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개성공단이 중단된 지 오늘로써 딱 1년이 되었습니다. 바꿈 세상을 바꾸는 꿈은 '개성공단에서 일했던 청년'과 '개성공단에서 일을 하고 싶었던 청년' 두 청년의 이야기를 담아, 개성공단 재개를 촉구하고자 합니다.


2016년 2월 10일 나의 날개가 부러졌다. 나의 미래이자 꿈이었던 개성공단이 중단되었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때부터 '통일'을 꿈꿨고, 개성공단 몇 개만 있으면 통일이 된다는 말에 개성공단관리위원회에 들어가 일을 하고 싶다고 생각했다.

이런 다짐을 한 후 나는 대학생 때 열정적으로 힘을 쏟았다. 내가 바라던 통일리더가 되기 위해 나는 무던히 애를 썼다. 통일과 우리 사회와 관련된 대외활동들을 통해 이 사회를 조금이나마 바꿔보겠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활동했다.

그뿐만 아니라 나의 내실을 다지기 위한 학과 공부 또한 열심히 하여 학과 수석도 놓치지 않았다. 이러한 나의 성과들은 때론 시기와 질투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더불어 내가 했던 활동들은 빨간 색깔론의 피해자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뭐든지 해내는 나를 놀라워했고, '너는 정말 취직은 걱정 없겠다'라며 부러워하기도 했다.

어쩌면 '분단'이라는 것은 한반도에 살고 있는 남과 북의 사람들에게 큰 아픔이지만 통일이라는 꿈을 가지고 있었던 나라는 개인에게는 아이러니하게도 '삶의 원동력'이었던 것이었다. 나는 흔히 바늘구멍이라 불리는 대기업, 공무원의 취업 문턱을 넘기 위한 것이 아닌 개성공단관리위원회에 들어가기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개성공단은 결국 중단되었다. 

현재 우리 경제는 청년실업률 9.4%, 고용률 42%로 심각한 상황이다. 하지만 개성공단이 없는 나의 미래는 실업률과 고용률이 더 심각한 상황이다. 단순히 개성공단의 중단은 숫자에 불과한 실업률과 고용률 악화 뿐 아니라 '통일'이라는 나의 꿈과 목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통일의 마지막 보루인 개성공단이 중단되었다는 발표를 들은 후 나는 더 이상 이 나라에서 통일의 꿈을 꿔봤자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개성공단 중단은 북한의 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법이 아니다. 그것을 정부가 모를 리가 없을 터, 나는 우리나라가 통일하고자 하는 마음이 없다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통일이라는 꿈 때문에 나는 북한대학원대학교에 입학했다. 합격발표가 나고 등록금을 이미 낸 상태에서 불과 한 달 후 개성공단 중단이라는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맘껏 먹지도, 놀지도 않고 돈을 모아 대학원등록금을 마련해서 입학했는데 나의 선택이 잘못된 것인가라는 생각도 들었다. '우선 들어가 보자'라는 생각으로 약간의 기대감을 갖고 입학했다.  

이런 기대감 속에 입학 후 나는 이미 남북한과 관련된 일을 하는 여러 선생님을 만났다. 대북관련 부서에서 일하시는 분, 대북사업을 하셨던 분, 통일부에서 일하시는 분, 그 외 다양한 일터에서 일하시는 분들을 만났다. 그분들이 하나같이 입을 모아 하셨던 말은 '개성공단이 중단된 마당에...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였다. 그분들이야 그래도 직장은 있었지만, 전업 학생이었던 나로서는 그들의 말에 더 큰 좌절감을 느꼈다. 이 좌절감이 과연 나만의 고민이었을까?

예전에 1명을 뽑는 개성공단관리위원회의 직원 공고에 400명이 모였다고 한다. 대기업도 철밥통도 아니었던 개성공단관리위원회가 400:1이라니 이건 도대체 무슨 의미일까. 그 모든 사람들은 어쩌면 나처럼 통일을 꿈꾸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그저 인생의 기회를 잡기 위해 그곳에 모인 것일 수도 있다. 어쩌면 우리의 기성세대는 400명의 미래 기회를 빼앗아 간 것이다. 

나는 개성공단을 더 이상은 정치의 문제, 국가의 문제, 남북한 간의 체제의 갈등 수단이 아닌 '삶의 터'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그냥 '한반도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간 중에 하나'라고 말이다. 한창 개성공단 취직을 꿈꾸던 시절 개성공단에서 일하는 한 직장인을 만나 물은 적이 있다. '개성공단이 가지고 있는 의미가 무엇입니까?', '개성공단을 통해 정말 통일을 이룰 수 있을까요?', '남북한이 정말 서로 함께 더불어 살아가며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가나요?' 이러한 기대에 찬 내 생각과는 달리 그분은 그저 이렇게 이야기했다.

"그냥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고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북쪽으로 가는 것뿐이다. 개성공단에 대해 뭔가 심오하게 생각하고 통일에 대해서 너무 거대하게 생각하는데 나는 통일이 그저 그냥 먹고 살기 위해 북쪽으로 가서, 개성공단으로 가서 열심히 일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이야기를 듣고 나서는 생각보다 통일이라는 것이 특별한 것이 아니라 그저 우리가 인간으로서 먹고 살기 위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북쪽으로, 개성공단으로 가는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통일을 이루는 것이 아닌 어쩌면 그냥 개성공단에 가서 일하고 생계를 유지하는 그 자체가 통일이라는 것이다. 바로 '생활의 통일'이다.

개성공단은 화해의 접촉지대다. 남과 북의 사람들이 모여 함께 먹고 일하며 서로 간의 마음의 벽을 허물었다. 또한, 개성공단은 통일 네트워크다. 개성공단의 사람들뿐만이 아닌 그들의 가족·고향 개성공단에서 나오는 제품들을 사는 고객과 그 가족들을 하나로 이어 준다. 개성공단은 청년들의 미래다. 청년들에게 힘내라는 말이 아닌 진짜 힘을 실어줘야 한다. 개성공단을 재가동 시키는 것이 청년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국민들 일부는 남북 간 교류가 북한의 핵 만들기에 도움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북한이 개성공단으로 인해 어떻게 바뀔 것이다라는 구체적인 상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며 이를 국민들에게 설명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만약, 개성공단을 다시 재가동한다면 개성공단에 대한 정확한 '상'을 국민들에게 알려야 한다. 그리고 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나는 상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개성공단에 '베스트 커플상'을 주고 싶다. 베스트커플의 수상자는 바로 남한의 대기업의 장벽에 갇혀 성장의 발동을 이어나갈 중소기업과 북한의 노동자. 더 나아가 북한의 기업 및 연구센터다. '뉴커플'=남북기업클러스트를 형성하고 더불어 남북한청년들에게 미래의 '기회의 터'를 제공하는 것이 수상이유다.

개성공단 중단이라는 최후의 통첩을 나는 피하지 못했다. 다시 어디부터 시작해야 할지 고민만 무성하다. 하지만 나는 언젠가 재개될 개성공단이 가져올 새로운 상을 지속적으로 알릴 것이다. 또한, 나에게 '삶의 터', 더 나아가 '기회의 터'를 제공할 개성공단을 계속 그리워할 것이다.

덧붙이는 글 | 미디어오늘, 바꿈 세상을 바꾸는 꿈 홈페이지에 중복게재됩니다.



태그:#청년, #개성공단, #통일, #바꿈,세상을 바꾸는 꿈ㄴ, #남북관계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경실련, 바꿈세상을바꾸는꿈,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 그리고 지금은 한반도평화경제포럼 사무처장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