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전북 장수군 장계면 남덕유산 자락 600미터 고지에 자리한 전희식씨의 농가에서 열흘 간의 농장 체험을 마친 참가자들이 귀농운동본부 관계자, 농장주이자 지도강사인 전희식씨 등과 함께 단체 기념촬영을 하며 밝은 표정들을 지어보이고 있다.
▲ 열흘 간의 농가체험을 마친 뒤 해산을 앞두고 전북 장수군 장계면 남덕유산 자락 600미터 고지에 자리한 전희식씨의 농가에서 열흘 간의 농장 체험을 마친 참가자들이 귀농운동본부 관계자, 농장주이자 지도강사인 전희식씨 등과 함께 단체 기념촬영을 하며 밝은 표정들을 지어보이고 있다.
ⓒ 김혜정

관련사진보기


"유월이라 늦여름되니 소서 대서 절기로다. 큰비가 자주 오고 더위도 극심하다. 풀과 나무가 무성하니 파리 모기 모여들고, 땅 위에 물 고이니 참개구리 소리 난다. 봄보리 밀 귀리를 차례로 베어 내고, 늦은 콩 팥 조 기장을 베기 전에 심어 놓아, 땅 힘을 쉬지 말고 알뜰히 이용하소. 젊은이 하는 일이 김매기 뿐이로다."

조선 헌종 때 정유학이 쓴 농가월령가 '육월령(六月令)'에 읊은 가사에서도 알 수 있듯, 음력 6월은 소서, 대서는 물론 삼복이 들어 있어 일년 중 가장 무더운 달이다. 정유학의 농가'월령가'는 음력 6월을 '긴긴 해 쉴 새 없이 땀 흘려 옷이 젖고, 숨 막혀 기진할 듯한' 노역을 요구하는 때로 정의하기도 하였다. 또, 오늘날의 매스컴에서는 108년 만의 더위라 하여 연일 계속되는 찜통더위와 열대야에 관한 폭염특보가 넘치고 있다.

이러한 때에 전국의 이름난 농가를 찾아 모여든 젊은이들이 있었다. 그들은 바로 전국귀농운동본부가 주관한 '귀농을 꿈꾸는 청년을 위한 10농가 100일 프로젝트, 100일 청년귀농학교(이하 100일 청년귀농학교)' 학생들이다. 100일 청년귀농학교는 만 40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귀농본부가 추천하는 10개 농가에 10일씩 머무르며 농사일을 돕고 배우며 공동체 생활을 체험하는 100일 간의 열열 프로젝트다.

지난 6월 5일부터 14일까지 10일 간, 경북 상주 최한실 선생이 이끄는 '푸른누리' 공동체에서 '채취농과 마음공부'를 시작했다. 이어 6월 17일부터 26일까지는 역시 상주의 향유네(박종관) 농가에서 '귀농길라잡이'를 배우고 난 뒤, 충남 괴산의 '유기양계 마을 공동체'(6월 26일~7월 5일)를 거쳐서 홍성의 금창영씨 농가에서 열흘 간 '제철 꾸러미 농사와 지속가능한 마을을 위한 청년의 역할'(7월 11일~7월 20일)을 습득한다. 이후 무더위가 절정을 이룬 7월 27일부터 8월 5일까지 열흘 간, 체험 현장으로 전북 장수군 장계면 명덕리의 전희식선생의 농장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7월말 8월초(7월 말부터 8월 초까지)'라하면 일년 중 하절기 무더위의 절정인 시기다.  온 국민이 더위를 피해 계곡으로 바다로 떠나기에 급급한 때가 아닌가! 이렇 듯 열열(熱熱)하게 무더운 때에 100일 청년귀농학교는 농가실습 현장인 전북 장수에서 만난 13인의 귀농희망 도시청년과 함께 열열 귀농체험을 하였다. 지금부터 열열한 그들의 열열한 이야기에 귀기울여 보자.

'시골살이에 필요한 문화, 공동체, 심신수행과 자립생활'을 배우고 익히기 위해 남덕유산 자락 600미터 고지에 자리한 전희식씨의 농장을 찾아든 이는 모두 13명이다. 앞서 귀농본부가 제공한 참가자 기초 인적사항에서 알 수 있듯, 10대 소년 1명과 20대 2명을 제외하면 거의 30대 중·후반에서 40대 초반의 청년들로 구성돼 있으며 서울, 인천, 대구, 전주, 군산, 성남, 평택 등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도시인들이다.

이들의 직업과 경력도 다채롭다. 정보통신 종사자, 학원강사, 무역업, 전자공학도, 컴퓨터 전공의 대학원생, 조리학과 출신, 사회복지사, 농업대학졸업생, 유럽 유학을 다녀온 전산 전문가, 애니메이션에 관심이 많은 10대 소년까지...

처음에는 크고 작은 갈등이 없지 않았지만, 열흘 동안 주어진 시간이 갈수록 대자연 속에서 어울려 땀흘려 일할 수 밖에 없었다. 그들은 농촌의 농가 현장에서 감자캐기와 풀매기, 종자심기, 미생물 발효시키기, 액비주기, 집고치기 등 귀농에 필요한 농사기술과 단체노동의 값진 체험을 쌓아가는 동안, 이들은 공동체생활에 필요한 지혜를 자연스럽게 터득하여 스스로 조화를 이루며 마침내 한 덩어리가 되어갔다. 


