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명재고택에는 장방형의 연못이 있고 배롱나무 한그루가 300여년을 지키고 있다
▲ 연지 명재고택에는 장방형의 연못이 있고 배롱나무 한그루가 300여년을 지키고 있다
ⓒ 임재만

관련사진보기


사월의 연두 빛이 참 곱다. 사방 어디를 보아도 연두색 일색이다. 어쩌면 저리 고울까? 아무리 오래 보아도 지루하지 않다. 오히려 저 고운 빛이 금세 사라질까 걱정이다.

"신록의 계절" 오월을 하루 앞두고 충남 논산 노성리의 있는 "명재고택(明齋古宅)"을 찾았다. 노성산 남쪽에 자리한 고택은 다른 양반가옥과 달랐다. 고택 뒤로 울창한 소나무 숲이 있을 뿐, 솟을 대문도 높은 담장도 보이지 않았다. 고택의 사랑채가 길가의 마당에 붙어 아무 경계 없이 맞아 준다.

마당에 잠시 서서 고택을 바라보았다. 사랑채는 기단(집터보다 한층 높게 쌓은 단)을 높이 쌓아 그 위에 올려 지었다. 기단 높이는 1m  50cm 정도 돼 보이는데, 사랑채를 마당에서 올려다보는 것은 조금 부담스럽다.

이것으로 단지 경계를 삼은 것일까? 마루에 올라가 앉아 보았다. 마당에서 올려다 볼 때와 맛이 전혀 다르다. 기분이 나쁘지 않다. 오히려 대접을 받는 느낌이다. 누구라도 마루에 올라앉으면 아무 방해를 받지 않고, 마당 풍경을 온전히 감상하며 담론을 즐길 수 있을 것 같다.   

고택 마당에 들어서면 누마루가 있는 사랑채가 맞아준다
▲ 사랑채 고택 마당에 들어서면 누마루가 있는 사랑채가 맞아준다
ⓒ 임재만

관련사진보기


이 고택은 명재 윤증 선생의 말년(1709년)에 자손과 제자들이 뜻을 모아 지은 집으로 실제로 선생은 이곳에서 살지는 않았다고 한다. 주변의 초가에서 살았다고 한다. 현재는 후손이 실제로 거주하고 있으며 조상대대로의 비법으로 전해지는 전독간장이라는 장을 담아 장맛을 계승하고 있었다.

"전"은 예전의 것을 잇는다는 뜻이고 "독"은 항아리라는 뜻이다. 즉 조상으로부터 이어오는 장이라는 뜻이다. 한옥스테이가 가능하며 미리 예약을 하면 전독간장과 된장으로 만든 음식을 맛볼 수 있다. (명재고택 홈페이지에서 예약가능)

ㄷ자형의 안채로 마루가 연결되어 각 방을 이어주고 있다
▲ 안채 ㄷ자형의 안채로 마루가 연결되어 각 방을 이어주고 있다
ⓒ 임재만

관련사진보기


고택 안채로 들어가는 중문은 사랑채 왼편에 있다. 사랑채를 내려와 열어 놓은 중문으로 안채를 들여다보았다. 안채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중문 정면에 벽을 세워놓아 시야를 가려놓았기 때문이다.

중문으로 들어서서 오른쪽으로 들어가야만 안채를 온전히 볼 수 있다. 안채는 주로 여자들이 생활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밖에서 쉬 보이지 않도록 세심히 배려한 것이다.      

안채는 'ㄷ'자형으로 넓은 대청마루가 중앙에 있고, 양쪽으로 북쪽에는 방과 남쪽으로는 부엌이 배치 돼 있다. 사랑채가 남쪽으로 있으니 전체적으로는 'ㅁ'자 구조를 지니고 있는 셈이다.

언뜻 보면 사방이 꽉 막혀 답답할 것 같지만 대청마루를 중앙에 넓게 만들어 놓아 아늑하면서 공간이 넓게 열려 있는 느낌이다. 채광과 통풍이 잘되도록 마루의 공간 배치가 잘 되어있다.

