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차돈의 순교를 통해 불교를 공인한 법흥왕과 영토 확장에 공을 세운 법흥왕의 조카 진흥왕, 역사적 평가가 엇갈리는 진지왕. 이들이 통치한 6세기는 신라가 불교왕국으로 성장하는 기틀을 다진 시기다. 이 세 명의 왕이 함께 자리한 모습을 그렸다. 물론 세 왕의 배후에는 ‘이차돈’과 ‘불교’가 있었다.
 이차돈의 순교를 통해 불교를 공인한 법흥왕과 영토 확장에 공을 세운 법흥왕의 조카 진흥왕, 역사적 평가가 엇갈리는 진지왕. 이들이 통치한 6세기는 신라가 불교왕국으로 성장하는 기틀을 다진 시기다. 이 세 명의 왕이 함께 자리한 모습을 그렸다. 물론 세 왕의 배후에는 ‘이차돈’과 ‘불교’가 있었다.
ⓒ 이건욱

관련사진보기


때로 역사는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유사한 인간형을 탄생시킨다. '대의를 위한 희생' 또는, '목숨을 건 결단'이라는 키워드를 놓고 보면 '불교 공인'의 문을 연 신라 최초의 순교자 이차돈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정치가 넬슨 만델라(Nelson Mandela·1918~2013)는 여러 부분이 닮았다.

이차돈이 "흩어진 신라의 국력을 하나로 모아 나라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불교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신념 때문에 생명을 잃었다면, 넬슨 만델라는 남아공에서 일상적으로 행해지던 극악한 인종차별 정책에 저항하며 흑인과 백인의 평등한 권리를 주장했다는 이유로 27년간 감옥살이를 했다.

이차돈은 자신의 죽음으로 신라가 중앙집권 체제를 갖춘 강위력한 왕국으로 발전하는 기틀을 만들었고, 27년에 걸친 만델라의 수난과 고통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인권운동의 획기적 계기를 마련한 국가'로 인정받게 했다.

역사에 이름을 남긴 사람들의 자기희생. 세상은 그들의 이름을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으로 흠모와 존경의 마음을 드러낸다.

이미 몇 년 전 만델라는 사망했지만, 아직도 남아공의 흑인들은 그를 떠올릴 때면 눈물부터 보인다고 한다. 또한, 그가 흑인으로서는 최초로 대통령을 맡은 이후 그 나라의 인권 상황과 약자에 대한 복지는 느린 속도지만 분명 개선의 길을 걷고 있다는 것이 학자들의 공통적인 평가다.

만델라가 활동한 시기보다 1500여 년 앞서 일어난 '이차돈의 순교' 또한 신라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적지 않게 끼쳤다.

이차돈이 절대적으로 신뢰했던 법흥왕(재위 514∼540)과 법흥왕의 조카인 진흥왕(재위 540~576), 진흥왕의 차남인 진지왕(재위 576∼579)으로 이어지는 65년의 세월은 영광과 시련 속에서 신라가 제대로 된 왕조국가의 기틀을 갖추고, 발전의 방향을 진지하게 모색하던 시기였다.

이차돈과 ‘비밀스러운 프로젝트’를 진행해 신라가 불교를 받아들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 법흥왕. 그의 능은 경북 경주시 효현동에 있다.
 이차돈과 ‘비밀스러운 프로젝트’를 진행해 신라가 불교를 받아들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 법흥왕. 그의 능은 경북 경주시 효현동에 있다.
ⓒ 경북매일 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법흥왕, 불국정토(佛國淨土)의 출발을 알리다

목숨을 담보로 한 법흥왕과 이차돈의 '비밀스러운 프로젝트'로 인해 527년(이차돈이 순교한 해) 이후 신라사회는 획기적인 변화를 겪는다. 보각국사 일연이 쓴 <삼국유사>는 그 변화를 아래와 같은 시적(詩的)인 문장으로 기록하고 있다.

"절들은 별처럼 벌여 있고, 탑들은 기러기 행렬처럼 늘어섰다. 법당을 세우고 범종을 매달았다. 용상 같은 승려의 무리가 세상의 복전이 되었고, 대소승의 불법이 신라의 자비로운 구름이 되었다. 타방의 보살이 세상에 출현하고 서역의 명승들이 이 땅에 강림하니 이로 인해 삼한을 병합해 한 나라가 됐다."


위와 같은 서술은 법흥왕과 이차돈이 도래시킨 '불교융성시대'를 가감 없이 보여준다. 역사학자 강석근의 논문 <백률사 설화와 제영에 대한 연구>는 후대 숭배자들에 의해 이차돈이 '부활'의 형태를 드러냄으로써 신격화되는 과정까지를 담고 있다. 이런 대목이다.

"이차돈의 재생을 바라는 후대인들의 염원과 조선 후기에 생성된 백률송순(柏栗松筍·이차돈의 순교를 기리기 위해 지은 사찰 백률사 인근의 소나무는 가지를 잘라도 다시 생겨난다는 뜻) 개념 사이에는 깊은 연관성이 있다고 필자는 판단한다."


