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최근 '동아시아'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는 한 나라의 역사가 가진 경계를 뛰어넘어 그동안 동아시아에서 한·중·일 삼국이 '공유'해 온 역사와 문화에 주목함으로써 미래 동아시아의 평화와 협력을 구축해나가자는 의미가 담겨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상의 실현은 여전히 요원하기만 하다. 특히 지금까지 제국주의와 군국주의적 체질에서 벗어나지 못한 일본의 행태는 가해자인 일본이 남긴 과거 식민지배의 상처를 아직껏 제대로 치유 받지 못한 남북의 사람들로 하여금 실망감과 분노를 유발하곤 한다.

더욱이 최근 들어 독도문제, 역사문제에 관한 일본정부의 기만적인 태도는 일본 사회의 우경화 추세와 맞물리며 더욱 노골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일본의 독도 빼앗기 공작은 이제 전방위적으로 확대되며 늘 되풀이되고 있고, 과거 식민지배와 침략 역사를 정당화하는 작태도 여전히 심각하다. 이런 양상은 최근 출범한 노다 정권 역시 동일하다.

일 정부, 인권·평화의 가치를 알기나 하는 건가

한편 지난해 가을, 한국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및 원폭 피해자 문제에 관한 협의를 제안하자 일본은 이를 거부했다. 이들 문제는 이미 1965년 한일협정 당시 청구권 문제가 최종적으로 종결됐기에 더 이상의 협의는 있을 수 없다는 논리였다.

물론 이에는 한일협정을 졸속으로 타결하며, 과거 침략 및 식민지배 역사와 관련해 일본이 져야 할 책임을 외면한 박정희 정부의 책임도 크다. 사실 이러한 일본의 논리는 과거 일제에 의한 인권유린과 폭력으로 여태껏 지울 수 없는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과 원폭 피해자들이 엄연히 생존해 있는 '현실'과, 이분들에 대한 보상과 진정한 반성을 단 한 번도 한 적이 없는 일본의 '자화상'을 오도하는 교묘한 논리에 불과하다. 일본 정부가 인권과 평화와 같은 보편적 가치를 제대로 알고나 있는지 참으로 답답하고 의문스럽다.

그러면 우리는 앞으로 이 문제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이를 고민할 때 결코 놓쳐선 안 될 사실은 독도 문제, 동해 표기 문제, 식민 지배를 둘러싼 역사 문제, 강제 동원 문제를 둘러싼 일본의 억지 주장은 남북 모두에게 해당된다는 점이다.

일본이 남긴 상처에 대한 치유, 남북의 몫이다

특히 최근 한국이 제기한 위안부 문제의 경우, 현재 북에도 위안부에 끌려가 엄청난 고통을 겪은 할머니들이 생존하고 있음이 알려진 바 있다. 이처럼 일본이 남긴 '과거'의 상처와 '오늘'의 역사 문제는 남북이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문제다.

또한 북은 남쪽과 달리 아직 일본과 정식수교를 맺지 않았고, 그 결과 일본으로부터 과거 식민지배에 대한 진정한 사죄와 정당한 배상을 받은 적도 없다. 곧 한일협정으로 '청구권' 문제가 모두 끝났다는 일본의 논리는, 조일관계에는 전혀 적용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과거 자신들이 저지른 잘못을 직시하지 않고 여전히 파렴치한 주장만을 일삼는 일본정부의 주장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더 나아가 일본의 진정한 반성과 보상을 이끌어내려면 현재 남북의 공동 대응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북한과 일본이 정부 간 협상을 재개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는 점은 이와 관련해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일 것이다.

특히 이명박 정권 들어 남북관계가 파탄이 난 상황 속에서, 남북이 공통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가치와 현안을 지렛대로 삼아 남북관계의 회복을 도모함은 물론, 과거 불행했던 역사를 치유하는 지혜와 힘을 발휘하는 것은 어떨까. 그래서 동아시아가 평화의 길, 보편적 가치가 살아 숨 쉬는 지역으로 발돋움하는 데 남북한이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이번 8·15 광복절에 부쳐본다.


태그:#한일 역사문제, #남북 공동대응, #동아시아, #평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역사를 공부하고 있는 시민. 사실에 충실하되, 반역적인 글쓰기. 불여세합(不與世合)을 두려워하지 않기. 부단히 읽고 쓰고 생각하기. 내 삶 속에 있는 우리 시대 이야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