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사수정 : 23일 오후 6시]

원주형, 이게 웬일입니까? 형의 이름을 이렇게 '추도'의 형식으로 부르게 되다니요?

두 달 여 전 형이 암과 투병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을 때, 저도 건강이 안 좋아 출입이 여의치 않기도 했지만 아무 근거도 없는 낙관으로 곧 나아서 일어나겠거니 생각하고 문병도 못 했더니 그 벌로 이렇게 뼈아픈 부음을 듣고, 이렇게 원통한 추도를 하게 되는군요.

형, 원주 형, 미안합니다. 형의 부음이 이렇게 아플 줄은 정말 몰랐습니다. 저는 우리의 인연이 그저 머나먼 36년 전 1980년 겨울의 그 '무림사건'에서 끝난 것인 줄 알았습니다. 각자 수형생활을 끝내고 나와 1년에 한 번, 혹은 몇 년에 한 번씩 만나기도 하고, 혹은 못 만나고 흘러가기도 하며 그렇게 서로 살아가는 이야기나 들으면서 보낸 세월은 그저 후일담, 돌아서면 공연히 쓸쓸해지는 그런 나날들에 불과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세상을 뒤집어 흔들어보겠다고 나섰던 그 젊은 날들은 이제 시나브로 다 가버리고 우리는 그저 각자 자기 몫의 생을 감당하느라 허덕이며 살아가는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어쩌면 저는 우리가 바라던 세상이 갈수록 점점 더 멀어져 가는데도 그렇게 옛이야기나 하며 살아가는 것이 못마땅했고, 그래서 옛 벗들이 다 미워졌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했는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오늘 형의 부음을 접하는 순간, 저는 갑자기 터져나오는 울음을 감당할 수가 없었습니다. 도대체 제 속 어디에 이토록 뜨거운 울음이 숨어있던 걸까요? 그 울음은 눈물샘에서 오는 것도 아니고, 가슴 속에서 오는 것도 아니었습니다. 알고 보니 그 울음은 제 뼛골 속에서 오는 것이었습니다. 그 36년 전의 사무치던 기억은 그동안 잊혀 없어지고 흔적만 남은 것이 아니라 깊은 뼛골 속에 온전히 살아 남아 있었고, 저의 삶이란 것은 그저 그것을 아슬아슬하게 봉인한 얇은 껍데기 한 장에 불과했던 것입니다.

형, 원주 형, 어떻게 그날들을 잊을 수 있겠습니까? 남영동 대공분실 취조실에서 이제는 더 이상 지킬 여력이 없어 마침내 형의 이름을 밝히고 이 사람이 바로 나의 배후라고 털어놓았을 때, 이근안이 그러더군요. 그래? 이원주가 그렇게 대단한 인물이야? 저는 속으로 대답했습니다. "그래 이원주는 그렇게 대단한 인물이다. 나의 선배, 나의 배후, 내 삶을 여기까지 이끌고 온 사상과 실천의 안내자가 이원주다!"라고. 가장 치욕스럽게 그 이름을 내다 파는 순간인데도 그 순간 저는 그 이름을 자랑스러워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1978년부터 1980년까지, 유신 말기에서 10.26을 거쳐 5.18 광주민중항쟁과 그 직후의 뜨거웠던 시대에 나중에는 '무림'이라는 이름으로, 하지만 당대에는 그저 '언더'라는 이름으로 부르곤 했던 비합법 학생운동 조직 속에서 늘 함께했던 형은 저에겐 거의 절대의 권위를 갖던 존재였습니다. 작은 키, 조그만 체구지만 무엇이든 아랑곳없다는 듯 날카롭고 자신만만했던 눈매를 지녔던, 어떤 난제 앞에서도 한 번도 당황한 모습을 보이지 않았던, 당시엔 마치 강철로 깎아 만든 사람으로 보였던 그 사람이 이원주 형이었습니다.

모든 결정이 옳지도 않았을 것이며 성공보다는 실패가 더 많았을, 그리고 역사적으로는 여전히 분분한 포폄의 대상이 되고 있는 당시의 우리의 사고와 행동이지만 저는 원주형과 함께하던 그 시절이 내 평생의 최고의 훈장과도 같은 시절이었습니다.

설사 그 시절이 사실은 이룰 수 없는 헛된 꿈에 사로잡혀 모든 걸 희생했던 상처뿐인 시절이었다는 판정을 받는다 할지라도 저는 그 시절 우리의 유한한 몸과 마음에 인류의 전역사가 함께 숨 쉬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으며, 그때의 그 허황한 꿈의 크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그 어떤 성취나 진보에도 쉽사리 만족하거나 정체하지 않고 늘 더 많은 자유와 더 많은 해방을 원하는 사람이 될 수 있었습니다. 나의 살과 뼈는 그때 다 만들어졌습니다.