안채를 나와 장독대로 향했다. 사랑채 옆 장독대에는 수백 개의 크고 작은 장독이 질서 있게 펼쳐져 있다. 옛날에 식솔들의 수가 얼마나 많았는지 가히 짐작이 간다. 장독대는 노거수 느티나무와 함께 명재 고택의 찾는 즐거움을 더해 준다. 특히 느티나무 아래서 바라보는 봄의 고택 풍경은 압권이다. 기와집과 장독대가 궁합이 잘 맞는다는 생각이 든다. 장 익는 냄새도 좋다.

명재 고택의 깊은 장맛이 느껴지는 곳이다.
▲ 장독대 명재 고택의 깊은 장맛이 느껴지는 곳이다.
ⓒ 임재만

관련사진보기


고택 뒤로 전망대로 올라가는 길이 있어 따라가 보았다. 붉은 빛을 두른 소나무가 피톤지드를 한껏 쏟아내며 반갑게 맞아준다. 소나무 사이로 보이는 기와지붕이 참 고풍스럽다.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하다.

전망대로 올라가는 길은 나무계단으로 되어 있었다. 가파르지도 않아 누구나 오르기에 불편함이 없다. 사색하기에도 딱 좋은 길이다. 사월의 산속은 활엽수들의 세상이다. 막 피워낸 연초록 나뭇잎이 어찌나 예쁜지 눈을 뗄 수가 없다. 영혼까지 맑아지는 느낌이다.

숲이 우리에게 주는 혜택은 참으로 많은 것 같다. 맑은 공기를 주는 것은 물론 그림 같은 산 빛으로 마음을 몽땅 빼앗아 무아지경에 이르게 해주니 말이다. 

전망대에 올랐다. 교촌마을과 함께 넓은 들이 한눈에 쏙 들어온다. 마을도 들도 제법 크다. 예전에는 더 많은 사람들이 살았을 것으로 짐작이 된다.

윤증(尹拯)선생은 소론의 영수로 호가 명재(明齋)이며 조선 숙종 때 사람이다. 왕이 우의정까지 벼슬을 여러 번 내렸으나 병자호란 때 순절한 어머니를 위해 모두 고사하고 초야에 묻혀 오로지 학문을 닦고 후학을 가르쳤다고 한다.

보통 양반집하면 높은 담장이 있어야 하지만 명재 고택은 담장도 대문도 없다. 그 이유는 뭘까? 명재선생은 죽기 전에 자기 제사상 크기(가로 세로 90센티)까지 미리 정하여 주고, 간소한 음식을 차릴것을  당부할 만큼 평소 생활이 검소하고 소박한 학자였다고 한다.

권문세가라고 하여 자기만 호위호식하려하지 않고,  1식 3찬의 소박한 식사를 하며 주변사람을 먼저 생각하고 늘 배려하였기에 주변에 원한도 적도 없었을 것이다. 그러니 굳이 외부인을 경계하는 높은 담을 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고택에 봄꽃이 만발하니 생동감이 넘친다
▲ 봄 고택에 봄꽃이 만발하니 생동감이 넘친다
ⓒ 임재만

관련사진보기


명재 선생은 가난한 사람들이 먹고 살기 위해 뽕나무를 심으면 윤씨 집안에서는 뽕나무를 심지 않도록 엄명을 내리기까지 했다고 한다. 약자를 배려하는 마음이 깊었던 것이다.  현대를 각박하게  살아가는 요즘 꼭 필요한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명재고택은 지은 지 300년이 넘었지만 전남 함평의 정여창 고택과 함께 오늘날까지 가장 잘 보존되어 오는 양반가옥중 하나다. 6.25와 같은 크고 작은 변란이 여러 번 있었음에도 파괴되지 않고 잘 보존 될 수 있었던 것은 윤씨 가문이 남을 배려할 줄 아는 남다른 지혜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신록이 푸르러가는 고운 봄날, 명재고택을 돌아보며 한옥에 고스란히 배여 있는 선조들의 생활의 지혜를 생각해 보니, 닫혔던 눈이 다시 열리며 고택의 아름다움에 푹 빠지고 만다.



태그:#고택, #명재, #노성산, #논산, #장독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 여행을 다니며 만나고 느껴지는 숨결을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 가족여행을 즐겨 하며 앞으로 독자들과 공감하는 기사를 작성하여 기고할 생각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