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강원도 고성군 건봉사에 있는 홍예교인 능파교. 보물 제1336호이다
▲ 능파교 강원도 고성군 건봉사에 있는 홍예교인 능파교. 보물 제1336호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금강산의 한 봉우리에서 흘러내린 물이 절의 앞 계곡으로 향한다. 그 위에 석재로 된 다리는 우리나라의 많은 홍예교(양쪽 끝은 처지고 가운데는 높여서 무지개처럼 만든 둥근 다리) 중에서도 아름답다고 소문이 나 있다. 보물 제1336호인 능파교다. 이름만으로도 아름다운 이 다리는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냉천리 38-1에 있다.

이 다리가 있는 곳은 신라 법흥왕 7년인 520년에 아도스님이 창건해 원각사라고 이름을 붙였다는 절이다. 신라 말 도선국사가 절 서쪽에 봉황새처럼 생긴 돌이 있다고 하여 서봉사라고도 불렀다. 현재 명칭인 건봉사는 고려 공민왕 7년인 1358년에 나옹스님이 붙인 이름이다.

능파교는 건봉사의 대웅전 지역과 극락전 지역을 연결하는 다리이다
▲ 능파교 능파교는 건봉사의 대웅전 지역과 극락전 지역을 연결하는 다리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능파교는 폭이 3m에 길이는 14.3m에 이른다
▲ 능파교 능파교는 폭이 3m에 길이는 14.3m에 이른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여러 번 수난을 당한 능파교

이 능파교는 건봉사의 대웅전 지역과 극락전 지역을 연결하는 무지개 모양의 다리이다. 다리는 한 칸의 홍예를 조성한 것으로는 그 규모가 상당히 규모가 크다. 폭 3m에 길이는 14.3m다. 다리 중앙부의 높이는 5.4m이다.

조선 숙종 34년인 1708년에 건립된 <능파교신창기비(凌波橋新創記碑)>를 통해 능파교의 축조 시기와 내력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다. 비문에 따르면 숙종 30년인 1704년부터 숙종 33년인 1707년 사이에 처음 축조됐다. 

지난 4월 10일 주변에는 산수유가 아름답게 피었다
▲ 능파교 지난 4월 10일 주변에는 산수유가 아름답게 피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그 후 영조 21년인 1745년에 대홍수로 붕괴된 것을 영조 25년인 1749년에 중수하였다. 능파교는 고종 17년인 1880년에 다시 무너져 그 석재를 대웅전의 돌층계와 산영루를 고쳐 쌓는 데 이용하기도 하였다.

2003년에는 능파교 홍예틀과 접하는 호안석 중 변형을 해체하여 원형을 찾아 보수했다. 그러나 보수를 하던 중 능파교가 훼손되어 문화재 전문가의 도움으로 2005년 10월에 원형 복원했다.

장대석을 쌓아올려 홍예로 조성한 능파교
▲ 장대석 장대석을 쌓아올려 홍예로 조성한 능파교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자연 암반 위에 축조를 한 능파교
▲ 능파교 자연 암반 위에 축조를 한 능파교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뛰어난 조형미를 보이는 홍예교

능파교는 중앙부분에 무지개 모양의 홍예를 틀고 좌우에는 장대석으로 쌓아 구성했다. 홍예는 하부 지름이 7.8m이고 높이는 기석의 하단에서 4.5m이므로 실제로는 이보다 조금 더 높다.

지난 4월 10일 고성지역을 답사하면서 찾아간 능파교. 아직 이른 철이기는 해도 많은 사람들이 능파교를 지나 대웅전을 향하고 있다. 능파교 밑으로 흐르는 물은 맑기만 하다. 주변에는 산수유가 망울을 터트려 사람들을 즐겁게 한다.

능파교 건너 산영루의 처마가 마치 날개를 단 듯하다
▲ 능파교 능파교 건너 산영루의 처마가 마치 날개를 단 듯하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능파교의 교각 밑으로 들어가 본다. 밑에서 바라보니 능파교의 양편으로 삐죽이 고개를 내민 산영루의 처마가 마치 능파교에 날개를 달아놓은 듯하다. 장대석으로 고르게 쌓은 홍예를 바라보고 있자니 과거 석재를 이용한 조상들의 조형술에 감탄이 절로 나온다. 어떻게 이렇게 반듯하니 돌을 쌓아올려 서로 버티는 힘을 이용할 수가 있었을까?

자연을 벗어나지 않는 건축물

수많은 사람이 그 다리를 지나 대웅전을 향하고 있지만 그 많은 무게를 버틸 수 있도록 축조를 하였다니 그저 놀랍기만 하다. 다리 밑으로 흐르는 맑은 물에 손을 넣어본다. 폐부 깊숙이 한기가 전해진다. 한여름에도 이곳은 물이 차가워 오래 물속에 있지를 못한다. 그만큼 자연이 살아 숨 쉬는 곳이기도 하다.

한 칸의 홍예로 조성한 능파교는 아름답다
▲ 능파교 한 칸의 홍예로 조성한 능파교는 아름답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석재를 이용해 조성한 다리는 사람들이 건너기 위한 조형물이려니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그 다리는 자연을 벗어나지 않았다. 과거 우리의 모든 건축물은 결코 자연을 넘어선 적이 없다. 그것이 자연과 인간이 하나가 될 수 있는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태그:#능파교, #홍예, #보물, #건봉사, #고성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