원주형, 제가 남영동에서 형의 이름을 발설한 순간 이미 알고 있었지만, 그때 형은 군복무중이던 몸으로 기무사에 끌려갔고, 징역 중에서도 가장 가혹하다는 군징역을 살아야 했지요. 미안합니다, 형. 하지만 나약한 저 때문에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아 형에게까지 미안하다 할 겨를이 없었지만 어찌 미안함이 없었겠습니까. 하지만 생전에 결국 그 한 마디를 못하고 말았군요. 미안합니다.

복역을 마치고 세상에 나오니 형은 의외로 중학교 국어교사가 되어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다 했습니다. 하지만 얼마 안 가서 형이 인천에서 노동운동가로서의 삶을 시작했고 인천민주노동자연맹(인민노련)과 인천기독교 민중교육연구소 등에서 활동하다가 나중엔 민중당을 통한 노동자 정치운동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는 소식을 더러 들었습니다.

그러다가 몇 년 전이던가요? 가장 최근의 만남에서 이번엔 형은 주택관리사 자격증을 따서 작은 아파트 관리소장으로 일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가슴이 철렁했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 들은 소식이 지난 9월의 투병 소식이었고, 다시 그 다음 소식이 오늘의 부음이었습니다.

형과 제가 처음 만났을 때 우리는 박정희의 유신체제와 사생결단으로 싸우던 중이었습니다. 그리고 거의 40년이 흐른 지금, 우리는 그의 자식과 참으로 기가 막히는 싸움을 다시 벌이고 있습니다. 이게 무슨 꼴인가 싶기도 하지만, 차라리 잘 되었다 싶기도 합니다. 세상이 어설프게 변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던 10년 전을 생각하면 지금이 차라리 낫습니다.

19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열린 4차 촛불집회에 참석한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최순실 게이트' 진상규명과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며 가두행진을 하고 있다.
 19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열린 4차 촛불집회에 참석한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최순실 게이트' 진상규명과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며 가두행진을 하고 있다.
ⓒ 사진공동취재단

관련사진보기


이제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자고, 세상의 판을 다시 짜자고 하면 솔깃할 사람이 적지 않을 것 같습니다. 다시 시작할 수 있다면, 그때의 꿈을 다시 꿀 수 있다면, 그때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고 그때의 좋은 기억만 살려낼 수 있다면, 그리하여 비록 낼 모레 환갑 나이라 할지라도 아파트 관리소장과 대학교수가 만나 진짜 혁명을 다시 도모할 수만 있다면 얼마나 행복하겠습니까.

그런데 형은 이제 없군요. 미안하다 말할 시간도 주지 않고, 그 오랜 시간 묵은 상처를 다시 헤집어 한번 시원하게 붙들고 울 시간도 주지 않고 그렇게 표표히 사라져 가는군요. 그 시절 우리가 꾸었던 대담무쌍했던 그 꿈의 봉인을 해제하여 다시 이야기할 나의 영원한 배후, 이원주 형이 더 이상 이 세상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이 믿기지를 않습니다.

회자정리 같은 말 따위 막상 닥치니 어떤 위로도 되지 않지만, 그래도 그것이 세상의 이치이므로 받아들이기로 합니다. 생각하면 이 세상에 속절없이 오고간 것 같은 사람들 사이의 질긴 인연이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 온 것이겠지요. 형이 미처 못 하고 가는 말, 못 하고 가는 일, 어떻게든 이어서 말하고 이어서 행하겠습니다.

아니 제가 혼자 할 일이 아니지요, 아마도 주말마다 광화문에 모이는 저 백만의 사람들이 할 것입니다. 그 백만의 눈길이 바라보는 곳, 그 백만의 발길이 향하는 곳에 형이 먼저 가 있으리라 믿습니다. 그들과 함께, 그들이 꾸는 새로운 꿈에 우리의 옛 꿈을 슬며시 얹어 함께 가다보면 어느 구비에서 형의 파안대소를 만나겠지요.

형, 그때까지 부디 평안하소서.

2016년 11월 23일
김 명 인
문학평론가·인하대 국어교육과 교수


태그:#이원주, #부음, #인천민주노동자연맹, #무림, #대공분실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시민은 기자다!" 오마이뉴스 편집부의 뉴스 아이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