 법정기념일로 지정되었다. 현재 4.3 평화공원 위패봉안실에는 1만4117명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행방불명자표석에는 3895기의 시신 없는 희생자 표석이 설치되어 있다.

제주 4.3 평화공원에는 <비설(飛雪)>이라는 제목의 야외 조형물이 세워져 있다. '바람에 흩날리는 눈'이라는 뜻의 이 작품은 군경 토벌대의 대규모 초토화 작전이 벌어지던 1949년 1월 6일, 변병옥(변변생, 당시 25세)과 그녀의 두 살배기 젖먹이 딸이 봉개동 거친오름 북동쪽 지역에서 피신 도중 학살된 후, 후일 행인에 의해 눈더미 속에서 발견된 모녀의 비극적인 죽음을 추념하는 모녀상(母女像)으로 당시 억울하게 희생된 두 생명의 넋을 기리고자 제작 설치되었다.

4.3 70주년을 맞아 제주 4.3 희생자유족회, 제주 4.3 70주년 범국민위원회, 제주 4.3 70주년 기념사업회는 제주 4.3, 미국 책임 규명 서명운동을 통해 "제주 4.3은 미군정이 통치하던 시기에 발생한 민간인 대량학살 사건입니다. 미군정 시기와 미국 군사고문단이 한국군에 대해 작전통제권을 행사하던 시기에 3만 명이 넘는 제주도민이 억울하게 희생됐습니다.

그런데 70년이란 긴 세월이 흐르도록 미국 정부는 아직까지 아무런 말이 없습니다. 2003년 정부가 발간한 <제주4.3사건진상보고서>에도 4.3 사건의 발발과 진압 과정에서 미군정과 주한미군고문단의 책임을 분명히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제 미국은 4.3의 진실을 말해야 합니다. 4.3 학살에 대한 책임을 인정, 공식 사과하고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라고 주장하면서, 제주 4.3에 대한 미국과 UN 등의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하고 있다.

[서명] 제주 4.3, 미국 책임 규명 10만인 서명 운동
http://bit.ly/2zPUECp

덧붙이는 글 | 위 기사는 <포스트 트라우마 www.post-trauma.kr >에 함께 게재되었습니다.



태그:#제주 4.3 70주년, #제주4.3 평화공원, #제주4.3 평화대단, #4.3 모녀상 비설, #민간인 학살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토마타 공작소> 대표감독으로 독립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오토마타, 만화, 그림에세이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