불교라는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통해 중앙집권적 왕조의 초석을 깔았던 법흥왕. 거리와 산마다 사찰이 생겨나고, 승려들이 거리낌 없이 포교 활동을 하며, 아침과 저녁마다 범종의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는 나라로 변모한 신라.

법흥왕이 죽음을 앞두고 아내와 함께 승려가 돼 궁궐이 아닌 절을 향했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인 듯하다. 이 같은 불교문화의 빠른 확산, 그 배후에는 이차돈의 순교가 있었다.

진흥왕릉은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자리해 있다. 진흥왕은 재위 시절 신라의 영토를 넓히고, 정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자 노력했다.
 진흥왕릉은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자리해 있다. 진흥왕은 재위 시절 신라의 영토를 넓히고, 정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자 노력했다.
ⓒ 경북매일 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진흥왕, 영토를 넓히고 정치체제를 정비하다

법흥왕에 이어 신라의 24대 왕이 되는 진흥왕은 불과 일곱 살에 왕위에 오른다. 이후 12년간의 섭정(攝政) 기간을 거쳐 열아홉 살이 되었을 때부터 본격적인 통치를 시작한 진흥왕은 신라의 영토를 한강 일대와 함경도 지역까지 넓혔다.

역사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중·고교시절 수업 시간에 진흥왕순수비(眞興王巡狩碑)와 단양적성비(丹陽赤城碑)에 관한 이야기를 한 번쯤은 들었을 것이다. 이 비석들은 진흥왕 통치 당시 신라의 국토 확장 의지와 관직제도를 짐작하게 해주는 소중한 사료(史料)다.

이차돈과 법흥왕이 그 토대를 닦아놓은 '왕권 강화 국가' 신라에서 진흥왕은 차지한 영토를 그냥 내버려두지 않았다. 그 땅에 관한 지배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여러 차례에 걸쳐 지방의 행정조직을 개편하기도 한 것.

다수의 역사서는 진흥왕 16년인 555년 경남 창녕 지역에 완산주(完山州)가 설치됐고, 이듬해인 556년에는 비열홀주(比列忽州·함경남도 안변)가 설치됐다는 기록을 남기고 있다.

이는 기원전 4세기 알렉산드로스 3세가 자신이 정복한 지역을 '알렉산드리아(alexandria)'라 명명한 후 효율적인 사회통치 시스템을 마련하고 자신을 대행할 정치권력을 세웠던 형태와 유사하다. 이처럼 역사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유사하게 반복되고 있다.

진흥왕릉 바로 아래에 위치한 진지왕릉. 진지왕에 대해선 ‘노력하는 군주’였다는 평가와 ‘무능력한 왕’이었다는 학설이 엇갈린다.
 진흥왕릉 바로 아래에 위치한 진지왕릉. 진지왕에 대해선 ‘노력하는 군주’였다는 평가와 ‘무능력한 왕’이었다는 학설이 엇갈린다.
ⓒ 경북매일 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진지왕, 사학계의 평가는 엇갈리지만...

법흥왕과 진흥왕에 비해 재위 기간이 3년으로 매우 짧았던 진지왕(신라 25대 왕)은 역사학계의 평가가 엇갈리는 군주다. 경상북도가 발간한 <신라를 빛낸 인물들>에서 진지왕은 후한 평가를 얻고 있지 못하다. "정치를 제대로 돌보지 않아 사회 혼란을 초래했다"거나, "국민들의 결의에 따라 폐위됐다"는 등으로 묘사되고 있는 것.

하지만, 역사적 인물에 대한 평가는 반대의 견해를 내놓는 목소리도 함께 들어야 한다. 일부 역사가들은 진지왕이 "신라 국경을 침탈한 백제군을 일선군(一善郡·경북 구미 일원)에서 물리쳤고, 성을 축조해 외부의 침입에 대비했다"고 말한다. 또한, "진(陳)나라에 사신을 파견하는 등 외교에도 힘썼다"는 옹호론을 펼치기도 한다.

어쨌건 법흥왕에서 진흥왕, 진지왕으로 이어지는 6세기는 종교인 동시에 정치 이데올로기였던 불교를 통해 신라가 중앙집권국가의 형태를 갖춰나간 시대였음은 부정하기 어려울 듯하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경북매일신문>에 게재된 내용을 일부 보완한 것입니다.



태그:#법흥왕, #진흥왕, #진지왕, #이차돈, #신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아버지꽃> <한국문학을 인터뷰하다> <내겐 너무 이쁜 그녀> <처음 흔들렸다> <안철수냐 문재인이냐>(공저) <서라벌 꽃비 내리던 날> <신라 여자> <아름다운 서약 풍류도와 화랑> <천년왕국 신라 서라벌의 보물들>등의 저자. 경북매일 특집기획부장으로 일하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