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자는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년과 경술국치 100년을 앞두고, 우리 근현대사에 가장 위대한 애국자 안중근 의사의 유적지인 러시아 크라스키노, 블라디보스토크, 우수리스크, 포브라니치나야, 중국 쑤이펀허, 하얼빈, 지야이지스고(채가구), 장춘, 다롄, 뤼순 등지를 지난해 10월 26일부터 11월 3일까지 아흐레간 답사하였습니다. 귀국한 뒤 안중근 의사 순국날인 2010년 3월 26일에 맞춰 눈빛출판사에서 <영웅 안중근>이라는 제목으로 책을 펴냈습니다.

2010년 경술국치 100년에 즈음하여 <영웅 안중근>의 생애를 다시 조명하는 게 매우 의미 있는 일로 여겨져, 이미 출판된 원고를 다소 손보아 재편집하고, 한정된 책의 지면 사정상 미처 넣지 못한 숱한 자료사진을 다양하게 넣어 2010년 11월 20일까지 43회 연재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성원 바랍니다. - 기자말 

100년 전, 안중근 의사가 이 역에서 하얼빈 행 열차표를 샀다.
▲ 우수리스크 역 100년 전, 안중근 의사가 이 역에서 하얼빈 행 열차표를 샀다.
ⓒ 박도

관련사진보기


연해주 독립운동 대부 최재형

1900년 대 연해주 지역 독립운동의 대부였다.
▲ 최재형 선생 1900년 대 연해주 지역 독립운동의 대부였다.
ⓒ 눈빛 <대한국인 안중근>

관련사진보기

조씨는 우수리스크 언저리 일대의 발해 유적지를 열심히 안내하는데 그때마다 카메라에 담았지만 내 답사 목적과는 멀기에 귀담아 듣지 않았다.

노트북도 많이 저장하면 과부하가 되듯이 사람도 뇌에다 너무 많은 것을 저장하면 장애를 일으킨다.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쳐 보면 성적이 뒤진 아이일수록 쓸 데 없는 것들을 많이 알고 있었다.

11: 10, 우수리스크 수하노와 거리32에 있는 최재형의 처음 집과 블로다르스키야 거리38에 있는 마지막 집을 둘러보았다. 최재형은 안중근이 연해주에 머무를 때 독립운동가의 대부라고 할 만큼 뒤에서 도와준 분이다.

우수리스크 수하노와 거리 32에 있는 최재형 선생의 초기 집
▲ 최재형 선생의 집 우수리스크 수하노와 거리 32에 있는 최재형 선생의 초기 집
ⓒ 박도

관련사진보기


김호일 안중근의사기념관장이 쓴 논문에 따르면, 최재형은 함경도 경원 출신으로 1869년 아버지를 따라 연해주에 이주했다고 한다. 그는 러시아 연해주 한인사회 개척자이며, 지도자로 평생 한국독립을 위하여 항일운동에 몸 바쳤으며 최후도 일제에 총살당했다고 한다.

최재형은 안중근이 하얼빈으로 가는 무렵 <대동공보(1909)>와 그 이후 <대양보(1911)>의 사장으로 동포들에게 항일독립정신을 고취시켰으며, 권업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었을 때 재무총장에 선임되었으나 부임치 않고, 평생 연해주 일대의 독립운동 대부로서 생을 마감했다고 한다.

1920년 4월 4일부터 5일까지 일본군의 습격을 받아 순국한 240명의 러시아인과 한국인을 추도하고자 세운 비라고 한다(출처; 박환, '러시아 한인 유적답사기' 270쪽).
▲ 우수리스크 시내의 '4월 참변 추도비' 1920년 4월 4일부터 5일까지 일본군의 습격을 받아 순국한 240명의 러시아인과 한국인을 추도하고자 세운 비라고 한다(출처; 박환, '러시아 한인 유적답사기' 270쪽).
ⓒ 박도

관련사진보기

최재형의 딸 올가의 증언에 따르면, 안중근이 거사 전 최재형 집에 머물며 사격연습을 하였다고 했고, 하얼빈 거사 후 아버지 최재형이 안중근 의사 부인 김아려 여사도 물심양면으로 많이 돌봐주었다고 한다. 우수리스크에는 이밖에도 한인독립유적지가 많았다.

우수리스크

조씨가 안내하는 대로 일일이 카메라에 담고 취재수첩에 부지런히 기록했으나 이 글들을 여기에 다 옮겨 적기에는 내가 남(다른 학자)의 수고를 가로채는 것 같아 줄인다. 다만 우수리스크 역은 안중근 의사가 우덕순과 함께 하얼빈으로 가는 길에 이곳에 내려 차표를 산 곳이다.

다음날 내가 열차를 타고 이곳을 들를 테지만 그때는 한밤중이기에 미리 일대를 카메라에 담고자 역을 찾았다. 쌀쌀한 날씨 탓으로 다소 썰렁해 보이는 역 광장에는 빛바랜 레닌의 동상이 우뚝 솟아 그의 손이 하늘을 향하고 있다.