뜨거운 칼라 강판 지붕 위의 도시인들



집고치기 실습으로 지붕에 댄 칼라 강판을 한 장 떼어내고 투명한 선라이트를 끼워넣어 채광을 개선하기 위한 작업에 나선 귀농희망 도시 청년들. 처음으로 사다리도 타보고, 시골집 지붕도 올라보고...
▲ 뜨거운 강판 지붕 위의 도시인들 집고치기 실습으로 지붕에 댄 칼라 강판을 한 장 떼어내고 투명한 선라이트를 끼워넣어 채광을 개선하기 위한 작업에 나선 귀농희망 도시 청년들. 처음으로 사다리도 타보고, 시골집 지붕도 올라보고...
ⓒ 김혜정

관련사진보기

채식과 명상으로 수행자적 삶을 살며 귀농을 준비하고 있다는 40대 비혼여성이 용감하게 지붕오르기를 자원하고 나서, 한때 유망한 여성크라이머였다는 전력을 확실히 입증해 보이기도...
▲ 전직 유망 여성크라이머의 지붕 오르기 미션 성공! 채식과 명상으로 수행자적 삶을 살며 귀농을 준비하고 있다는 40대 비혼여성이 용감하게 지붕오르기를 자원하고 나서, 한때 유망한 여성크라이머였다는 전력을 확실히 입증해 보이기도...
ⓒ 김혜정

관련사진보기


한낮 최고기온이 섭씨 33도를 넘어선 최고로 무더운 어느 날, 오후가 되어도 좀체 수그러들지 않는 더위에 굴하지 않고 이들은 '집 고치기' 실습에 들어갔다.

날이 무더워서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에나 가능한 기본적인 농장일 외에 별다른 일과를 정하지 않은 채 시간을 비워놓았다.

농가 주인의 배려에 힘입어 비교적 느슨하고 헐렁한 현장학습을 즐기게(?) 된 실습생들 중 어느 누군가가 귀농인을 위한 명저 '시골집 고치기'의 저자인 농가주인 전희식 선생에게 즉석으로 요청하여 이루어진 일이다.

"'집 고치기'도 배우고 싶다"는 실습생의 말 한마디에 전 선생은 얼마 전, 낡은 슬레이트 지붕을 걷어내고 새로 입힌 칼라 강판 지붕에 채광 개선을 위한 일부 강판 교체작업 실습을 하면 되겠다는 아이디어를 냈다. '부랴부랴' 읍내로 나가 선라이트 몇 장을 사와 지붕 부분 교체 작업실습에 돌입했다.

처마가 낮은 시골집이라고는 하나 사람이 어느 정도 두려움을 느낀다는 몇몇 실습생과 의외로 용감한 모습을 보이며 선뜻 지붕을 올라 탄 대전에서 온 정보통신 전공자인 30대 중반의 남자 실습생과 인천에서 온 40대 초반의 가녀린 몸집을 가진 여성 실습생. 이들은 기회가 없어 해 보지 못했을 뿐, 적성에 맞는 즐거운 일감이라며 농담까지 해가며, 폭염에 달궈진 뜨거운 하늘 빛 칼라강판 지붕 위의 '느닷없는 이벤트'에 즐거움을 느꼈다.

적극적으로 망치질에 나선 여성 실습생을 동료 남성 실습생과 '시골집 고치기' 저자인 전희식 선생이 조심스레 지켜보고 있다.
▲ 시골살이, 진정한 자립의 삶을 향한 여인의 망치질... 적극적으로 망치질에 나선 여성 실습생을 동료 남성 실습생과 '시골집 고치기' 저자인 전희식 선생이 조심스레 지켜보고 있다.
ⓒ 김혜정

관련사진보기


.
▲ 이웃 귀농선배의 농가를 방문, 집 입구에 놓인 돌에 그림을 그려주었다. .
ⓒ 김혜정

관련사진보기


장수군 장계면에 머무는 동안 실습생은 같은 마을에 있는 이웃 사과 농장 등을 방문하여 '과실 솎아주기'와 '풀매기' 등 봉사활동에도 열심히 참여했다. 또, 전 선생의 영향으로 이 마을에 귀농하게 되었다는 한 부부의 농가를 방문해서는 선배 귀농인의 경험담을 듣기도 하고, 이들 부부가 정성껏 담아 보관해 오고 있는 '60년이나 묵었다'는 조선간장의 맛을 보는 행운을 누리기도 했다.              

그에 대한 보답으로 전직 클라이머이며, 채식명상수행가인 40대 비혼인 여성 실습생이 집 앞 표지석에 매직으로 그림을 그려주었다. 사람의 머리와 몸통을 닮은 바윗돌을 올려 쌓아논 이 표지석에 그녀는 붉은색과 파란색 매직만으로 멋진 수호 석상을 만들었다. 무생물인 돌에 밝게 웃는 환한 표정을 입혀 생명을 불어넣으며, 예술적으로 완성한 이색 도농교류인 셈이다.

귀농을 꿈꾸는 청년을 위한 100일 청년귀농학교, 그 나머지 이야기는 다음에 계속됩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다음 카페 '장수군귀농귀촌협의회'와 '한울연대', '여행생활협동조합'에 동시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태그:#100일 청년귀농학교, #전국귀농운동본부, #땅살림시골살이, #시골집고치기, #전희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이 공간에서 우리 시대의 삶에 공감하며 세상과 소통하고자 한다. 문화, 예술 분야에 특히 관심이 많고 미디어 컨텐츠의 창작에도 많은 관심 가지고 있다. 몇 군데 사회단체에서 우리 사는 세상이 더 살맛 나는 세상이 되게 하는 일에 조금씩 힘을 보태며 어울리며 나누며 살려 하고 있음.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