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이 글에는 영화의 주요 내용과 결말을 알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광복 70주년 기념으로 6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영화 '암살' 상영회에 앞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김을동 최고위원 등이 소감을 말하고 있다.
▲ 영화 '암살' 상영회에 온 김무성과 김을동 광복 70주년 기념으로 6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영화 '암살' 상영회에 앞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김을동 최고위원 등이 소감을 말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이 영화가 우리 국민 모두의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우리 그 시절로 돌아가 대한독립 만세 한번 외쳐볼까요?"
"대한독립 만세! 만세! 만세!"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만세 합창을 제안하자 청중들이 삼창으로 화답했다. 광복을 기념하는 소리가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을 메웠다.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영화 <암살> 특별상영회는 이처럼 만세 삼창과 함께 시작됐다. 이날 상영회는 김무성 대표와 김을동 최고위원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김 대표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애국심 확산을 위해 <암살> 특별상영회를 열었다고 했다. 김 대표의 생각대로 <암살>은 1933년 임시정부 대원들의 친일파 암살 작전을 그린 영화로 애국심을 고양하기 좋은 영화다. 그러나 단순히 애국심만 다루지 않았다. 이 영화는 아직도 미완으로 남아 있는 한국사회의 친일파 청산 문제를 정면으로 응시하고 있다.

때문에 부친의 친일 논란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김 대표가 <암살> 상영회를 열었다는 점은 아이러니하다.

<암살> 상영회 연 김무성, '부친 친일 논란' 물타기?

<한겨레>는 지난 1일 '친일 김무성 아버지가 애국자로 둔갑하고 있다'라는 기사를 통해 김무성 대표 부친의 친일 행적을 언급했다. 김 대표의 부친 김용주 전 전남방직 회장이 일제 식민 지배 당시 '황군에 위문편지 보내자'고 독려하는 등 친일 행위를 했다는 것이다. 또 적산 기업을 불하받아 전남방직을 만들어 부를 쌓았다고 <한겨레>는 지적했다.

이 같은 친일 행적만 보면 김 대표의 부친은 <암살>의 강인국(이경영)이라는 인물과 겹친다. 영화 속 강인국은 친일을 통해 막대한 부를 쌓았다. '강인국 암살작전'은 영화 전개의 핵심 축이다.

또 강인국은 쌍둥이 딸을 두었다. 배우 전지현이 1인 2역을 한 미츠코와 안옥윤이다. 미츠코와 안옥윤은 외모는 똑 닮았으나 삶은 정반대다. 미츠코는 아버지가 쌓은 부를 누리며 부러울 게 없는 편한 삶을 살지만 안옥윤은 만주에서 독립운동에 가담한다.

광복 70주년 기념으로 6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영화 '암살' 상영회에 앞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대한독립 만세! 만세! 만세!'를 외치고 있다.
▲ 영화 '암살' 상영회에 온 김무성 광복 70주년 기념으로 6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영화 '암살' 상영회에 앞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대한독립 만세! 만세! 만세!'를 외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김무성 대표의 삶은 미츠코와 강옥윤 중 누구에 가까울까? 김 대표의 그간 행적을 보면 안옥윤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미츠코처럼 김 대표도 부친의 부를 누리며 살았다. 지난 5월 18일 5·18민주화운동 35주년 전야제에 참석했다가 물세례를 맞은 김 대표는  5·18 유족 대표들이 사과에 답하며 자신을 "전남방직의 아들"이라고 떳떳이 소개했다.

김 대표는 또 부친의 친일 논란을 강하게 부인하며 오히려 부친이 일제 식민 지배 당시 펼친 교육사업을 부각하는 데 애쓰고 있다.

김 대표의 정치적 행보도 청산되지 못한 친일파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다. 김 대표는 지난 3월 '생존해 있는 유일한 친일파'라는 꼬리표가 붙은 백선엽 예비역 대장을 찾아 거수경례하며 존경을 표시했다. 백선엽은 <암살>의 주인공과 같은 독립투사들을 앞장서 토벌한 전력이 있다(관련기사: 김무성, '친일 논란' 백선엽에 "존경한다"며 거수경례).

이러니 김 대표가 <암살> 상영회를 개최한 것은 부친의 친일 논란 등에 '물타기'를 하려는 '애국 코스프레'라는 해석이 나오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와해된 반민특위를 대하는 김무성의 역사관

<암살>의 핵심 주제인 '친일파 청산'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은 이승만 당시 대통령을 비롯한 보수 세력의 방해 때문이었다.

친일파를 청산하려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가 설치됐지만, 이 대통령은 이를 무력화하는 데 일조했다. 그는 담화를 통해 반민특위를 수차례 비난했고, 반민족행위처벌법의 개정안을 통과시켜 특위 활동을 방해했다. 급기야 친일 경찰 출신들이 반민특위를 습격하는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반민특위는 결국 와해됐다.

이로 인해 <암살>에서 독립운동을 하다 친일 부역자로 변절한 염석진(이정재 분)이 반민특위 재판에서 자신은 독립운동 투사였다고 주장하는 사례는 역사 속에서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그럼에도 김 대표는 이승만 전 대통령의 명백한 과에는 눈을 감고 그를 '국부'로 모셔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 대표는 이날 "내가 그 시대에 살았더라면 내 개인의 목숨을 걸고, 가족들의 희생을 각오하고 독립운동을 했을 것인가 자문을 해본다"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날 <암살>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했을까. 단순히 애국심을 고취하는 영화인 줄 알고 국회 상영회를 연 본인의 선택을 후회하지 않았을까.

○ 편집ㅣ최유진 기자

덧붙이는 글 | 임성현 기자는 <오마이뉴스> 22기 대학생 인턴기자입니다.



태그:#김무성, #친일 논란, #암살, #특별상영회, #새누리당
댓글16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