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의 날갯짓을, 시냇물이 졸졸 흐르는 소리를, 오리의 뒤뚱거림을, 나뭇잎이 순서 없이 떨어지는 모습을 그 이미지에 딱 들어맞는 음악으로 표현하는 아이가 있었다. 그 아이의 멜로디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시각이 아닌 ‘청각’으로 느끼게 해 주었다.

<호로비츠를 위하여>(2006년). 주인공 선생님이 마음에 안(?)들어 이 영화를 보지 않았는데 뒤늦게 이 영화를 보고 난 후, ‘내가 언제?’하며 이 영화를 선택하고 열연한 그녀에게 아낌없는 박수를 치게 되었다. 

호로비츠와 같은 열정적 피아니스트가 되고 싶었던 주인공 지수(엄정화분)는 가난한 살림에도 불구하고 헌신적인 부모님의 뒷받침으로 음대를 졸업하였다. 그러나 그녀의 부모님은 그것이 최선이었고 딸을 유학 보낼 여유까지는 없었다.

친구는 보란 듯이 유학을 갔다 와 교수까지 되었는데 자신은 학원생도 별로 없는 변두리 피아노 학원의 원장이라니, 참으로 의욕 안 생기는 삶이었다. 그러던 그녀 삶속에 어느 날 ‘절대음감’을 가진 경민(신의재 분)이 들어왔다.

7살 경민은 부모님을 교통사고로 잃은 상처로 마음의 문을 닫은 아이였다. 할머니와 함께 살아가던 경민은 거의 방치되어 거리를 떠돌며 살았는데 무슨 억하심정인지 지수네 피아노 학원으로 잠입해 들어와 분탕질을 해놓고 도망가기 일쑤다. 

이 녀석 잡히기만 해봐라, 벼르던 어느 날 지수는, 복수는 고사하고 경민을 함부로 대하는 할머니에게 맞서다가 하루 한 끼 점심을 먹여주는 덤터기를 썼다. ‘그래, 불쌍한 아이 점심 한 끼쯤이야.’ 매일 점심을 먹이면서 경민과 가까워진 지수는 어느 날 우연히 경민의 소질을 알고 꿈을 꾸게 된다.

‘그래, 경민이를 보란 듯이 유명 콩쿠르에 입상시켜 저도 살고 나도 사는 거야.’ 

그러나 아무리 소질이 있대도 자폐적 성향을 가진 아이에게 피아노를 가르친다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었다. 지수는 회의와 절망, 연민의 감정을 오가며 힘들어했는데, 그때마다 아래층 피자집 총각 사장(박용우분)은 지수가 갖고 있지 않은 또 다른 지혜로 두 사람을 위로해 주었다.

“저도 피자 굽다가 태울 때가 있어요.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피자를 탓하지는 않아요. 경민이에게는 경민이만의 피자가 필요한 거예요.”

피아노 선율을 마음껏 보고 느낄 수 있어

이 영화의 매력은 무엇보다 아름다운 클래식 피아노의 선율을 그대로 보고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경민의 피아노 솜씨는 무척 감탄스럽다. 그는 마트에서 클레멘티의 ‘소나티네’를 속사포처럼 날려 일순 마트 안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한 몸에 받았는데 그 깜직함이라니.

나아가, 지수에게서 우리 귀에 익숙한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K 545’를 배우던 장면에서의 그 고사리 손의 움직임 또한 어른으로서는 흉내 낼 수 없는 아이만의 귀여움이 있었다. 그런가하면, ‘하우스 콘서트’에 갔을 때 콘서트가 끝난 후 피아노가 있는 다른 방으로 몰래 들어가 드뷔시의 <아라베스크 1번>으로 지수에게 고마움을 표하던 장면에서는 성숙한 어른의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이루지 못한 피아니스트의 꿈을 가진 지수의 연주 장면 또한 멋있었다. 음악과는 전혀 인연이 없던 피자집 총각 사장에게 ‘음악’이라는 화두를 던져주었던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제 5번 <황제> 연주는 무척 새로웠다. 그리고 은사의 연주회에서 만난 라이벌 친구의 승승장구한 근황에 열이 뻗힌 나머지 돌아와 쇼팽의 연습곡 <혁명>을 미친 듯이 손가락 마디가 부서져라 연주 하는 장면도 꽤 인상적이었다.

그러나, 경민과 지수의 연주도 연주지만 이 영화의 압도적 클라이맥스는 단연 피아니스트 김정원의 라흐마니노프였다. 그는 음악입양(?)을 갔다가 돌아와 처음으로 고국무대에 서는 성인 경민역을 맡아서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2번을 연주하였는데 흉내가 아니라 실제다보니 그 탁월함에 컥! 숨이 막힐 지경이었다.

평소 대부분의 음악을, 무언가를 하며 반은 건성으로 들으며 살아온지라 피아니스트라면 임아무개 형제는 들었어도 ‘김정원’이라니 생소했다. 그런데 그의 라흐마니노프 연주를 보고 들으니 세상에 저런 훌륭한 연주자의 이름을 이제껏 모르고 있었다니 싶었다. 아무튼, 그의 발견은 이 영화가 주는 많은 보너스 중 가장 달콤한 것이었다.

김정원 라흐마니노프 호로비츠 트로이메라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순간이라는 말이 좋습니다. 이 순간 그 순간 어느 순간 혹은 매 순간 순간들.... 문득 떠올릴 때마다 그리움이 묻어나는, 그런 순간을 살고 싶습니다. # 저서 <당신이라는 순간>

top