"인민들이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를 받는다"는 그 말을 대학 교양학부 시절 경제원론 강의시간에 듣고 얼마나 놀라고 신선한 충격을 받았던가. 하지만 이 슬로건은 공염불이 된 채 공산사회를 추종하던 나라들은 낙후를 면치 못해 거의 무너져 버렸다.

공산주의자들은 인민들이 대가 없이는 능력에 따라 일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미처 몰랐던 것 같다. 볼셰비키 혁명의 총본산 러시아마저 자본주의에 무너져 "중이 고기 맛을 알면 절간에 빈대가 남지 않는다"는 말처럼 길거리 화장실은 물론, 공공기관 화장실에서조차 돈을 받는 치사한 나라로 변모했다.

우수리스크 역 광장에 서 있다.
▲ 레닌 동상 우수리스크 역 광장에 서 있다.
ⓒ 박도

관련사진보기


역 광장 한편에는 버스들이 승객을 기다리고 있는데, 자세히 살피니까 거의 한국산 중고차들로 '아진교통' '동아운수' 등 시내버스회사 이름들이 남아 있었고, 'HYUNDAI' 'KIA' 'DAEWOO' 등의 로고가 선명했다. 이와는 달리 연해주 전역의 승용차 대부분은 일제가 휩쓸었는데 어쩌다 가뭄에 콩 나듯 한국 차가 눈에 띄었다.

우수리스크 역 광장에 서 있는 한국산 현대자동차 버스로 '아진교통'이라는 한글이 남아 있다.
 우수리스크 역 광장에 서 있는 한국산 현대자동차 버스로 '아진교통'이라는 한글이 남아 있다.
ⓒ 박도

관련사진보기


우수리스크 역(驛)를 카메라에 담고자 역을 가로지른 육교로 가는데 우리와 피부색이 똑같은 노동자차림의 한 무리를 보고서 그들에게 접근하여 몇 마디 물었다. 

"어디서 오셨습니까?"
"함경도 평안도 자강도 등 대중없습네다."

무리들이 나를 바라보는 눈빛이 심상치 않아 보였다. 동행 조씨는 그들이 북한에서 온 시베리아 벌목공들이라고 하면서 내 옷소매를 당겼다. 나는 그들에게 목례를 하고서는 육교에 올라 그들 뒷모습만 카메라에 담았다. 우수리스크 역사와 시베리아로 뻗는 철도를 카메라에 담고서는 우수리스크 역을 떠났다. 왜 우리 남북 동포들은 해외에서조차 서로 경계해야 하나? 나는 취재수첩에다 즉흥시를 한 수 지어보았다.

우수리스크 역 앞에서 쉬고 있는 북한 노동자로 시베리아 벌목공들이라고 했다.
▲ 북한 노동자들 우수리스크 역 앞에서 쉬고 있는 북한 노동자로 시베리아 벌목공들이라고 했다.
ⓒ 박도

관련사진보기


우수리스크 역에서

내 십 수 년째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선열들의 발자취를 따라
해외를 누벼보니까

나라와 겨레를 두 조각낸 38선(휴전선)은
한반도에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베이징에도 있었고,
도쿄에도 있었고,
블라디보스토크에도,
워싱턴에도 있었다.

어느 영웅이 나타나
두 조각 세 조각 네 조각으로 찢어진
나라와 겨레의 속살에 깊이 새겨진
38선을 지우고,
휴전선 철조망을
걷어낼 수 있을까?

저무는 10월 하순 한낮
극동 러시아 우수리스크 역에서
내 아들이나 조카와 생김새가 똑같은
구릿빛 얼굴의 노동자를 만났다.

나의 안내자는
그들이 시베리아 삼림지대에서 일하는
북한 벌목공들이라고 했다.

나는 반가운 마음에
그들에게 다가가
몇 가지 물었더니 한 노동자가
북한 여기저기에서 온 림업부 소속이라고
대답은 하는데
수많은 눈초리가 경계의 빛으로
우리 두 사람을 죄고 있었다.

나는 그를 덥석 껴안고 싶었지만
그와 나 사이에는 날카로운 철조망이
여러 겹 드리워 있음을 알아차리고
못내 뒷걸음질을 하고는
우수리스크 역 육교에 올라 그들 뒷모습만
카메라에 담았다

내 눈에서는
두 줄기 눈물이 흘러내렸다
연해주의 북풍이 몹시 찼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박도 지음 <영웅 안중근> (눈빛출판사)의 내용을 재편집, 보완하여 연재하고 있습니다.



태그:#우수리스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사 은퇴 후 강원 산골에서 지내고 있다. 저서; 소설<허형식 장군><전쟁과 사랑> <용서>. 산문 <항일유적답사기><영웅 안중근>, <대한민국 대통령> 사진집<지울 수 없는 이미지><한국전쟁 Ⅱ><일제강점기><개화기와 대한제국><미군정3년사>, 어린이도서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청년 안중근> 등.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